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519&local_id=10014082
속성정보가 유발하는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분의 역할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속성정보가 유발하는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분의 역할연구 | 2007 년 | 최낙환(전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251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12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평가대상과 관련이 있는 감정과 관련이 없는 기분의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소비자의 기분이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영향과 간접영향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제품의 속성유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쾌락속성과 수행속성, 그리고 신뢰속성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속성유형별 어필에 따른 감정유발에 대한 기분의 효과와 유발된 감정의 제품평가효과에 대한 기분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스파․아쿠아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스파․아쿠아의 속성들을 쾌락속성과 수행속성, 그리고 신뢰속성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제품속성에 의한 어필에 의해 유발되는 감정에 대한 기분의 효과와 유발된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품의 속성유형별 어필에 따라 서로 다른 감정이 유발되고, 이렇게 유발된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기분에 따라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즉 기분이 좋은 경우 제품의 쾌락속성 어필이 기쁨 감정을 더 크게 느끼게 하며, 기분이 나쁜 경우 제품의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이 기쁨 감정을, 제품의 신뢰속성에 의한 어필이 안도감 감정을 더 크게 느끼게 하였다. 또한 기분이 좋은 경우 쾌락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기쁨 감정이 제품평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이 나쁜 경우 수행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기쁨 감정이 그리고 신뢰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안도감 감정이 제품평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has three research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is to provide conceptual framework of consumption vision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The second objective is to discuss the concept of consumption vision and to classify factors (vividness, fluency, narrative, and self-reference) that might affect the formation of consumption vision. Third, this study is to understand roles of consumption vision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consumption vision on both emotional and cognitive reactions. Lastly,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h to consequences (positive emotion, usage-situation suitability, critical thoughts and product evaluation) of consumption vis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the four factors on consumption vision are all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ing the formation of consumption vision. Second, a vivid consumption vision affects transportation positively. Third, transportation affects positive emotions and suitability of usage-situation and negatively affect the increase in critical thoughts. Fourth, positive emotions and suitability of usage-situation affect product evaluation positively and critical thoughts affects product evaluation negatively.
    It has been foun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at consumers can be clear of decision-making mechanism when they barely have the character of products and the belief of individual outcome of product using due to alternatives of option that has no direct and personal experience through consumption vision and transportation concept. In addition, what transport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when forming of consumption vision all the more intensifying consumers' emotion and recognition, has been substantiated, this results can be viewed that existing researches have expanded the frame of research abut consumption vision which was treated with limitation on qualitative studies.
    This research has tried verifying on what path consumption vision moves along when it weighs on evaluating products while finding out variations affecting on forming of consumption vision through advertising. What this research implies by this is as follows. First, existing models of decision making process shows that they integrate current belief and evaluations for products' character in order to from attitude toward products, and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on the point that this research has verified consumers' decision-making, which they have to even for alternative options without their direct personal experience, through consumption vision and transportation concept. That is, this research can be viewed to have expanded existing theory of consumption vision, because it has verified that positive consumption vision is formed due to variations such as self-reference, vividness, information fluency, narrative formation of advertising in pre-purchasing situation before consuming products, and this vision makes consumers absorbed, which after all inducing their positive feelings thus influencing on suitability of using situation.
    Secondly, as four factors in forming of consumption vision (self-reference, vividness, information fluency, narrative formation of advertis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ucing positive feeling, curb on critical thinking and affirmative consuming activities (that is, evaluation of products), it implies that marketing manager need to expect not only on the level of consumers' awareness for acts of consumption but also of emotion. This means that, by manager's controlling of consumers' consumption vision, consumers' acts of consumption can be revitaliz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평가대상과 관련이 있는 감정과 관련이 없는 기분의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소비자의 기분이 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영향과 간접영향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제품의 속성유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쾌락속성과 수행속성, 그리고 신뢰속성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속성유형별 어필에 따른 감정유발에 대한 기분의 효과와 유발된 감정의 제품평가효과에 대한 기분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스파․아쿠아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스파․아쿠아의 속성들을 쾌락속성과 수행속성, 그리고 신뢰속성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제품속성에 의한 어필에 의해 유발되는 감정에 대한 기분의 효과와 유발된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품의 속성유형별 어필에 따라 서로 다른 감정이 유발되고, 이렇게 유발된 감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기분에 따라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즉 기분이 좋은 경우 제품의 쾌락속성 어필이 기쁨 감정을 더 크게 느끼게 하며, 기분이 나쁜 경우 제품의 수행속성에 의한 어필이 기쁨 감정을, 제품의 신뢰속성에 의한 어필이 안도감 감정을 더 크게 느끼게 하였다. 또한 기분이 좋은 경우 쾌락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기쁨 감정이 제품평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이 나쁜 경우 수행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기쁨 감정이 그리고 신뢰속성과 관련되어 유발된 안도감 감정이 제품평가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의 초점은 기존연구에서 탐색되지 않았던 제품속성유형별 어필방법에 따른 감정유발에 대한 기분의 조절효과와 유발된 감정과 기분의 제품평가에 대한 상호작용효과에 맞추어져 있다. 연구 결과, 기분에 따른 제품속성유형별 어필은 더욱 강하게 관련된 감정을 유발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감정은 제품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특정제품과 관련된 정보처리를 함에 있어, 감정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는 기존의 이론을 확장하여 제품속성유형과 유발 감정 간의 관계가 탐색되고, 기분의 조절효과가 동시에 연구되기 때문에 기존에 오감을 중심으로 연구된 이론에 속성 정보의 효과를 추가하여 새로운 틀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에게 제시되는 속성단서가 기분에 따라 제품에 대한 정보처리과정과 평가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기업의 마케팅 관리자에게 제시하고 있으며, 마케팅자극을 구성할 때, 소비자의 기분상태와 제품속성, 그리고 유발감정의 효과를 좀 더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소비자들이 목표와 연관된 감정을 더욱 강하게 유발할 수 있도록 감성적 속성단서나 광고의 전달매체나 프로그램, 메시지의 전달내용을 좀 더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광고의 실행을 전반적 분위기에 따라 쾌락속성, 수행속성, 신뢰속성 등으로 나누어 선정하면 효과가 클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경쟁사에 비하여 열등한 속성을 가진 제품의 광고전략을 구성할 때, 표적고객의 기분상태와 선호하는 속성을 활용하고 소비자의 감정을 강하게 유발해 줄 수 있는 속성을 강조하여 유리한 평가로 이끌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색인어
  • mood, emotion, hedonic attribute, performance attribute, reliability attribute, cheerfulness, quiescenc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