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688&local_id=10017748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감성적 매력 품질 디자인 프레임웍에 관한 연구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감성적 매력 품질 디자인 프레임웍에 관한 연구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2007 년 | 서종환(동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52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있어서 감성적 매력 품질의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인터랙티브 제품을 통해 경험하는 품질의 차원과 요소들은 무엇인지를 사용자 연구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있어서의 감성적 매력 품질을 체계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기반 지식을 마련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은 제품의 품질을 크게 기구적 품질과 비기구적 품질로 분류하고 있다. 기구적 품질은 대부분 사용성을 중심으로 한 행위/인지적 요소로 구성되고 있으나 비기구적 품질은 매우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아직까지는 공통된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우선 사용자 20명을 대상으로 경험적 품질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827개의 경험적 품질 관련 어휘들이 수집되었으며 중복 어휘를 정리하고 빈도가 낮은 어휘를 제거하여 최종 50개를 경험적 품질 어휘로 선정하였다. 정리된 품질 어휘들 사이의 상호 관계와 분류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UX 디자인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카드소팅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소팅 결과들은 카드소팅 분석 S/W인 EZCalc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용성, 심미성, 자극성, 정체성 과 같은 4가지 차원과 11개 요소로 구성된 감성적 매력 품질 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의 활용 방안과 향후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영문
  • In the field of user interface design development,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ever to adopt various type of quality related with user emotion in product design.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various elements of emotional attractive quality in users interface design and providing basic knowledge, which can be systematically used in incorporating experiential qualities into interactive product.
    Most existing studies classified qualities related with product design into Instrumental quality and Non-Instrumental quality. Instrumental quality is based on behavioral/cognitive aspect of user experience and mainly focused on usability issue. However, Non-Instrumental quality consists of very diverse elements that are based on emotional aspect of user experience, and there hasn't been any consensus between researchers on its composition.
    An in-depth interview with 20 user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quality that they experienced in using interactive products. As a result, a total of 827 words related with experiential qualities were collected. In those, 50 words were finally selected as keywords for experiential qualities by combining different words of similar meaning and excluding words of low frequency.
    A card sorting test with 12 UX design experts was used to find out correlations between the keywords and classify them into sub categories. Sorting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EZCalcⓒ program, which performs a cluster analysis from which an hierarchical structure is created representing the categorical information combined across participant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a classification of emotional attractive quality in user interface design that consists of 4 dimensions (Practicality, Beauty, Stimulation and Identification) and 11 elements. Finally, its applications to design practice and further study themes were sugges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성 이외의 다양한 경험적 가치의 중요성이 최근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해 느끼는 감성적 매력 품질에는 어떠한 차원이 있으며 그 세부적인 요소들은 무엇인지를 사용자 연구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있어서의 감성적 매력 품질을 체계적으로 구현, 관리할 수 있는 기반 지식을 마련하고자 한다.
    감성적 품질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감성적 품질을 크게 기구적 품질(Instrumental quality)과 비기구적 품질(Non- Instrumental quality)으로 나누어 접근하고 있다.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비기구적 품질은 대부분 사용성을 중심으로 한 행위/인지적 요소로 구성되고 있으나 비기구적 품질은 매우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아직까지는 공통된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
    우선 감성적 매력 품질 관련 어휘 분석을 통해 감성적 품질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827개의 감성적 품질 관련 어휘들이 수집되었으며 중복되는 어휘들을 정리하여 121개로 취합하였다. 다시 서로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어휘들을 통합하여 59개로 압축하였으며 그 중 빈도가 낮은 9개 어휘를 제거하여 최종 50개를 감성적 매력 품질 어휘로 선정하였다. 앞서 50개로 정리된 감성적 매력 품질 어휘들 사이의 상호연관 관계와 구성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감성적 매력 품질의 차원과 요소를 규명해내기 위해 카드소팅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는 UI 디자인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4명은 직접 대면 실험으로, 7명은 원격 실험으로 진행하였다. 원격 실험은 Jorge Toro가 개발한 CardZort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개별적인 소팅 결과들은 취합된 후 IBM사에 개발한 카드소팅 분석 S/W인 EZCalc를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품질 어휘 사이의 계층구조와 분류 체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감성적 품질을 실용성(Practicality), 심미성(Beauty), 자극성(Stimulation), 정체성(Identification)과 같은 4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차원별 세부 요소를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사용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50개의 감성적 매력 품질 어휘를 수집한 후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카드소팅테스트를 활용해 4개 차원과 11개 요소로 구성된 감성적 매력 품질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실용성(Practicality) : 제품이 가지는 기능의 유용함과 의도한 기능의 효율적이고 편리한 사용 (유용함, 사용하기 편리함)
    • 심미성(Aesthetics) : 주로 제품의 외관과 관련되어 전달되는 미적인 즐거움 및 긍정적인 인상 (아름다움, 세련됨, 단순함)
    • 자극성(Stimulation) : 기존의 제품이나 인터랙션 방식과는 차별화되는 새롭고 인상적인 감성의 전달 (독창적임, 흥미로움, 인상적임)
    • 정체성(Identification) : 제품의 소유나 인터랙션 과정 중에 발현되는 개인적 또는 집단적 아이덴티티의 반영 (나와 어울림, 자랑스러움, 애착을 느낌)
    이와 같은 품질 차원과 요소들은 각자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감성적 매력 품질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감성 중심적 디자인 패러다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야로의 확산에 도움
    • 감성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실행적 근거로 활용
    • 사용자의 감성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새로운 연구 방법으로 활용
  • 색인어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자 경험, 감성 디자인, 매력 품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