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86&local_id=10014175
독일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주 외국인 자녀 교육지원 현황 및 시사점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독일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주 외국인 자녀 교육지원 현황 및 시사점 분석 | 2007 년 | 정기섭(인하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98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독일의 사회통합을 위한 외국인 자녀 교육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독일의 이주외국인 정책, 이주외국인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정책방향, 이주법(Zuwanderungsgesetz)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회통합코스(Integrationskurs)", 취학전․학교․직업 교육에서의 이주외국인 자녀의 교육 참여 실태 및 문제점, 언어촉진 교육을 중심으로 한 이주외국인 자녀 교육지원 대책 및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 가정의 아동이 학교수업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취학전 유치원과정에서 읽기능력과 작문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에서는 선수학습부족으로 정규수업에 참여하기 어려운 다문화 가정 아이들을 위해 "한국어 촉진수업"을 개설하여 정상적으로 정규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수업모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부모의 미숙한 한국어 구사능력은 다문화 가정의 아동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자국어 활용 능력이 부족한 외국인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모국어(모국어) 수업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업모형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습득하는데도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넷째, 세계화 시대에 2~3개의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요청되고 있음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잠재가능성을 사회적 재산으로 인정하고 장려하는 이중 언어/다중 언어 능력 촉진 교육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를 포함하는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기관들 간의 병렬적인 관계 구축이 아니라, 하나의 중심기관을 축으로 하는 관계 구축을 말한다. 여섯째,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는 실천 연구프로젝트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정보를 공유하면서 지역사회에 적합한 지원 모형을 만들어가는 시도가 필요하다. 일곱째, 이중 언어로 수업하는 학급모형을 시험적으로 도입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다문화 가정의 학생은 물론, 외국 체류경험이 있는 일반학생들이 귀국 후 학교 적응과 이중 언어를 계속해서 유지․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upports for migrant's children for integration in Germany and to find out its implication. This study is engaged in migrants policy since 1950s, educational supports for migrant's children, social integration course (Integrationskurs) in the law of migration(Zuwanderungsgesetz), migrant's children's educational participation in the preschool․school․vocation education areas and its problems, and support program of the german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s children and the actual cases. This study also found out the implication which includes the followings: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the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a kindergarten course, instructional mod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upport in schools,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al model for foreign parents, and educational model for promoting multilingual abilities. And forming the cooperative network with community including schools. Performing diverse practical research projects with local network. The last, managing multilingual classes through a model schoo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독일의 사회통합을 위한 외국인 자녀 교육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독일의 이주외국인 정책, 이주외국인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정책방향, 이주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회통합코스(Integrationskurs)”, 취학전․학교․직업 교육에서의 이주외국인 자녀의 교육 참여 실태 및 문제점, 언어촉진 교육을 중심으로 한 이주외국인 자녀 교육지원 대책 및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유치원과정에서 읽기능력과 작문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지원 수업모형개발, 외국인부모의 한국어 능력 함양을 위한 모국어 교육 모형 개발, 이중 언어/다중 언어 능력 촉진 교육 모형 개발, 학교를 포함하는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한 다양한 실천 연구프로젝트 수행, 이중 언어 수업 학급모형 시험적 운영.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 가정의 아동이 학교수업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취학전 유치원과정에서 읽기능력과 작문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에서는 선수학습부족으로 정규수업에 참여하기 어려운 다문화 가정 아이들을 위해 "한국어 촉진수업"을 개설하여 정상적으로 정규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수업모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부모의 미숙한 한국어 구사능력은 다문화 가정의 아동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자국어 활용 능력이 부족한 외국인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모국어(모국어) 수업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업모형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습득하는데도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넷째, 세계화 시대에 2~3개의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요청되고 있음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잠재가능성을 사회적 재산으로 인정하고 장려하는 이중 언어/다중 언어 능력 촉진 교육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를 포함하는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기관들 간의 병렬적인 관계 구축이 아니라, 하나의 중심기관을 축으로 하는 관계 구축을 말한다. 여섯째,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는 실천 연구프로젝트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정보를 공유하면서 지역사회에 적합한 지원 모형을 만들어가는 시도가 필요하다. 일곱째, 이중 언어로 수업하는 학급모형을 시험적으로 도입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다문화 가정의 학생은 물론, 외국 체류경험이 있는 일반학생들이 귀국 후 학교 적응과 이중 언어를 계속해서 유지․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연구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여 국내의 교육학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독일의 이주 외국인 자녀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둘째, 이주 외국인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방향 및 대책 수립, 유관기관 간, 정부와 지자체 간의 효율적인 지원체제 구축을 구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취학전, 학교, 학교 밖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독일, 이주외국인, 사회통합, 외국외국인 자녀교육지원, 이주외국인 학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