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648&local_id=10023407
초기 마당극 미출간 작품과 구술 해제집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초기 마당극 미출간 작품과 구술 해제집 | 2007 년 | 이영미(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72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5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마당극 작품 중 미출간된 작품의 대본 등 원 자료를 모으고, 이에 대해 관련자의 구술을 포함한 상세한 해제를 붙임으로써, 한국 현대의 유일한 자생적 연극양식이자 예술사․사회사적 가치가 높은 마당극의 작품 연구의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식적 공연예술계의 바깥에서 이루어졌던 마당극 활동은, 그 존재의 특이성 때문에 대본의 미출간, 창작자나 주변 상황에 대한 기초적 정보의 부족으로, 그 역사적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기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의 미출간 마당극 작품 19편을 모으고, 그 공연을 창작하거나 간여한 핵심 관련자를 찾아 심층적인 구술을 받아, 윤문 없는 충실한 채록연구문을 작성하였다.
    이 연구에 담긴 작품과 구술자는 다음과 같다.

    ① 채희완 <예수전>, <미얄>, <밤하늘의 별처럼> / ② 박우섭․김봉준 <동일방직 문제 해결하라>, <농촌마을 탈춤> / ③ 김영철 <씻김탈굿> / ④ 신재걸 <예수의 생애> '원풍모방 놀이마당 3편’ / ⑤ 구재연 <역사탈> / ⑥ 황선진 <관악굿> / ⑦ 류인렬 <노동의 횃불> / ⑧ 박인배 <생활연극>, <비야 비야>, <허연 개구리> / ⑨ 김민기 <1876-1894> / ⑩ 김정희 <마당쇠> / ⑪ 조경만 <죽장망혜> / ⑫ 이상우 <어둠의 자식들> / ⑬ 우수홍 <안암 대동놀이>

    이들의 구술에는, 당시 마당극을 주도한 대학 연극반과 탈춤반의 조직과 활동, 전국적 연합체 조직과 노동자 농민과의 연계활동, 학생운동과의 관계, 마당극 주요 창작자들의 출신과 예술적 체험, 마당극의 독특한 형상화 방식과 미적 특성에 접근해간 경로 등이 상세하게 밝혀져 있다.
  • 영문
  • This paper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research on Madanggek, the unique local theatre genre in contemporary Korea which has a highly artistic and social value, by collecting original sources such as unpublished plays of the 1970s and early 1980s and putting detailed explanations including interviews with creators.

    The research on Madanggeuk activities which happened outside official performing arts scene has been difficult to undertake, despite its importance in history, as its plays were not published and there was a lack of basic information on creators and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plays' creations. Starting from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collected 19 Madanggeuk plays from the 1970s to early 1980s, interviewed those who wrote and engaged in the productions and came up with loyal oral explanations without rewriting.

    The plays and interviewees in this study are:

    ① Chae, Hee-wan <The Story of Jesus>, <Myal>, <Like a Star in the Night Sky>/ ② Park, Woo-sup․ Kim, Bong-jun <Solve the Dongil Bangjik Case>, <Mask Dance at a Rural Village>/ ③ Kim, Young-chul <Ssitkim Mask Goot>/ ④ Shin, Jae-gul <The Life of Jesus> 'Three plays of Wonpungmobang Norimadang’/ ⑤ Koo, Jae-yeon <Mask of History>/ ⑥ Hwang, Sun-jin <Kwanak Goot>/ ⑦ Ryu, In-ryul <Torchlight of Labor> / ⑧ Park, In-bae <Theatre of Life>, <Rain, Rain>, <White Frog> / ⑨ Kim, Min-gi <1876-1894>/ ⑩ Kim, Chung-hee <Madangseoi> / ⑪ Cho, Kyung-man <Jookjangmanghye> / ⑫ Lee, Sang-woo <Children of the Darkness>/ ⑬ Woo, Soo-hong <Ahnam Daedongnori>

