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558&local_id=10020409
2인칭서사의 서술특성과 의미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2인칭서사의 서술특성과 의미 연구 | 2007 년 | 황국명(인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52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2인칭서사를 대상으로 그 서술상의 특성과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한국소설사에서 2인칭서사가 갖는 미학적 이데올로기적 의미는 매우 광범위한 문제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제한된 작품만을 살폈으나, 앞으로 이를 기반으로 보다 확장된 연구나 다른 연구자의 전진된 성과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2인칭서사는 ‘너’로 지칭된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직간접적으로 ‘너’에게 말하는 서사라고 잠정적으로 규정된다. 이런 규정 위에서 2인칭대명사가 지시하는 대상을 검토한 결과, 언술행위의 주체로서의 서술자, 언술내용의 주체로서의 개별주인공, 언술행위의 수용자로서의 피서술자, 경험적 독자, 불특정다수가 확인된다.
    둘째, 2인칭서사는 피서술자에 의해 규정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소통전략과 독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반적 수신자를 향한 말걸기를 살핀 결과, 이인성의 「당신에 대해서」는 언술할 만한 내용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언술행위 자체가 스토리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독자 ‘당신’보다 작가 이인성의 자율성이 더 크다 하겠고, 그의 소설이 지닌 파격은 작가 자신에 대한 의식을 예민하게 만든다. 이는 언술 및 언술행위를 신격화할 수 있다.
    셋째, 특정한 수신자를 향한 말걸기를 검토한 결과, 이기호의 「나쁜 소설―누군가 누군가에게 소리내어 읽어주는 이야기」에서 서술자와 독자는 일종의 공모관계에 있다. 이 소설의 서술적 특성은 독서행위의 병렬, 내적 거울 반영(mise-en-abyme)라는 자기반영적 장치 등에 있다. 김연경 의 「「우리는 헤어졌지만, 너의 초상은」, 그 시를 찾아서」는 ‘너’와 ‘나’ 상호간의 긴장되고 대결적인 관계를 주제화하지만, 타자인 ‘너’를 ‘나’의 주체성을 획득하는 조건으로 삼을 뿐 그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래서 주체의 상호주관적 구성이 이루어진다고 보기 어렵다.
    넷째, 언술방법이 곧 사실을 창조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에서, 작중인물의 경험적 삶을 살폈다. 먼저 인물의 삶을 일반화시킨 작품을 분석한 결과, 장정일의 「모기」는 작가 혹은 서술자가 독자를 공격하는 2인칭풍자소설이라 하겠다. 이승우의 「야유―개, 또는 벌레의 세계―」는 서술자의 자기풍자를 내장한 타락한 사회풍경을 드러내고, 최윤의 「갈증의 시학」은 주체성을 잃고 익명의 무리가 되어가는 우리 시대의 삶을 비판적으로 경고한다. 2인칭인물의 삶을 일반화할 경우 대체로 비판적 경향이 강하지만, 김영하의 「당신의 나무」는 인간관계의 수수께끼적 성격, 운명의 신비를 암시한 점에서 구분된다.
    다섯째, 2인칭인물의 삶을 특정 개인에게 귀속시킨 작품으로 유서로의 『지극히 작은 자 하나』를 들 수 있다. 자전적 회고의 성격을 띤 이 작품에서 역사적 시기의 특정화는 증언의 성격을 강화하지만, 작가는 역사적 경험을 독자 일반의 보편적 경험으로 확장하는 데 주저한다. 이는 광주에 없었다는 죄의식의 결과로 여겨진다. 다른 한편, 하일지의 『그는 나에게 지타를 아느냐고 물었다』는 독자가 동일시할 수 없는 특성을 2인칭인물에게 부여하는데, 그 특성은 남근우월적 논리와 연관된다. 이로써 2인칭서사가 모두 급진적인 것은 아님이 분명해진다.
  • 영문
  •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Second Person Narrative


    Hwang, Koog-myoung(Inje University)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second-person narrativ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noun you in second-person texts indicate narrator as subject of discourse, character as subject of story, and narratee, real reader, one as recipient of speech act.
    Second, narrator's address in second-person narratives towards you as general recipient and special recipient.
    Third, second-person texts based on life experience of you-character universalize or individualize the experie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한국 2인칭서사를 대상으로 그 서술특성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2인칭대명사가 지시하는 대상은 서술자, 작중인물, 피서술자, 경험적 독자, 불특정다수이다. 2인칭서사는 피서술자에 의해 규정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소통전략과 독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적 수신자를 향해 직접적으로 말을 거는 작품은 작가의 언술행위에 대한 의식을 강화하고, 특정 수신자를 향해 말을 거는 작품은 서술자와 독자의 공모관계를 보여주거나 타자를 주체성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는다. 언술방법이 곧 사실을 창조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에서 작중인물의 경험적 삶을 살핀 결과, 작중인물의 삶을 일반화시키는 작품은 대체로 비판적 풍자적임이 드러난다. 인물의 삶을 특정 개인에게 귀속시킨 작품은 죄의식을 드러내거나 남근우월적 논리를 강조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2인칭서사의 서술특성과 의미를 살핀 결과, 2인칭은 서술자, 작중인물, 피서술자, 경험적 독자 등을 지시하고 있다. 이로써 이들 텍스트에서 2인칭으로 지시하는 대상은 유연하고 모호하며 불확정적임이 확인되었다. 수신자를 향한 직접적 말걸기라는 측면에서 보면, 2인칭서사는 일반성이 강한 피서술자를 대상으로 하거나 개별성이 두드러진 피서술자를 대상으로 한다. 전자의 경우엔 서술자의 의식적인 행위가 강조되어 언술주체의 신격화를 초래하고, 후자의 경우엔 서술자가 2인칭 대상과 공모관계를 맺거나 2인칭 대상을 주체성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고 있음이 드러났다.
    2인칭인물의 경험적 삶을 살핀 결과, 그 경험을 일반화시키는 텍스트는 2인칭인물 혹은 독자를 비판하고 풍자하는 대상으로 삼으며, 그 경험을 개별화 특정화하는 작품은 서술자의 죄의식을 드러내거나 남근우월적인 논리를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교적 제한된 작품을 분석한 것이므로, 그 결론 또한 매우 잠정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2인칭서사라는 새로운 문학현상과 새로운 언술방식을 검토하고 그 의미와 한계를 따져본 것은 가치있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앞으로 이런 결과를 토대로 하여, 2인칭서사가 갖는 미학적 이데올로기적 의미에 대한 연구가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2인칭서사, 시점, 서술자, 작중인물, 피서술자, 경험적 독자, 말걸기, 경험, 일반성, 개별성, 언술, 이야기, 주체, 타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