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96&local_id=10019028
예술 속 또 다른 주체, 타자와의 공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예술 속 또 다른 주체, 타자와의 공존 | 2007 년 | 이지원(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1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4월 1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하나였다. 현대에 들어 철학의 방향은 프랑스를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며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의 의미부여자로서의 주체를 부정하였다. 따라서 철학에서 강조하던 주체의 명증성의 문제, 지각의 문제, 의식의 문제 등이 권력과 욕망의 문제로 전환되며 이성의 우상을 파기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 가운데 레비나스는 어떤 철학자보다도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사건에 대해서 타자라는 문제에 관심을 보이며 인간존재의 질서에 있어서 의미를 새롭게 밝히고 있다. 타인의 존재 자체가 인간존재를 규정하는 요소임과 동시에 이타행(altruism)이라는 요청이 있는 것으로 해석한 것이다. 따라서 타자라는 의미는 주체가 타자의 출현을 통해 이기적인 욕망을 포기하고 타자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바라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레비나스의 타자에 관한 사유는, 타자로 남아있기 위해서는 그 다름은 보장되어야 하고 타자의 아픔을 통해 윤리적 책임을 경험하고 받아들임으로 삶의 진정한 의미로서의 자유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책임적 주체의 실천을 레비나스는 ‘얼굴의 현현’이라는 표현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인간 존재에 관한 경험적인 사실과 그것에 바탕을 둔 추론을 의미한다. 인간의 본질에 관한 성찰을 몸과 몸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춤이라는 예술을 통해 가능하다. 춤은 얼굴, 음성, 시선 그리고 몸짓을 통해 나와 다른 존재가 개방되어지고 드러난다. 인간의 얼굴과의 만남 곧 몸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무대는 단지 시각에 주어지는 대상의 이미지가 아니라 타자성이 스스로를 표현하고 계시하는 장소이다. 춤추는 몸의 의미는 존재하는 것으로 의식이 그저 표현된다는 마리 쉬나르의 해석처럼 몸의 움직임을 주목함으로 이들의 표현 속에서 나와 다른 사람의 삶과 조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타자를 만나고 겪게 되면서 나라는 주체의 특권을 재사유하고 이들과 함께 공존하여야 함을 상기하며 인간존재가 나아갈 바를 정립한다는 것이다. 작품 속 로이드 뉴슨과 마이클 클락의 타자에 관한 이해도 개별적이고 경험적 사실을 넘어 인간의 본질적 접근에서 타자의 절대 다름을 밝히기에 의미가 있다. 그리하여 이들은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의 소통과 초월의 계기를 몸을 통하여 타자의 정신적 고통이나 아픔을 통해 만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안무가들은 무용수가 되어 직접 자신의 상황을 다수인 주체에 의해 보여진 대상으로서의 묘사 아니라 스스로의 이야기를 삶으로 풀어내고 있다. 그들은 동정심이나 애정을 갈구하는 인물이기보다는 초연함과 자립성이 강조된 인간으로 존재의 동등성을 드러내며 타자로서의 본질적 불완전성에 대한 기본 입장을 표명하였다. 또한 나라는 주체의 주체됨과 타자로서의 타자됨이 몸과 몸의 만남이라는 얼굴과 시선 그리고 음성을 통해 읽을 수 있었다. 이렇게 춤을 통해 전달되는 타자와의 만남은 주체와 타자관계의 의미가 완성되는 순간이다. 작품을 이 세계로, 역사로 복귀시키고 무시간적 이미지를 다시 실재의 시간으로 재편입 시키고자 하는 작업으로 윤리적 초월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레비나스 철학은 삶의 중심을 익명적 우리가 아니라 내 앞에 너로, 너에 대한 나로 이동시킴으로 현실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의 책임 있는 행동을 촉구하는 동시에 자신이 자리 잡고 있는 자리를 끊임없이 문제시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컨템포러리를 이끄는 기수로서 두 안무가의 작품은 공존이라는 의미와 무한적 개념으로서의 타자적 무경계를 얼굴의 현현을 통해 극명하게 제시한 예라 하겠다. 이것은 타자의 인격적 관계의 회복으로 타자성이 가능한 공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그의 사유는 춤에 적용될 때 이기적이고 자아중심적인 협소한 세계관을 넘어 보다 넓은 다원주의적 시각 속에 위치시켜 윤리의 전환적 사고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다원성이라는 이름으로 주체와 타자는 서로의 지평을 열고 공존이라는 시점에서 새롭게 정의내리는 중요한 의미를 담지 하는 것이다. 타자의 몸 행위를 주목하는 과정에서 고통의 흔적을 살피는 데는 연구자의 시각이라는 한계가 있으나 언어화의 과정을 통해 소통에 관한 물고를 터서 타자에게 다가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둘 수 있다. 앞으로도 레비나스의 사유가 춤의 다양한 측면으로 해석되어지고 연구되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영문
  • The fulfillment of a responsible self can be realized by dance. Levinas suggests that a reflection on the essence of human is a deduction based on empirical facts of human existence. So it is possible by the meeting of bodies in the way of dance. Through the body, one self can interact with the other and define one self. As in Levinas' words, the display of the face as well as the meeting of the bodies can help us realize who we really are. The stage where the bodies converse or where the face of humans meet is not only an visual image of a subject but is a place where altruism expresses itself. As Marie Chounard has said "The dancing body's existence is an expression of awareness", and so by focusing on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its expressions, we can encounter our lives with those of others. After meeting and experiencing these others, one self can reevaluate the privilege of the self, realize that we must all coexist and define how human beings should lead their lives.
