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626&local_id=10019186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07 년 | 김숙령(배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45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선행연구들은 영아 보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변인은 기관의 물리적 환경이나 구조적인 변인이 아닌 교사 변인임을 강조하여 왔다. 즉, 영아가 경험하는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관에서 보육을 경헙하는 영아와 영아 교사를 대상으로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고,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에 따라 영아가 부모에 대해 형성하는 애착과 교사와 맺고 있는 관계가 어떠한지, 그리고 또래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행동특성이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관 중심의 보육을 경험하는 만 3세 영아 38명과 이들을 담당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사용한 도구로는 첫째,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Qualitative Rating Scale (NICHD, 1997) 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관찰에 의해 교사의 행동특성을 평정하는 도구로서 보육기관을 방문하여 영아와 교사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하위 영역으로는 sensitivity to distress, sensitivity to nondistress, intrusiveness, detachment, stimulation of development, positive regard for the child, negative regard for the child, and flatness 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각 하위 영역별 관찰자간 신뢰도는 .91-98로 나타났다. 영아의 부모에 대한 애착을 평정하기 위하여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Bretherton, Ridgeway, & Cassidy, 1990)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애착관계에 대한 영아의 표상을 측정하기 위해 가족 인형을 사용하여 가족 간의 갈등이나 영아의 자존감, 외부의 위협 등 애착과 관련된 다섯 가지의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놀이 형식으로 진행하는 영아 면접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애착의 분석은 Golby, Bretherton, Winn, and Page(1995)의 코딩지침과 Bretherton, Ridgeway, and Cassidy(1990)의 지침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애착의 유형은 매우 안정, 비교적 안정, 불환-회피, 그리고 불안-비조직으로 분류된다. 애착 유형의 분류에 대한 평정자간 일치도는 .86-9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분류된 애착 유형을 Maslin, Bretherton, and Morgan(1986)의 제시에 따라 1-4점 척도로 점수화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영아의 교사애 대한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Pianta, 1991)이다. 본 연구 도구의 하위 영역은 영아-교사간 친밀감, 갈등, 그리고 의존성의 세 가지이며 하위척도별 내적 신뢰도는 .78-.94로 나타났다. 끝으로 영아의 사회적 기술 및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 (Merrell, 1994)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크게 사회적 기술(사회적 협력성,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독립성)과 문제행동(사회적 위축, 불안/신체적 증상, 자기중심성, 산만/?옹과다, 공격성)의 두 가지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적 신뢰도는 .84-.97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사회적 기술의 경우 .99-.94로, 행동문제의 경우 .81-.91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와 교사간의 긍정적이고도 질적인 상호작용은 영아로 하여금 부모와 안정된 애착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교사의 민감성(sensitivity to disress와 sensitivity to nondistress)은 부모에 대한 애착 안정성 점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와 교사간의 질적인 상호작용 중 교사의 민감성은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아 교사의 민감성은 사회적 협동성이나 사회적 상호작용과 같은 영아의 사회적 기술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반대로 교사의 민감성 수준이 낮을 낮을 때 공격성이나 불안 및 신체적 증상과 같은 사회적 문제행동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영아 교사의 상호작용 특성, 특히 민감성은 영아의 또래관계와 사회성 발달에 매우 중요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 보육에 있어서 영아 교사의 행동 특성이 영아에게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강조한다. 영아와 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은 영아와 교사간의 관계뿐 아니라 영아가 부모에 대해 형성하는 애착관계, 나아가 또래와 맺어가는 사회적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 영아교사 교육 및 영아교사 재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영아와 교사의 비율을 낮추는 등의 영아 보육 현장의 행재정적 지원을 강조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Issues surrounding early day care become clarified when brought withi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Although many questions regarding day care have emerged, it is concluded that the quality of infant-teacher (caregiver) interact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makes differences.
    In this study, dfferences in Infant attachment, relationship to teachers, and social developmental outcome were explored as a function of the quality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Thirty eight 3-year-olds and their teachers were studied. The quality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attachment security, infant-teacher relationship, and social behaviors were measured. In order to collect data, four instruments were used: Qualitative Rating Scale,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and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 To assess the quality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teachers' behaviors toward infants, Qualitative Rating Scale (NICHD, 1997) was used. In Free play or group activity time, the target infant and teacher were video taped durign center visit. By observing and scoring infant-teacher interaction video-taped, teachers' caring behaviors were rated. The subdimensions were: sensitivity to distress, sensitivity to nondistress, intrusiveness, detachment, stimulation of development, positive regard for the child, negative regard for the child, and flatness. Infants' attachment was was measured using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developed by Bretherton, Ridgeway, & Cassidy (1990).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was desigened to access the internal working model of attachment of 3-year-olds through a story completion task related to attachment and family functioning, acted out with small family dolls. Based on criteria for security and insecurity, attachment data was analyze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Pianta, 1991) and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 (Merrell, 1994) was administered to teachers to measure infant-teacher relationship and infant social behaviors respectively.
