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메이킹에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개인의 특징을 살려 알맞은 내적,외적 요소를 보충시키는 것이므로 올바른 면접 이미지메이킹에 있어 체형과 얼굴형, 의상 선택에 따른 패션 코디네이션 정보가 필요하며, 취업 준비생들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메이킹에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개인의 특징을 살려 알맞은 내적,외적 요소를 보충시키는 것이므로 올바른 면접 이미지메이킹에 있어 체형과 얼굴형, 의상 선택에 따른 패션 코디네이션 정보가 필요하며, 취업 준비생들의 정보 이용의 대부분이 인터넷임을 착안할 때 웹 사이트를 통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의 시스템 제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면접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업 인사과 면접 담당자들과의 1:1 면접조사를 통해 면접 상황에서의 아이템, 색상, 문양을 고려한 여성 재킷 6벌, 셔츠 & 블라우스 6벌, 스커트 6벌, 팬츠 5벌, 남성 재킷 4벌, 셔츠 4벌, 팬츠 4벌, 넥타이 7벌의 총 42벌의 면접 이미지메이킹에 적합한 의상을 선정하였다.
셋째, 선정된 면접 이미지메이킹에 적합한 의상 42벌과 여성은 표준형, 삼각형, 역삼각형, 직사각형, 모래시계형, 라운드형의 6가지 체형과 계란형, 둥근형, 사각형, 삼각형, 역삼각형, 긴형의 6가지 얼굴형을, 남성은 표준형, 역삼각형, 라운드형의 3가지 체형과 계란형, 둥근형, 사각형, 긴형의 4가지 얼굴형을 직접 제작․시술하여 촬영하였다.
넷째, 현대 이미지메이킹의 활용 사례 조사 결과 3D 이미지 표현은 웹상에서 처리하기에 그 용량이 커서 구동속도와 트래픽 처리 능력에 어려움이 있으며, 의상 맵핑 코디네이션의 경우 2D가 더 활용도가 높으므로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을 2D 이미지 기반의 방법으로 개발하였다.
다섯째,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해 사용자 회원 정보, 사용자 신체 정보, 분류 및 편향, 셀프 코디, 점수 부여, 포트폴리오의 주요 기능과 의상 중첩에 따른 우선순위 설정 기능, 마스터 코디, 에티켓 학습, 컨설팅의 부가 기능을 지닌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도록 웹 사이트를 구현하였다.
여섯째, 취업 준비생에게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을 실제 실행 하도록 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남․녀 4명의 취업 준비생들의 실행 결과 모두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의 점수가 점차 향상되고 있어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을 통해 면접 이미지메이킹의 능력이 증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준비생들에게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웹 사이트를 통해 면접 이미지메이킹의 기초 정보를 제공 및 최적의 패션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여 셀프 이미지메이킹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개발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은 컴퓨터학과, 패션․뷰티 관련학과 또는 교양 수업의 학생들에게 주 전공과의 연계를 통한 심도 있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을 통한 시각적인 자료의 이용은 교육을 용이 하게하여 평생교육원과 같은 제 2의 교육 기관을 통해 학생들의 원만한 대인 관계와 사회 활동을 위한 패션과 퍼스널 이미지메이킹, 취업시 필요한 면접 이미지메이킹 등에 관한 패션의 기본 이론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