    Lloyd Newson and Michael Clark,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is invaluable because it suggests one beyond an individualistic and empirical fact, and enlightens an absolute difference of the other from an intrinsic view of human being. So they presented an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and transcendence of a more original sense to meet the others' psychological pain through the body. Choreographers become the dancers make a story about themselves not a description of what is seen of the subject by the majority, self. They are not beings searching for empathy or love but a being with independence and transcendence. They become an equal being as they state their stance on the innate imperfection of the other. Also they revive the meaning of being the self as a self and the other as the other through the face, gaze, and speech in the meet of bodies. The moment dance portrays the meet with the other is when the meaning of the self and other is completed. Transcending this work to the world and history, while weaving this timeless image into time, carries great meaning beyond any ethical value. Levinas philosophy moves the pivot of life to you in front of me and me in regards to you not us. So it not only prompts a responsible behavior from individuals but also questions the place where we have situated ourselves. In works of Lloyd Newson and Michael Clark, the bearer of this contemporary which are 「Dead Dreams of Monochrome Men」(1989) and 「Wrong」, it clearly highlights the meaning of coexistence and the nonexistence of the other as a infinite concept through revealing the face. This i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it makes a place which is possible of a altruism of the other. Levinas' thought on the other goes beyond a selfish and egoistic world view and entails a possibility of a conversion of culture and ethics on a wider and pluralistic view. Observed through the dance, Levinas 'thought of revealing the face has attained attention to the human body and through it has contrived a framework that can reevaluate the meaning of 'the painful body' and read in diverse viewpoints 'focused on the behavior of the body'. Body in itself is a symbol of its existence. This is an altruistic explanation that does not maintain or overlook conflict with the other but leads to accept and respect the other in the name of co-living(상생). 'Facing each other 'is another critical way of reading and interpreting dance and is expected to be a foundation for extension and creation of a dance point of view. In the process of observing the body movement of the other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of a researcher looking at traces of pain. However, it i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it discovers possibilities that can approach the other by opening the gateway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verbaliz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Lloyd Newson and Michael Clark,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is invaluable because it suggests one beyond an individualistic and empirical fact, and enlightens an absolute difference of the other from an intrinsic view of human being. So they presented an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and transcendence of a more original sense to meet the others' psychological pain through the body. Choreographers become the dancers make a story about themselves not a description of what is seen of the subject by the majority, self. They are not beings searching for empathy or love but a being with independence and transcendence. They become an equal being as they state their stance on the innate imperfection of the other. Also they revive the meaning of being the self as a self and the other as the other through the face, gaze, and speech in the meet of bodies. The moment dance portrays the meet with the other is when the meaning of the self and other is completed. Transcending this work to the world and history, while weaving this timeless image into time, carries great meaning beyond any ethical value. Levinas philosophy moves the pivot of life to you in front of me and me in regards to