    The quality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as characterized by teachers' caring behaviors had significant effect on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parent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s to teachers. Especilly, teachers' sensitivity score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urthermore, the quality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also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infants' social skills including social cooperation and social interaction. Thus the quality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in day care centers appears to faciltate infants' relationship to parents and teachers as well as their social behavi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영유아발달에 있어서 영유아와 양육자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영유아가 양육자와 경험하는 상호작용의 질적 특성은 어떠한지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오늘날 영유아가 낳아준 부모와 함께 지내기보다는 기관에서 보육교사(대리양육자)와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는 추세에 있어, 영유아와 교사간에 어떻게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영아는 생존과 발달을 위한 의사표현력이 약해 일대일의 양육에 의한 관심과 사랑의 보호가 매우 중요하기때문에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기관양육 상황에서 성인과 어떠한 경험을 하게 되는지는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반면에 관련학계에서 진행되어 온 연구들은 주로 유아를 대상으로 한다. 이는 영아를 대상으로 한 자료수집이 쉽지 않고 자료를 수집한다 하더라도 신뢰성 있는 분석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아의 가정 외 보육이 증가하는 현실은 학자들로 하여금 영아를 대상을 한 연구의 필요성을 피할 수 없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관 보육을 경험하는 영아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관찰과 면접, 그리고 설문지 등의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하여 영아가 보육교사들과 어떠한 상호작용 경험을 하는지, 이는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또래들간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상회적 행동특성에는 어떠한 영향릉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경험 변인 외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정적 배경이 유사한 영아들을 선정하였다. 즉, 중류층 가정의 양부모를 가진 38명의 만 3세의 영아들을 7개소의 어린이집에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기관 방문을 통해 교사와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인형을 사용한 영아 개별 면접을 통해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영아-교사간 관계와 영아의 사회적 행동 특성에 대한 질문지를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은 부모에 대한 애착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상호작용의 하위 영역 중 민감성 수준은 영아의 부모에 대한 애착점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일관되게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은 영아의 사회적 협력성과 사회적 상호작용등의 사회적 기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영아 교사의 민감성은 공격성이나 불안 및 신체적 증상과 같은 문제행동과도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영아의 전일제 보육서비스가 급증한 반면에 이와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수행되지 않은 편이다. 특히 교사가 영아에 대해 어떻게 상호작용해야 하는지, 영아의 언어적, 비언어적 신호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나 자료가 취학 직전에 비해 별로 없는 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를 담당하는 교사에게 있어서 질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행동이 어떤 것이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에 대해 말해주고 있다. 특히 영아 교사에게 있어서 영아에 대한 민감한 태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긍정적인 정서 표현이나 발달적으로 적합한 자극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밝혀주고 그 구체적인 행동 특성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영아를 담당하는 교사의 태도로서 영아를 향한 지나친 개입이나 애정적 결합이 느껴지지 않는 무관심한 태도, 혹은 지루하거나 타성에 젖은 행동들이 얼마나 바람직하지 않은지에 대해서도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 교수법에 대한 연구 결과나 자료가 초등학교 취학전 유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별로 없는 현 상황에서, 예비교사 교육이나 교사 재교육의 지침의 일부로 활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영아와 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밝혔다. 그런데 영아와 교사간의 상호작용이 질적으로 우수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자질이나 훈련과 교육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교사가 영아에게 열정을 가지고 몰입할 수 있는 여건 마련도 중요하다. 즉, 교사가 영아 교수법과 상호작용 방법을 안다 하더라도, 많은 수의 영아를 돌봐야 하거나 근무 조건이 열악한 기관에 종사하게 된다면 교사의 능력을 온전히 영아를 위해 발휘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가 영아와 질적인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예비교사 교육이나 교사 재교육을 포함하여 영아보육기관 여건 향상을 위한 제도적, 행재정적 지원을 주장할 수 있는 사회적 논의를 충분히 이끌어낼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영아, 영아-교사간 상호작용, 애착, 사회적 행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