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625&local_id=10026667
다문화 가정 유아의 보육지원전략과 과제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다문화 가정 유아의 보육지원전략과 과제에 관한 연구 | 2007 년 | 현정환(서울신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43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보육장면에서 다문화 가정의 유아에 대한 효과적인 보육전략의 수립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이제까지 이와 관련된 연구들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다문화가정의 부모 49명, 다문화 가정 영유아 61명, 일반 유아(부모가 모두 한국인인 경우를 말함) 550명, 보육교사57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문제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유아들의 언어이해 및 언어표현능력은 종래의 연구와 달리 한국 유아에 비해 떨어지는 수준은 아니었다. 다만 만5, 6세에는 한국 유아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지만, 전체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 가정 유아는 「집단 활동의 적응수준, 사회적 규칙준수, 도덕성의 수준」에서 한국 유아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3세의 경우는 다문화 가정 유아가 한국 유아에 비해 집단 활동의 적응이나 사회규칙준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가정 유아의 부모 문제에 대한 조사결과, 교사와의 관계형성이나 원의 행사 참여, 협조문의 이해 등이 어렵다는 점, 교사와의 대화 및 상담에 대한 기대가 강하다는 점, 외국인과 외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자녀양육정보의 제공 등의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를 보육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다문화 가정 유아보육에 있어서 힘든 점은 유아보다는 이들의 부모에 대한 문제인 것으로 나타나다. 예들 들어, 언어의 문제로 의사소통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원의 보육방침이나 원의 행사 협조문이나 준비물을 이해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는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관심은 많지만, 이에 비해 지식이나 이해가 부족하다는 사실, 그리고 교사의 보육능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보육효능감은 다문화보육효능감과도 그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문화 가정 유아보육의 지원전략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제안할 수 있다고 하겠다.
    첫째, 다문화 가정 유아보육의 문제는 다문화 가정 유아보다는 이들의 부모, 특히 결혼이주자 부모에 대한 지원이 더욱 절실하고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지원전략은 다문화 가정 유아보다는 이들의 부모에 대한 지원으로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전략으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부모에 대한 언어교육에 대한 지원전략, 육아상담이나 육아정보 제공 등, 자녀양육과 관련된 지원전략, 다문화가정 유아의 부모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제의 정립, 타문화 존중 및 이해와 관련된 지원전략에 관한 것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갖도록 지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교사가 다문화 가정 유아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육아불안을 해소시키고, 육아정보제공 등의 상담자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행정당국의 지원체제의 확립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행정당국의 지원책으로 다문화 이해를 위한 교사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 정보 제공, 다문화 가정의 부모들을 위한 교육이나 상담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통역사나 다문화 보육 전문 교사의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잇다.
    또한 교사의 다문화 보육능력은 교사 자신이 본래 인지하고 있는 보육효능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다문화 보육능력의 강화전략에는 교사의 보육효능감을 지원하는 전략도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강화 프로그램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for strategies that support multi-cultural children' development and adaptation in day care center and . And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multi-cultural parents' expectations and needs about child care in day-care center, and the problem of caring and teach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investigation of day care center teachers.
    Subjects were 61 young children, 49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550 Korean young children. and 577 day care center teachers. To gain this aims, this study investigated by a questionnair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In the case five or six years ol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development of language was behind compared to korean children. (2) A social supporting system was not enough for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3) Financial problems in their child entering, the application forms or documents necessary for entering the day-care center is impossible to read, expectation to communicate with teacher more time, respecting parents' culture and language, and supporting for consultations for child-rearing. (4) Although teachers have interest in teaching and car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y also lack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hen comparing their interest. (5)Moreover,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play a crucial role in recognizing self-efficacy, and the fact that supporting parents is more necessary than the children.
