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651&local_id=10019920
'三綱行實圖'의 多聲性 硏究 : 바흐찐의 대화이론을 토대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 #39;三綱行實圖& #39;의 多聲性 硏究 : 바흐찐의 대화이론을 토대로 | 2007 년 | 신은경(우석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77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4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언해본 삼강행실도 텍스트들의 공통점은, 한문과 한글, 문학과 그림, 문학안에서 산문과 운문의 交織, 사실과 허구의 뒤섞임, 중국문화와 한국문화의 공존, 초판본·중판본과 같은 이본들 간에 보이는 차이 등 여러 이질적인 요소들이 하나의 텍스트에 복합적으로 공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바흐찐이 제시한 ‘다성성’이라는 용어는 이같은 특성을 포괄하는 데 적합한 이론적 틀이 된다. 본고는 언해본 삼강행실도 텍스트들이 지닌 다양한 특성 중 ‘번역 텍스트’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 "산정언해 삼강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등 세 종류의 언해본을 대상으로 다성적 텍스트로서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언해본 삼강행실도 텍스트들은 다성성을 기본적 특성으로 하지만, 이들의 진정한 텍스트성은 하나의 텍스트에 공존하는 수많은 목소리, 상이한 입장이 ‘孝·忠·烈’이라고 하는 유교적 이념을 향해 지향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유교윤리는 텍스트에 공존하는 수많은 목소리들, 이질적 요소들을 하나로 단일화·중앙집권화하는 ‘중심’ 내지 ‘지평’이 된다. 이런 텍스트적 특성은 ‘多聲的 單聲性’ 혹은 ‘多聲的 求心性’이라는 말로 나타낼 수 있는데, 바로 이 점이 "삼강행실도"를 여타 일반적인 다성적 텍스트와 구분짓는 핵심적 요소가 된다.
    이와 같은 텍스트적 특성에 부합하는 언표적 요소로서 종결법에 주목하였고 그 결과 "삼강행실도" 언해본 및 비슷한 시기에 간행된 교화류 텍스트인 "내훈"에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는, ‘-니라’라는 종결어미는 다성적 단성성에 부응하는 문법적 요소가 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 영문
  • A Study on the Polyphonic Structure of the Samgang hangsil-do : Based on Bakhtin's Dialogic Theo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언해본 삼강행실도 텍스트들의 공통점은, 한문과 한글, 문학과 그림, 문학안에서 산문과 운문의 交織, 사실과 허구의 뒤섞임, 중국문화와 한국문화의 공존, 초판본·중판본과 같은 이본들 간에 보이는 차이 등 여러 이질적인 요소들이 하나의 텍스트에 복합적으로 공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바흐찐이 제시한 ‘다성성’이라는 용어는 이같은 특성을 포괄하는 데 적합한 이론적 틀이 된다. 본고는 언해본 삼강행실도 텍스트들이 지닌 다양한 특성 중 ‘번역 텍스트’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 "산정언해 삼강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등 세 종류의 언해본을 대상으로 다성적 텍스트로서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언해본 삼강행실도 텍스트들은 다성성을 기본적 특성으로 하지만, 이들의 진정한 텍스트성은 하나의 텍스트에 공존하는 수많은 목소리, 상이한 입장이 ‘孝·忠·烈’이라고 하는 유교적 이념을 향해 지향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유교윤리는 텍스트에 공존하는 수많은 목소리들, 이질적 요소들을 하나로 단일화·중앙집권화하는 ‘중심’ 내지 ‘지평’이 된다. 이런 텍스트적 특성은 ‘多聲的 單聲性’ 혹은 ‘多聲的 求心性’이라는 말로 나타낼 수 있는데, 바로 이 점이 "삼강행실도"를 여타 일반적인 다성적 텍스트와 구분짓는 핵심적 요소가 된다.
    이와 같은 텍스트적 특성에 부합하는 언표적 요소로서 종결법에 주목하였고 그 결과 󰡔삼강행실도󰡕 언해본 및 비슷한 시기에 간행된 교화류 텍스트인 󰡔내훈󰡕에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는, ‘-니라’라는 종결어미는 다성적 단성성에 부응하는 문법적 요소가 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의 활용 방안>
    1. 학계에서의 활용 방안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후속 연구를 파생시킨다는 점에서 인문학 발전에 다소 기여하는 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1) 본 연구의 등가와 대응 이론을 토대로 하여 󰡔삼강행실도󰡕 이외에, 그림과 문학 간의 상호 텍스트성이 실현된 텍스트들을 분석할 수 있다. 「춘향전도」 「구운몽도」처럼 고전소설의 핵심적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說話圖’, "詩經"의 '豳風' 중 한 작품인 <七月>을 그림으로 표현한 「豳風七月圖」, 이이의 <고산구곡가>를 선행 텍스트로 하는 「高山九曲歌圖」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림이 선행 텍스트가 되어 그 내용에 어울리는 시를 그림 속에 써넣은 ‘題畵詩’도 이에 해당한다.
    2) "삼강행실도"는 일반 백성들을 교화할 목적으로 언해를 한 최초의 傳記文學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한문으로 된 일반 전기문학과는 인물 설정이나 서사 전개에 있어 여러모로 차이를 드러낼 것으로 생각되어 전기문학으로서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3)"삼강행실도"는 인물의 행적을 산문으로 기록한 뒤 뒤에 詩와 贊을 붙이는 서술방법을 택하고 있어 ‘산문과 운문의 혼합서술’이라는 문체를 파생시킨다. 이 점 또한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4)본 연구는, ‘행실도’계 텍스트 중 「효자도」를 중심으로 효행설화 등 효행을 주제로 다루는 여타 서사문학과 비교하는 연구의 디딤돌이 될 수 있다.
    5) ‘행실도’계 텍스트 중 「열녀도」는 열녀전, 내훈류와 더불어 내방가사 장르의 선행 텍스트가 된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6) ‘행실도’類 텍스트는 중국이나 일본에도 존재하는 만큼, 三國 간의 비교를 행함으로써 동일한 유교윤리가 어떻게 달리 구체화되는 지 살피는 것도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2. 교육현장에서의 활용방안: 요즈음 孝와 같은 유교윤리가 사라져 가고 있는 현실에서 그림이라고 하는 시각적 자료까지 포함하고 있는 󰡔삼강행실도󰡕는 효의 가치를 부각시키는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산정언해 삼강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 오륜행실도, 언해, 번역텍스트, 다성적 단성성, 등가, 대응, 종결어미, -니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