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74&local_id=10015584
로르카의 희곡 『예르마』(石女)의 영어번역에 나타나는 공연성과 문화번역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로르카의 희곡 『예르마』& #40;石女& #41;의 영어번역에 나타나는 공연성과 문화번역 연구 | 2007 년 | 이형진(숙명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911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스페인 현대 극작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대표 희곡 『예르마』의 영어번역텍스트 분석을 통해 희곡번역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번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형들을 구체적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희곡번역에서 두드러지는 텍스트성과 공연성의 번역 특수성을 살펴보고, 스페인 희곡텍스트에 나타난 문화적 특수성이 어떻게 영어로 번역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가진 본 연구는 우선 로르카의 스페인어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Gwynne Edwards의 영어번역텍스트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번역에서의 구체적인 변형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공연성을 고려한 대화체 화법의 번역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스페인어 텍스트에서는 단순한 평서문으로 된 문장들을 영어번역텍스트에서는 다양한 대화체 의문문으로 변형함으로써 이를 통해 등장인물들간의 갈등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스페인어 텍스트에서 로르카는 상징적인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구체적인 해설을 최소화하고 있는데 번역가는 영어로 번역하면서 무대지문을 상당히 구체적으로 변형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대에서 연기하는 배우들뿐만 아니라 독자들과 관객들에게도 연극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형상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문화적 요소의 번역에서는 스페인어에 담겨있는 문화고유성의 요소들의 많은 부분들이 영어권 독자들에게 익숙한 이미지나 표현으로 대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공연을 통한 수용의 측면에서 번역가가 내린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넷째, 이 작품에서 주요 갈등구조인 예르마와 남편 후안의 대립을 번역가는 좀 더 극적으로, 그리고 단순화시키기 위해 예르마를 억압받는 여성을 묘사하고 남편 후안을 스페인어 텍스트에서 나타난 것보다 훨씬 더 비정하고 비인간적인 대상으로 형상화시킴으로써 둘 사이의 대립을 좀 더 단순화시킨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석녀'의 이미지에 대한 영어권 독자들의 낯설음을 고려해서 예르마와 후안의 대립을 단순한 선악의 개념으로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여지가 있다는 측면에서 번역가의 의도가 개입된 문화번역의 실례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영어권 희곡텍스트의 영어번역의 수용적 측면을 살펴볼 수 있고 한국희곡의 영어번역의 방향성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analyze special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Spanish text of Garcia Lorca's Yerma, and categorize diverse forms of transformation. Through this, I expect to account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of 'textuality' and 'performability' of theater text, and the way how the cultural particularities of Spanish text are being translated into English. This study has found out the four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the English translation by Gwynne Edwards of Lorca's play. First, the presence of colloquial expressions is distinct as it emphasizes the performability of the play. Many simple statements have been translated into questions sentences, stressing the increasing conflict between main characters, especially Juan and Yerma. Second, while the Spanish text emphasizes symbolism while minimizing specific stage directions, the English translator intervenes by adding specific stage directions into the play, trying to help the audience as well as actors visualize an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ovement and setting on the stage. Third, many Spanish culture-specific images and expressions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equivalents which should be familiar to English audience and readers. This choice must have been made in the consideration of reception. And lastly, fourth, in order to dramatize and simplify the dramatic conflict between Yerma and Juan, the translator seems to have intentionally describe Yerma a character to be symphasized while making Juan more cold and inhuman-like, so that the English audience and readers can have