    These oral explanations tell us in details how university drama and mask-dance clubs were organized and acted, how they worked together with nation-wide organizations, farmers and workers, their relations with students' movement, Madanggeuk leading artists' social make-up and their artistic experiences, Madanggeuk's unique method of realization and how it achieved its artistic characteristics, etc..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 마당극 작품 중 미출간된 작품의 대본 등 원 자료를 모으고, 이에 대해 관련자의 구술을 포함한 상세한 해제를 붙임으로써, 한국 현대의 유일한 자생적 연극양식이자 예술사․사회사적 가치가 높은 마당극의 작품 연구의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0년대 초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의 마당극은 한국연극사와 희곡사는 물론, 예술사 전반과 사회사를 통틀어 매우 중요한 흐름이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초적 기록의 부족이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대두되어 있다.
    따라서 개인이 소장한 미출간 자료, 혹은 개인의 기억 속에 있는 당시의 체험 등을 발굴하여 공개하는 것이야말로, 이 분야의 연구를 진일보시키는 기초적인 작업이며, 본 연구는 출간되지 않은 희곡과, 개인의 기억 속에 있는 당시의 체험 등을 공식적 기록물로 남기고, 이를 이해할 수 있는 해제와 주석 작업을 하는 일이었다.
    이번 연구는 이중, 1970년대부터 1983년 이전(제5공화국 전반기)까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이 시기의 마당극은 녹음자료나 녹화자료 등도 거의 없는 실정이라, 구술자료의 중요성은 더더욱 크다 하겠다.
    마당극은, 비문학적인 연극으로, 당시 사회운동의 맥락과 긴밀하게 결합된 마당극은, 기록되지 않은 기억들을 발굴해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관련자들의 구술로만 가능하다. 그 작품에 참여한 사람들이 누구인지, 어떤 사람들인지, 어떤 분야에 주 관심을 두고 있었고 어느 측면에서 간여했는지, 공연이 이루어지던 현장의 분위기와 공연의 실제는 어떠했는지 등에 대한 상세한 질의․응답을 기록으로 남겨놓음으로써, 독자가 작품의 전모에 좀 더 정확하고 입체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계획서 상에 예정된 작품은, 1970년대 후반의 <예수전>, <동일방직 문제 해결하라> 등과 1980년대 초의 <관악굿>, <밤하늘의 별처럼> 등, 총 18편이었고, 자료를 모으고 구술채록을 한 결과 19편의 대본과 18편의 구술채록문, 1편의 구술개요문이 정리되었다.
    이들 작품과 구술채록문에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의 마당극운동과 대학 연극반이나 탈춤반의 조직 경위와 활동, 학생운동, 노동자와 농민 들과의 관계 등이 오롯이 담겨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총 18편의 미출간 대본과 관련자 구술이 예정되어 있었는데, 연구 결과 총 19편의 대본과 18편의 관련자 구술채록연구, 그리고 1편의 관련자 구술개요문이 작성되었다. 연구과정에서, 해당 작품을 설명해줄 적절한 구술대상자를 찾지 못해서 몇 작품은 대상에서 누락되었고, 연구진행과정에서 중요한 몇 작품이 새로 발견되어 대상에 추가되는 등, 몇몇 대상 작품이 교체되었다.
    희곡(혹은 작품개요)과 구술채록문(혹은 구술내용 개요)의 매수(200자 원고지 기준)는 다음과 같다.

    ① 채희완 <예수전> : 69매 / <미얄> : 51매 / <밤하늘의 별처럼> : 51매 / 채희완 구술 : 923매
    ② 박우섭․김봉준 <동일방직 문제 해결하라> : 168매 / <농촌마을 탈춤> : 57매 / 박우섭 구술 : 354매 / 김봉준 구술 : 448매
    ③ 김영철 <씻김탈굿> : 71매 / 김영철 구술 : 211매
    ④ 신재걸 <예수의 생애> : 66매 / ‘원풍모방 놀이마당 3편’ : 551매 / 신재걸 구술 : 432매
    ⑤ 구재연 <역사탈> : 59매 / 구재연 구술 : 552매
    ⑥ 황선진 <관악굿> : 151쪽 / 황선진 구술 : 355매 /
    ⑦ 류인렬 <노동의 횃불> : 491매 / 류인렬 구술 : 463매
    ⑧ 박인배 <생활연극> : 150매 / <비야 비야> : 144매 / <허연 개구리> : 303매 / 박인배 구술 : 684매
    ⑨ 김민기 <1876-1894> : 124매 / 김민기 구술 : 107매
    ⑩ 김정희 <마당쇠> : 41매 / 김정희 구술 : 533매
    ⑪ 조경만 <죽장망혜> : 209매 / 조경만 구술 : 368매
    ⑫ 이상우 <어둠의 자식들> : 200매 / 이상우 구술 : 457매
    ⑬ 우수홍 <안암 대동놀이> : 266매 / 우수홍 구술 : 385매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는 당대의 미출간 희곡들을 모은 희곡집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되며, 둘째, 한국연극사와 한국희곡사, 공연예술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본 연구는, 예술사 이외의 풍속사, 사회운동사, 교육사, 교회사 등 다양한 사회사 분야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검열의 영역 바깥에서 이루어진 당대 사회에 대한 발언은 물론, 탈춤운동과 마당극운동의 주체들의 문화적 선경험, 학생운동과의 관계, 노동.농민운동과의 관계 등이 상세히 밝혀져 사회사적 의미가 크다 하겠다.
  • 색인어
  • 마당극, 마당극운동, 구술사, 탈춤, 연극반, 학생운동, 노동자, 농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