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686&local_id=10014590
사용빈도와 의미투명도가 복합명사의 분리처리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용빈도와 의미투명도가 복합명사의 분리처리에 미치는 영향 | 2007 년 | 이태연(한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4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복합명사의 해석에서 수식어와 핵심어의 분리처리가 필수적인 과정인지 그리고 어휘성과 의미투명도가 분리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차폐점화과제를 사용하여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험 1에서는 친숙한 복합명사와 새로운 복합명사를 사용하여 복합명사의 어휘성이 분리처리의 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친숙한 복합명사나 새로운 복합명사 모두 전체조건과 부분조건에서 반복점화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두 조건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하위 형태소의 의미 투명도가 복합명사의 분리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의미 투명도가 높은 복합명사나 낮은 복합명사 모두 전체조건과 부분조건에서 반복점화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두 조건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명사에서 분리처리가 전-어휘적(pre-lexical) 과정이며 복합명사의 이해과정에서 필수적인 과정임을 시사한다.
  • 영문
  • This study is planned to examine whether decomposition processes between modifier and head are necessary processes in the interpretation of compound nouns and whether lexicality semantic transparency make an influence on the decomposition processes of compound nouns. In Experiment 1, the influence of lexicality on the decomposition process were analyzed by the masked priming task. Significant priming effects were found in whole and part condi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nditions were not significant. In Experiment 2,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semantic transparency of morphemes had an influence on the decomposition process and similar results as experiment 1 were found. In conclusion, the decompositon process is pre-lexical and necessary process in the interpretation of compound nou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복합명사의 해석에서 수식어와 핵심어의 분리처리가 필수적인 과정인지 그리고 어휘성과 의미투명도가 분리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차폐점화과제를 사용하여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험 1에서는 친숙한 복합명사와 새로운 복합명사를 사용하여 복합명사의 어휘성이 분리처리의 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친숙한 복합명사나 새로운 복합명사 모두 전체조건과 부분조건에서 반복점화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두 조건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하위 형태소의 의미 투명도가 복합명사의 분리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실험 1과 마찬가지로 의미 투명도가 높은 복합명사나 낮은 복합명사 모두 전체조건과 부분조건에서 반복점화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두 조건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명사에서 분리처리가 전-어휘적(pre-lexical) 과정이며 복합명사의 이해과정에서 필수적인 과정임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실험 1에서는 새로운 복합명사와 친숙한 복합명사 모두 반복점화에서 전체조건과 부분조건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두 조건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은 복합명사가 하위 형태소로 분리되어 처리되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중경로모형(Frauenfelder & Schreuder, 1992; Schreuder & Baayen, 1997)을 지지한 그 동안의 연구결과들과는 다른 결과로 복합명사의 이해에서 분리처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견해(Taft & Davis, 1975)를 지지한다. 특히, 반복점화에서 친숙한 복합명사와 새로운 복합명사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은 복합명사의 이해과정에서 분리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 2에서도 의미적으로 투명한 하위 형태소를 가진 복합명사나 불투명한 하위 형태소를 가진 복합명사에서 모두 반복점화에서 전체조건과 부분조건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명사의 처리 초기에 하위 형태소로의 분리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의미투명도에 따라 분리처리의 양상이 달라진다는 기존의 연구들(Sandra, 1990; 이태연, 2007; 정재범 등, 2003)의 결과와 차이를 보인다. 이미 언급되었듯이 이러한 결과는 사용된 과제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데 기존의 연구들에서 점화효과에 미치는 의미적 요인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
    실험 1과 2에서 복합명사의 어휘성이나 의미투명도에 무관하게 전체조건과 부분조건에서 반복점화효과가 관찰되었으며 두 조건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는 것은 복합명사는 일단 하위 형태소로 분리되어 처리된 후 의미적 상호작용이 다음에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많은 연구들에서 전체처리와 분리처리가 함께 일어나며 경쟁을 통해 역치에 빨리 도달하는 정보가 반응을 결정한다는 이중경로모형(Frauenfelder & Schreuder, 1992)을 지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으나 실험 1과 2의 결과는 복합명사가 일단 하위 형태소로 분리되어 처리된다는 분리처리가설(Forster & Davis, 1975)을 지지하는 결과로 볼 있다.
    <활용방안>
    그 동안 복합명사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복합명사를 구성하는 형태론 혹은 의미론적 근거를 밝히고 수식어와 핵심어의 관계를 분류하는데 집중되었다. 그러나 영어권에서는 복합명사의 해석에 개입하는 처리과정을 밝히려는 심리학적 연구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 우리말의 경우에는 한자문화의 영향으로 단일어에 비해 복합명사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복합명사가 단일어의 지위를 얻게 되는 경우도 많이 발견된다. 따라서 복합명사의 형성과 해석과정에 대한 규명은 우리말 어휘집(lexicon)의 구조와 접근과정을 밝혀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그 동안 복합명사의 생성과 해석을 설명하기 위한 많은 심리학적 모형들이 제안되어왔으며 이 모형들은 복합명사가 일단 수식어와 핵심어로 분리되어 처리된다는 결합모형의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결합모형의 가정과 모순되는 증거들이 발견되면서 복합명사의 해석에서 분리처리(decomposition process)가 필수적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만일 복합명사가 분리되어 처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면 기존의 심리학적 모형들은 일부 복합명사에만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볼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서로 다른 처리를 가져오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복합명사에서 분리처리가 일어나는지 또한 어떤 요인이 분리처리에 중요한지를 검토함으로써 복합명사의 처리과정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자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복합명사, 차폐점화, 어휘성, 의미 투명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