    Conclusions suggest that establishing of strategies is necessary for not only supporting for linguistic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but also supporting their parents in day care center. And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y required closer cooperation systems between multi-cultural parents and day-care center.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an all-out effort to support education for teachers about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In addition, the supporting programs for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re in great need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보육장면에서 다문화 가정의 유아에 대한 효과적인 보육전략의 수립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이제까지 이와 관련된 연구들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다문화가정의 부모 49명, 다문화 가정 영유아 61명, 일반 유아(부모가 모두 한국인인 경우를 말함) 550명, 보육교사57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문제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유아들의 언어이해 및 언어표현능력은 종래의 연구와 달리 한국 유아에 비해 떨어지는 수준은 아니었다. 다만 만5, 6세에는 한국 유아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지만, 전체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 가정 유아는 「집단 활동의 적응수준, 사회적 규칙준수, 도덕성의 수준」에서 한국 유아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3세의 경우는 다문화 가정 유아가 한국 유아에 비해 집단 활동의 적응이나 사회규칙준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가정 유아의 부모 문제에 대한 조사결과, 교사와의 관계형성이나 원의 행사 참여, 협조문의 이해 등이 어렵다는 점, 교사와의 대화 및 상담에 대한 기대가 강하다는 점, 외국인과 외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자녀양육정보의 제공 등의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를 보육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다문화 가정 유아보육에 있어서 힘든 점은 유아보다는 이들의 부모에 대한 문제인 것으로 나타나다. 예들 들어, 언어의 문제로 의사소통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원의 보육방침이나 원의 행사 협조문이나 준비물을 이해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는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관심은 많지만, 이에 비해 지식이나 이해가 부족하다는 사실, 그리고 교사의 보육능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보육효능감은 다문화보육효능감과도 그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문화 가정 유아보육의 지원전략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제안할 수 있다고 하겠다.
    첫째, 다문화 가정 유아보육의 문제는 다문화 가정 유아보다는 이들의 부모, 특히 결혼이주자 부모에 대한 지원이 더욱 절실하고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지원전략은 다문화 가정 유아보다는 이들의 부모에 대한 지원으로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전략으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부모에 대한 언어교육에 대한 지원전략, 육아상담이나 육아정보 제공 등, 자녀양육과 관련된 지원전략, 다문화가정 유아의 부모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제의 정립, 타문화 존중 및 이해와 관련된 지원전략에 관한 것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갖도록 지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교사가 다문화 가정 유아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육아불안을 해소시키고, 육아정보제공 등의 상담자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행정당국의 지원체제의 확립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행정당국의 지원책으로 다문화 이해를 위한 교사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 정보 제공, 다문화 가정의 부모들을 위한 교육이나 상담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통역사나 다문화 보육 전문 교사의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잇다.
    또한 교사의 다문화 보육능력은 교사 자신이 본래 인지하고 있는 보육효능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다문화 보육능력의 강화전략에는 교사의 보육효능감을 지원하는 전략도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강화 프로그램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를 다문화 가정유아에 대한 것, 다문화 가정 유아의 부모에 대한 것, 그리고 다문화 가정 유아보육을 하고 있는 교사에 대한 것으로 나누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문제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유아들의 언어이해 및 언어표현능력은 종래의 연구와 달리 한국 유아에 비해 떨어지는 수준은 아니었다. 다만 만5, 6세에는 한국 유아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지만, 전체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 가정 유아는 「집단 활동의 적응수준, 사회적 규칙준수, 도덕성의 수준」에서 한국 유아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3세의 경우는 다문화 가정 유아가 한국 유아에 비해 집단 활동의 적응이나 사회규칙준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가정 유아의 부모 문제에 대한 조사결과, 교사와의 관계형성이나 원의 행사 참여, 협조문의 이해 등이 어렵다는 점, 교사와의 대화 및 상담에 대한 기대가 강하다는 점, 외국인과 외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자녀양육정보의 제공 등의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를 보육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다문화 가정 유아보육에 있어서 힘든 점은 유아보다는 이들의 부모에 대한 문제인 것으로 나타나다. 예들 들어, 언어의 문제로 의사소통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원의 보육방침이나 원의 행사 협조문이나 준비물을 이해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는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관심은 많지만, 이에 비해 지식이나 이해가 부족하다는 사실, 그리고 교사의 보육능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보육효능감은 다문화보육효능감과도 그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을 갖고 있다.
    1) 한국과 일본의 각종 학회에 본 연구의 성과를 발표한다.
    2)보육시설장 교육, 보육교사 보수교육 등의 장에서 본 연구의 성과를 소개하고 보육현장에서 본 연구 성과가 실제적으로 적용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3) 본 연구의 성과를 한국아동학회지、한국보육학회지 등에 투고, 게재한다.
  • 색인어
  • 다문화 가정 유아 및 부모(children and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보육의 문제와 과제(problems and assignments of caring and teaching) 보육교사(day care center teacher) 발달과 적응(development and adaptation), 보육에 대한 기대(expectations about child care) 다문화 부모와 어린이집과의 협력체제 (cooperation systems between multi-cultural parents and day-care center)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