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674&local_id=10016478
조부모와 부모의 아동양육행동에 따른 아동문제행동의 차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조부모와 부모의 아동양육행동에 따른 아동문제행동의 차이 | 2007 년 | 김원경(고려사이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47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의 양육을 지원하는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그의 예언변수들을 탐색하고 이를 양육모집단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할머니 152명(지원 양육조모)과 그 아동의 어머니 152명(부분 양육모),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 157명(주 양육모)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원 양육 조모는 주 양육모와 부분 양육모에 비해 유의하게 우울하였으나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보다 사회적 지지와 문제 중심 대처 능력이 뚜렷이 낮아 스트레스에 가용한 자원이 취약함을 시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예언변수로 양육행동(과잉반응성, 방임성), 스트레스 대처(문제 중심 대처 및 정서 중심 대처), 사회적 지지, 우울의 설명량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변수는 과잉 반응성, 우울이었다. 주 양육모도 과잉반응성과 우울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였고, 정서 중심 대처도 예언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부분 양육모는 사회적 지지, 우울, 과잉 반응성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로 나타나 낮시간 양육 집단과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이나 자원의 측면에서 조모 집단과 모집단의 차이를 논의하고, 예언 변수를 중심으로 양육 집단과 비양육 집단의 차이, 조모 집단과 모집단 간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 영문
  •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mechanisms of caregiving stress,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stress-coping, and social support between caregiving grandmothers and the caregiving mothers. Three caregiving groups were compared; One hundred and fifty-two grandmothers rearing their grandchild as daytime care-giver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 group), 152 mothers who shared the responsibilities of caregiving the same child (partial caregiving-mother group), and another 157 mothers who rear their child as daytime care-giver (primary caregiving-mother group).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for these caregiving groups were also asses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 group had more depressed than two mother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rental stress among three caregiving groups. In addition, primary caregiving-mothers used more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more social support than did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In parental behaviors,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significantly had more laxness, less overactive than two mother groups.
    In the analysis of hierarchical regression, overactivity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in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On the other hand,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overac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in partial caregiving-mothers. In primary caregiving-mothers, overactivity, depression, and emotion-focused cop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We discussed the differences of the predictors in parental stress between grandmothers and moth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조부모-손자녀의 관계에 있어서 조부모의 다양한 역할 중 주로 손자녀를 돌보는 양육자로서의 조부모 역할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에 대한 만족감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조부모의 양육행동과 부모의 양육행동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새로이 증가하고 있는 가족 구성의 형태인 조부모-손자녀의 관계의 질적 측면의 실태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서 바람직한 아동발달 및 노년기 정신건강을 위해 가정, 사회,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주양육 조모집단은 주양육 및 부분 양육모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우울하였다. 양육 행동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주양육 조모는 주양육 모 및 부분 양육 모에 비해, 방임성이 뚜렷이 높은 반면, 부분 양육모와 주양육 모는 과잉 반응성이 뚜렷이 높았다. 또, 주양육 조모는 주양육 모에 비해, 문제 초점 대처를 덜 사용하고 사회적 지지를 덜 지각하였다. 부분 양육 모와의 비교에서도 비슷한 경향성을 보여, 조모는 모에 비해, 문제 해결을 위한 대처자원을 동원하거나 사회적 지지를 받는데서 취약함을 시사하였다.
    [활용방안]
    (1) 학문적, 교육적 활용
    ①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조부모와 부모의 양육행동 차이 검증을 통해 현재 증가하고 있는 조손가정에서의 조손관계의 질적 측면을 탐색하였으며 아동발달의 생태학적 요인으로서의 양육행동의 패턴과 차이를 확인하는 학문적 의의가 있다.
    ② 노년기의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경험적 토대 마련 : 고령화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의 노인들의 노년기 삶의 질과 적응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손자녀돌보기가 노년기의 후반부의 삶의 질에 어떠한 효과를 지니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노년기 우울증 및 노년기의 심리적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에 대한 현실적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2) 정책적 활용
    ① 노인복지 정책 및 아동복지 정책 마련의 기초로 활용: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손자녀양육을 축으로 하는 노년기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기여하는 요인을 밝혀줌으로써 노년기의 보다 나은 삶의 질을 구성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생태학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 연령층과 손자녀 세대에 해당하는 유아 복지 정책을 고안하는 기초적 틀을 제공하였다.
    ②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적 자료 제공: 조부모 세대가 인식하고 있는 바람직한 자녀양육행동 및 이를 통한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동시에 성인자녀 세대가 인식하고 있는 바람직한 양육행동 및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해 보는 것을 통해 조부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새로이 하고 특히 가족관계 영역에서의 성인자녀와 조부모 간의 인식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우리 사회에 직면하고 있는 세대 간 갈등과 무관심을 타파할 수 있는 세대통합 및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에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양육 조모, 양육모, 사회적 지지, 양육 행동, 양육스트레스, 대처행동, 우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