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630&local_id=10020041
Exner의 종합체계에 근거한 한국형 아동 로르샤하 종합체계의 구성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Exner의 종합체계에 근거한 한국형 아동 로르샤하 종합체계의 구성 | 2007 년 |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27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1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Exner의 종합체계에 근거한 한국형 아동 로르샤하 종합체계를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6~12세의 한국 아동 1,049명을 대상으로 로르샤하를 실시하고 채점하여, 113개의 로르샤하 변인, 비율 및 특수지표 등을 계산하여 미국의 아동규준과 비교하고, Exner가 제시한 반응영역과 평범반응이 한국 아동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았다. 자료수집 결과 총 반응수는 22,067개이었고 이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아동은 비교가능한 로르샤하 변인 62개 중에서 53개 변인(85.48%)이 미국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대부분의 빈도지표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Exner가 제시한 D와 Dd 반응영역이 한국아동에서도 나타나는 지를 알아본 결과, 한국아동의 자료에서는 Exner가 제시한 82개 D영역 중 46개, 130개의 Dd영역 중 23개를 동일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아동의 경우 12개의 D, 84개의 Dd 영역을 새로이 추가하여, 총 62개의 D영역과 132개의 Dd영역으로 된 반응영역도를 구성할 수 있었다. 셋째, 이렇게 구성한 반응영역의 반응에 대해서 Exner가 적용한 기준을 사용하여 형태질을 평정하였다. 수집한 자료 중에서 Dd99와 DdS99를 제외한 19,357개 반응의 형태질을 평정한 결과 o, u, -인 반응수는 각각 6,862개(35.45%), 6,575개(33.97%), 5,920개(30.58%)이었다. 넷째, Exner가 제시한 13개의 평범반응이 한국아동의 자료에서도 나타나는지를 알아본 결과 Ⅲ, Ⅳ, Ⅴ, Ⅷ번 카드에서 동일한 5개의 평범반응이 나타났고 다른 카드에서는 평범반응으로 규정할 정도로 반응빈도가 충분히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struct the Korean Rorschach Comprehensive Sstem for children based on Exner's comprehensive system. Rorschach results of 1,049 Korean children, 6~12 years old, were scored and 113 Rorschach variables, ratios, and special scores were compared to American children norm. Also, the location and popular responses were explored whether those were the same with which Exner suggested. The whole number of responses total(R) were 22,067 and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Korean childr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53 variables among 63 comparable variables(85.48%) and frequency indexe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Second, the results identifying whether 82 responses of D and 130 responses of Dd that Exner suggested were presented on Korean children's response indicated that, 46 of D responses, 23 of Dd responses could be scored as the same location as Exner suggested. Korean children responses were commonly located on new 12 D and 84 Dd areas. Adding these new areas, location areas were composed with 62 D and 132 Dd. Third, employing Exner's criteria, form quality was rated on 19,357 responses, without Dd99 and DdS99. The number of responses rated as o, u, - were 6,862(35.45%), 6,575(33.97%), 5,920(30.58%), respectively. Forth, results examining whether the 13 popular reponses given by Exner were listed on Korean children's responses revealed that there were the 5 same popular responses on card Ⅲ, Ⅳ, Ⅴ, Ⅷ but on the other card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Exner의 종합체계에 근거한 한국형 아동 로르샤하 종합체계를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6~12세의 한국 아동 1,049명을 대상으로 로르샤하를 실시하고 채점하여, 113개의 로르샤하 변인, 비율 및 특수지표 등을 계산하여 미국의 아동규준과 비교하고, Exner가 제시한 반응영역과 평범반응이 한국 아동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았다. 자료수집 결과 총 반응수는 22,067개이었고 이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아동은 비교가능한 로르샤하 변인 62개 중에서 53개 변인(85.48%)이 미국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대부분의 빈도지표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예컨대, 발달질 DQo의 경우 우리나라 아동은 미국아동들보다 평균 3~4점 이상 높았고 형태질 FQo는 미국 아동들보다 2배 이상 낮고 FQu는 반대로 2배 이상 낮았다. 