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676&local_id=10015044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 개발 | 2007 년 | 지성애(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5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걸쳐 개발하였다: 첫째, 유아, 유치원, 초등학교, 가정 그리고 지역사회가 함께 연결되는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를 위한 선정기준, 프로그램의 내용 관련 요소 분석, 진행 절차 조직, 그리고 활동 방법 관련 준거 조직과 자료개발의 기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과 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둘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및 가정에서 적용되고 있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 실태와 필요성, 문제점, 그리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한 다음,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 및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학부모들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인식 및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학부모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은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태를 파악한 조사연구 결과와 초등학교 적응 4개 영역(학업수행적응, 또래관계적응, 교사관계적응, 학교생활적응)에 따라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체제를 유지하고 유치원의 생활주제에 맞춰 연계교육 활동을 개발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고 실험처치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 임을 입증한 다음, 실험집단에는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유치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실험처치 후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 프로그램이 유아의 초등학교 일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초등학교 일학년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것을 기대한다.



  • 영문
  • 'The Development Model 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following steps: First, it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ooks and articles to seek the selection standard, element analysis of content, process organization, standar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method, and basic plan of educational materials development of the Development Model 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children,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home and community. Seco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and necessity, issues, and awareness related to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being applied to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home, it was developed the questionnaire, selected teachers of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and parents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then analyzed awareness and status of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the awareness and situation of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y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and parents. Third, the Development Model 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maintained objectives,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evaluation system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s investigating awareness and status of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and four areas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academic performance adjustment, peer relationship adjustment, teacher relationship adjustment, school life adjustment). It also developed kindergarten-elementary linkage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life subject of kindergartens. Fourth, it was conducted experimental study to prove validity of early childhood practice application of the Development Model 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It was se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proved the same quality of two groups through the pre-test. Then it was treate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Development Model 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and was provided the kindergarten-elementary linkage education program to the control group. Finally, it was reveal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Development Model 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of grade 1 children. This result proved validity of early childhood practice application of the Development Model 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apply the Development Model 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o early childhood practi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걸쳐 개발하였다: 첫째, 유아, 유치원, 초등학교, 가정 그리고 지역사회가 함께 연결되는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를 위한 선정기준, 프로그램의 내용 관련 요소 분석, 진행 절차 조직, 그리고 활동 방법 관련 준거 조직과 자료개발의 기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과 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둘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및 가정에서 적용되고 있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 실태와 필요성, 문제점, 그리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한 다음,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 및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학부모들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인식 및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학부모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은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태를 파악한 조사연구 결과와 초등학교 적응 4개 영역(학업수행적응, 또래관계적응, 교사관계적응, 학교생활적응)에 따라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체제를 유지하고 유치원의 생활주제에 맞춰 연계교육 활동을 개발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고 실험처치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 임을 입증한 다음, 실험집단에는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유치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실험처치 후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 프로그램이 유아의 초등학교 일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초등학교 일학년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것을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적 전이에 따른 유아들의 초등학교 적응을 이해함으로서 초등학교 진학 전 유아들이 가지는 기대를 현실화하고 초등학교 입학 후 대면하게 되는 두려움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초등학교 적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프로그램에 가정과 지역사회를 참여시킴으로서 부모들 뿐 아니라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여 부모와 지역사회 인사를 교육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셋째, 유아 발달단계와 유치원에 대한 내용을 초등학교 교사에게도 제공함으로서 유아들이 초등학교 진학 후 받을 충격에 대비하여 급격하게 변화되는 상황을 유치원과 연계하여 해결하고자 할 것이다. 또한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 향한 연계 뿐 아니라 초등학교에서 유치원으로 향한 연계도 활성화하도록 할 것이다. 넷째, 교육 행정가와 전문가들이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여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다섯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류가 이루어지게 되어 한 자녀만을 두는 가정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다양한 형제관계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여 유아들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는 새로운 교육방안을 모색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원할히 할 수 있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특히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과 부모들에게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교육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제시하여 줌으로써 유치원 교육 현장에서 뿐 아니라 초등학교와 가정으로 연계하도록 하여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교육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인프라 구축의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일곱째,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교육을 위한 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프로그램’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및 가정과 지역사회의 연합된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어 기존의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이 서로 단절된 형태로 인식하여 두 교육기관에 대한 서로 다른 지원체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여덟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연계활동을 단기간의 단독으로 수행했을 때보다 주기적이고 장기적이며 계획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초등학교에 적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켜 유아교육의 본질에 충실하면서 초등학교에 연계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가 전인적 유아 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전이, 생태적 전이, 초등학교 적응, 학교적응 영역, 학업수행적응, 또래관계적응, 교사관계적응, 학교생활적응, 또래 상호작용, 유아-교사 관계, 다중지능,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교수방법,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내용,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활동,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