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99&local_id=10015541
교육대학 예비교사의 무용지도력 향상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교육대학 예비교사의 무용지도력 향상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 2007 년 | 최경희(한국무용교육학회)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1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교육대학 예비교사들의 무용 지도력 향상을 위한 이상적인 교사교육 개선안과 실천방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조사연구, 반성일지 및 인터뷰를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무용의 교육적 가치와 성과는 신체적인 것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무용을 통해 학습자의 신체적, 지적, 정의적, 사회적 발달을 포함하는 총제적인 발달에 있다. 무용을 통해 움직임에 대한 이해와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 존중감,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 주변 환경이나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 등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예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부터 무용에 대한 관심 및 호의적 태도를 갖는 긍정적 인식으로의 전환과 교육현장에서의 무용 적용 및 활용 가능성을 인지하게 된 것은 수업과정을 통한 최고의 성과로 볼 수 있다.
    무용지도력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으로는 예비교사들의 무용교과에 대한 중요성 인식, 다양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습득 및 개발 순으로 나타났다.
    무용지도를 위해 강화되어야 할 교사능력으로는 교과내용에 대한 이해력, 학년 및 대상에 따라 효과적으로 수업내용을 교수하는 능력의 비율이 높았다.
    연구과정을 통해 드러난 무용의 교육적 성과는 창의적 사고력과 표현력 배양, 참여자 간의 친교와 친밀감 증진, 움직임에 대한 관심 증가, 표현의 다양성 인식, 순서 및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한 무용 지식 습득, 현장적용 가능성 인식 및 방법 탐구 등이다 반면 제기되는 문제로는 자신감 부족 및 열등감, 과제에 대한 이해 및 완성도 부족, 정확한 움직임 실행능력 부족이다. 수업과정 중 발생한 갈등요인으로는 ‘생각하는 것과 표현하는 것 사이에 차이’, ‘생각할 시간과 연습할 시간의 부족’, ‘지도방법론에 대한 탐색 미흡’, ‘움직일 공간의 협소함’, ‘개별적 보충설명 부족’, ‘모둠원 간의 의견 조절 미흡’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 예비교사들이 무용 지도력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이 요구된다.
    첫째; 교육대학 예비교사들은 무용에 대한 ‘선행경험 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어 교육의 연속성 측면에서 초중등학교에서부터 무용교육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요구된다. 초중등학교에서의 연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 직전교육에서의 교사교육, 워크샵 및 무용발표회 등 교내외 다양한 활동을 통해 무용에 대한 경험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가르칠 교육내용의 이해 및 습득을 좀 더 심화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학기에 걸쳐 창작무용과 민속무용을 나눠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과내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교과 지도방법론을 탐색 할 수 있도록 교과교육 과목을 분리해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움직임 과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창작무용에서는 발견 및 탐구식의 문제 해결학습방법을, 정확한 동작 및 기술 습득이 요구되는 민속무용에서는 개별적 학습을 적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넷째; 일반인으로서 무용을 지도해야 하는 교육대학 학생들의 특수성을 고려해 수준과 목적에 부합하는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섯째, 교육대학 예비교사들의 무용지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준과 목적에 부합하는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외에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구해 볼 수 있는 현장실습의 기회가 강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무엇보다도 무용 수업에서는 자발적이고 능동적 태도가 요구되므로 학생 스스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독려가 필요하다.
    일곱째; 학생들의 교육적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시설 및 기자재가 요구된다. 특별히 움직임 수업을 위한 적정한 공간이 필요하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ch a plan and method for enhancing dance teaching ability of pre-teacher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der to progress this study first, educational value and goal of dance is reviewed and second, pre-teacher′perception and need analysis of dance learning is investigated. Lastly, a diary of self-examination and interview is analyzed.
    The best outcome of dance education is change of positive perception about dance. The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ecam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in school setting and explor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n the one hand, they perceived insufficient of understanding about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mastering skills. It is required continuous opportunity of dance learning including workshop, performance and development dance education programme which is proper for pre-teacher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rease more an hour and school term to enhance dance teaching abi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안무(춤만들기), 공연(춤추기), 감상(춤보기)의 통합적 학습과정을 토대로 창작무용, 민속무용 수업을 체계적으로 시행하므로 무용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실질적 반응과 효과를 검증해 보고, 나아가 무용교과의 지도력 향상을 위해 제기되는 문제점과 이상적인 교사교육 개선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조사연구, 수업일지 분석,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먼저 안무(춤만들기)․공연(춤추기)․감상(춤보기) 등의 통합적 학습과정을 토대로 하는 무용의 교육적 가치와 목표, 수업구성 및 운영방법 등을 각종 문헌 자료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수집 분석하였다. 이어 무용 수업에 대한 생각 및 지도력 배양과 관련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또한 교육수혜자인 예비교사들의 무용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그들의 주관적인 견해와 생각에 밀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사례연구법 중 일지분석, 인터뷰 등의 방법들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초등교육 예비교사의 지도력 향상을 위한 이상적인 교사교육의 개선안과 실천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무(춤만들기)․공연(춤추기)․감상(춤보기)의 통합적 학습과정을 토대로 하는 무용교육의 내용구성 및 운영방법을 검토해 보므로 효과적인 무용학습사례를 탐색하고 검증하였다. 이는 이상적인 무용수업을 위한 실제 내용과 구체적 실천 방법과 관련하는 것으로 예비교사들의 교사교육, 현직교사의 재교육 및 연수,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무용교육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가치 있게 활용 될 것이다. 본 연구자는 2009년 8월에 있을 K교육대학 교사연수에 이와 같은 결과를 참고하여 현직 교사들의 무용 교과내용 이해 및 지도방법론을 탐구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둘째; 연구결과에는 무용교과에 대한 지식 및 기술, 정보부족으로 인해 지도력 미흡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는 예비교사들의 수업의 효과와 가치, 과정상의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효율적인 무용수업의 준비사항과 실제적인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전문 학술지의 논문 게제를 통해 연구 성과물을 알려 본 연구 분야에 관심 있는 교사 및 교육자들과 견해를 공유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색인어
  • 교육대학 예비교사, 무용지도력, 무용수업의 구성 및 운영, 무용 및 무용수업 인식, 교육성과 및 갈등원인, 개선방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