그리고 FM, FM+m, Fc+CF+C+Cn, WSumC, 쌍반응, EA, 능동반응, 평범반응 등은 미국아동보다 2~3배 낮았고, 반대로 F반응은 2~3배 높았다. 둘째, Exner가 제시한 D와 Dd 반응영역이 한국아동에서도 나타나는 지를 알아본 결과, 한국아동의 자료에서는 Exner가 제시한 82개 D영역 중 46개, 130개의 Dd영역 중 23개를 동일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아동의 경우 12개의 D, 84개의 Dd 영역을 새로이 추가하여, 총 62개의 D영역과 132개의 Dd영역으로 된 반응영역도를 구성할 수 있었다. 셋째, 종합체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82개의 D영역 중 52개만이 5% 이상 반응하는 영역이라는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Ⅴ번 카드의 경우에 반응빈도가 충분하지 않아서 종합체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6개의 D영역 중 5개는 Dd, 1개는 D와 Dd 어느 영역으로도 분류할 수 없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반응영역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Exner가 적용한 기준을 사용하여 형태질을 평정하였다. 수집한 자료 중에서 Dd99와 DdS99를 제외한 19,357개 반응의 형태질을 평정한 결과 o, u, -인 반응수는 각각 6,862개(35.45%), 6,575개(33.97%), 5,920개(30.58%)이었다. 그리고 형태질이 o, u, -인 백분율은 W, D, Dd 영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o는 W, D, Dd, u는 D, Dd, W, -는 D, W, Dd 순으로 높았다. 넷째, Exner가 제시한 13개의 평범반응이 한국아동의 자료에서도 나타나는지를 알아본 결과 Ⅲ, Ⅳ, Ⅴ, Ⅷ번 카드에서 동일한 5개의 평범반응이 나타났고 다른 카드에서는 평범반응으로 규정할 정도로 반응빈도가 충분히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범반응을 규정하는 빈도는 학자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4번 중 한번 나타나는 기준을 적용하면 종합체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Ⅰ번 카드에 대한 박쥐를 평범반응으로 볼 수 있고 우리나라 아동에게서는 나비보다는 얼굴이라는 평범반응을 하나 제안할 수 있었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에서 제한점과 의미가 있고 추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본 연구는 6~11세 아동들 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후 연구에서는 5세, 12~16세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더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보완하여 아동청소년용 규준자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Exner의 종합체계에선 9,500명, 205,701개라는 많은 수의 반응을 포함시켜 반응영역과 113개의 로르샤하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1,049명, 22,067개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반응영역과 빈도는 추후 연구에서 더 많은 자료를 수집할 경우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1,049명이라는 많은 한국아동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미국아동과 비교하고 반응영역별 빈도를 계산한 결과 미국성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Exner(2001)의 반응영역, 형태질 및 평범반응 등을 판단하는 기준을 한국아동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아동에서 많이 나타나는 새로운 반응영역과 형태질 및 평범반응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후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 뿐만 아니라 대학생, 성인에 이르기까지 더 많은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로르샤하를 실시하여 보다 대표적인 한국형 로르샤하 종합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이후의 보완적인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새로이 제시한 반응영역과 형태질 및 평범반응의 적절성을 재검토한 후 새로운 규준자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현재 상담과 임상 실제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로르샤하를 실시하고 채점할 때는 Exner가 제시한 미국의 규준자료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로르샤하를 실시하고 채점하는 전체적인 골격은 Exner의 방식을 따르지만,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에 근거해서 반응영역, 발달질, 형태질, 반응내용, 평범반응 등과 같은 채점범주에 대한 채점기준과 기초통계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임상과 상담 실제에서 채점하는데 가장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한국형 아동용 로르샤하 종합체계가 마련됨으로써 다른 문화권과의 비교연구가 가능하다. 예컨대, 국내에서 이루어진 석박사 학위논문, 전문 학술지에 발표된 많은 논문들의 결과가 외국에서 수행된 연구결과와 많은 차이가 있는데, 그러한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한다.
    셋째, 한국형 아동용 로르샤하 종합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로르샤하를 실시하고 채점하는데 가장 필요한 워크북(workbook)을 제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색인어
  • 로르샤하, 종합체계, 아동평가, 문화적 차이, 투사법검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