somewhat binary perception about Yerma and Juan as good and ba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Yerma's brutal act at the end can be viewed from a more symphasized perspective as a woman who has been ignored, despised, isolated by her husband, which does not seem right in the play. This seemingly politically-feminized translation might represent an example of cultural translation with which the translator tries to gear the translation toward a certain cultural direction. The examples above of the interference by translator is also expected to shed a practical light to the English translaiton of Korean theater as we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스페인 현대 극작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대표 희곡 『예르마』의 영어번역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희곡번역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그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희곡번역에서 두드러지는 텍스트성과 공연성의 번역 특수성을 살펴보고, 서로 다른 문화권의 희곡텍스트 번역에서 나타나는 문화번역의 방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가진 본 연구는 우선 로르카의 스페인어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Gwynne Edwards의 영어번역텍스트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번역에서의 구체적인 변형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공연성을 고려한 대화체 화법의 번역을 들 수 있다. 스페인어 텍스트에서는 단순한 평서문으로 된 문장들을 영어번역텍스트에서는 다양한 대화체 의문문으로 변형함으로써 이를 통해 등장인물들간의 갈등을 부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희곡텍스트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스페인어 텍스트에 반영된 극작가 로르카의 극작 미니멀리즘을 고려해서 번역가는 영어로 번역하면서 무대지문을 상당히 구체적으로 변형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대에서 연기하는 배우들뿐만 아니라 독자들과 관객들에게도 연극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형상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문화적 요소의 번역에서는 스페인 지방의 고유한 색채가 반영되는 이미지나 스페인어에 담겨있는 문화적 요소들의 많은 부분들이 영어권 독자들에게 익숙한 이미지나 표현으로 대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수용의 측면에서, 특히 공연을 통한 수용의 측면에서 번역가가 내린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넷째, 이 작품에서 주요 갈등구조인 예르마와 남편 후안의 대립을 번역가는 좀 더 극적으로, 그리고 단순화시키기 위해 예르마를 억압받는 여성을 묘사하고 남편 후안을 스페인어 텍스트에서 나타난 것보다 훨씬 이상으로 아내 예르마에 대해 비정하고 무정한 사람으로 번역함으로써 둘 사이의 대립을 좀 더 단순화시킨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석녀'의 이미지에 대한 영어권 독자들의 낯설음을 고려해서 예르마와 후안의 대립을 단순한 선악의 개념으로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여지가 있다는 측면에서 번역가의 의도가 개입된 문화번역의 실례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서로 다른 문화권 텍스트 번역에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문화번역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스페인 극작가 로르카의 희곡 작품 『예르마』의 영어번역을 통해 다음 몇 가지를 확인할 수 있다. 첫째, Gwynne Edwards의 영어번역은 영어권에서 상당히 호응을 받고 수용된 번역텍스트라는 측면에서 외국어 희곡텍스트의 영어번역에 하나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곡텍스트의 번역가는 단순히 텍스트를 번역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나 소설과는 달리 번역가가 희곡의 공연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는 단계에 까지 영역을 확대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희곡의 공연 특수성에 기인한다. 둘째, 외국어 희곡텍스트의 영어번역에서 희곡의 공연성을 고려한 번역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공연성은 번역텍스트가 배우들과 관객들이 쉽게 이해하고 느낄 수 있는 희곡의 다이나믹한 집약성을 강조하고, 극적인 갈등구조를 등장인물들의 발화를 통해 전달해야 하는 필요성을 의미한다. 이 점을 고려한 희곡번역은 영어로 구어체 대사를 생동감있게 표현해 낼 수 있는 수준의 도착어 능력을 필요로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영어권 수용을 목표로 하는 희곡번역의 경우 문화적 대상물이나 표현에 있어서도 도착어권 독자들과 관객들을 고려한 번역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소설텍스트와는 달리 희곡텍스트는 커뮤니케이션의 즉시성을 고려해서 대사에 있어서는 상당히 자국화 번역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특수성은 한국의 희곡텍스트의 영어번역에서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게다가 이 작품의 영어번역에서 알 수 있듯이 주제적인 면에 있어서도 문화적 낯설음이 있을 경우 그 갈등구조를 좀 더 단순화 시켜서 전달하는 경우에 영어권 독자들이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 색인어
  • 영어번역, 희곡텍스트, 가르시아 로르카, 희곡번역, 텍스트성, 공연성, 문화번역, 젠더, 수용성, 변형, 석녀 이미지, 광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