you not us. So it not only prompts a responsible behavior from individuals but also questions the place where we have situated ourselves. In works of Lloyd Newson and Michael Clark, the bearer of this contemporary which are 「Dead Dreams of Monochrome Men」(1989) and 「Wrong... Wrong.」, it clearly highlights the meaning of coexistence and the nonexistence of the other as a infinite concept through revealing the face. This i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it makes a place which is possible of a altruism of the other. Levinas' thought on the other goes beyond a selfish and egoistic world view and entails a possibility of a conversion of culture and ethics on a wider and pluralistic view. Observed through the dance, Levinas 'thought of revealing the face has attained attention to the human body and through it has contrived a framework that can reevaluate the meaning of 'the painful body' and read in diverse viewpoints 'focused on the behavior of the body'. Body in itself is a symbol of its existence. This is an altruistic explanation that does not maintain or overlook conflict with the other but leads to accept and respect the other in the name of co-living(상생). 'Facing each other 'is another critical way of reading and interpreting dance and is expected to be a foundation for extension and creation of a dance point of view. In the process of observing the body movement of the other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of a researcher looking at traces of pain. However, it i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it discovers possibilities that can approach the other by opening the gateway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verbalization. It is hoped that Epistemology, ontology, ethics, metaphysical approaches vivid in Levinas' thoughts can be interpreted in many aspects such as the phenomenology of dance, women's studies, Postmodernism.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인간 주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대철학의 쟁점 가운데 하나였다. 현대에 들어 철학의 방향은 프랑스를 중심으로 주체의 죽음을 선언하며 절대화된 주체, 이성적 주체, 세계의 의미부여자로서의 주체를 부정하였다. 따라서 철학에서 강조하던 주체의 명증성의 문제, 지각의 문제, 의식의 문제 등이 권력과 욕망의 문제로 전환되며 이성의 우상을 파기하기 시작했다. 레비나스는 어떤 철학자보다도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사건에 대해서 타인이라는 문제에 관심을 보이고 있고 이것이 인간존재질서에서 지닌 의미를 밝혀준다고 강조한다. 타인의 존재자체가 인간존재를 규정하는 요소라는 것이다. 따라서 타자라는 의미는 이타행(altruism)이라는 요청이 있는 것으로 주체가 타자의 출현을 통해 이기적인 욕망을 포기하고 타자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바라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레비나스의 타자에 관한 사유는 철학적으로 타자란 인식이 불가능한 상태의 존재로 의미하지만 내가 정의 할 수 없기에 문자적으로 소외된 사람들도 사회적으로 한정하여 정의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레비나스의 타자는 나의 인식 밖의 모든 것을 의미하기에 계층적인 의미로 소수자를 색안경을 쓰고 바라보는데 문제가 지적할 수 있다. 알 수 없는 타자를 함부로 정의하여 내식대로 판단하고 그르다 혹은 옳지 않다라는 재단을 지적한 것이다.
    이러한 책임적 주체의 실천은 춤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레비나스는 인간의 본질에 관한 성찰이 인간 존재에 관한 경험적인 사실과 그것에 바탕을 둔 추론이기에 몸과 몸의 만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여기에 춤은 현존체의 몸을 도구로 사용하는 예술이기에 가능하다. 몸을 통해 타자와 마주하고 관계함으로써 자신의 주체를 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레비나스의 언급처럼 얼굴의 현시, 곧 몸과 몸의 만남을 통해 진정한 내가 될 수 있다는 설명처럼 춤은 얼굴, 음성, 시선 그리고 몸짓을 통해 나와 다른 존재가 개방되어지고 드러난다. 인간의 얼굴과의 만남 곧 몸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무대는 단지 시각에 주어지는 대상의 이미지가 아니라 타자성이 스스로를 표현하고 계시하는 장소이다. 춤추는 몸의 의미는 존재하는 것으로 의식이 그저 표현된다는 마리 쉬나르의 해석처럼 몸의 움직임을 주목함으로 이들의 표현 속에서 나와 다른 사람의 삶과 조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타자를 만나고 겪게 되면서 나라는 주체의 특권을 재사유하고 이들과 함께 공존하여야 함을 상기하며 인간존재가 나아갈 바를 정립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사유는 이기적이고 자아중심적인 협소한 세계관을 넘어 보다 넓은 다원주의적 시각 속에 위치시켜 윤리의 전환적 사고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다원성이라는 이름으로 주체와 타자는 서로의 지평을 열고 공존이라는 시점에서 새롭게 정의내리는 중요한 의미를 담지하는 것이다. 타자의 몸 행위를 주목하는 과정에서 고통의 흔적을 살피는 데는 연구자의 시각이라는 한계가 있으나 언어화의 과정을 통해 소통에 관한 물고를 열어 타자에게 다가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둘 수 있다. 앞으로도 레비나스의 사유가 춤의 다양한 측면으로 해석되어지고 연구되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색인어
  •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 타자(otherness), 현대춤(contemporary dance), 마이클 클락(Michael Clark), 로이드 뉴슨(Lloyed News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