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03&local_id=10016488
텔레비전 영상의 미학적 특성과 문화철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세계상’, ‘동시성’, ‘공간교차’, ‘흐름’, ‘연속’, ‘사건성’, ‘잠재성’ 등의 기초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5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내용적으로 두 가지 목표를 갖고 있다. 하나는 텔레비전 영상이 지닌 고유한 특성을 핵심적인 기초개념(지각현상학적 특징, 세계상, 동시성, 공간교차, 흐름과 분절화, 연속, 사건성, 잠재성)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일이며, 다른 하나는 이를 바탕으로 텔레비전의 철학적-인간학적 의미를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텔레비전은 서구에서 맥루한과 윌리엄스의 선구적 작업 이후 1980년대부터,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주로 실증적-사회과학적 관점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텔레비전에 대한 연구는 크게 제도적-법적 연구, 수용자 영향 연구, 이론적 연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도적-법적 연구는 텔레비전 방송의 제도적 성격과 법적 조건을 한 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 분야를 말하며, 수용자 영향 연구는 텔레비전 시청자가 방송 프로그램에 얼마나, 어떤 방식으로 노출되어 있고 영향을 받고 있는가를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 이들 두 연구 분야는 언론정보학이나 신문방송학과 같은 사회과학적 학문들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 일반적-추상적인 ‘이론’을 - 대부분 암묵적으로 - 전제하고 진행된다. 하지만 두 연구 분야는 근본적으로는 실증적인 통계 자료를 분석, 평가하는데 주안점을 둔 연구로 볼 수 있다. 반면 이론적 연구는 텔레비전 자체의 특성과 본질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정립하고자 시도하는 연구 분야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본 연구는 철학적-미학적 연구를 지향하는 본 연구의 특성상 이론적 연구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전체적 구성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서론에서는 텔레비전 매체에 대한 기존의 연구동향을 간략하게 스케치하면서 이 주제가 가진 철학적-미학적 중요성을 부각시킬 것이다. 무엇보다 이 주제에 대해 매체철학적으로 접근해야 필요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분명하게 환기시킬 것이다. 또한 논문 전체 구성의 체계성과 논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밝힌다.
    본론의 첫째 부분인 "Ⅱ. 텔레비전에 대한 미학적 연구의 어려움과 매체철학적 의미"에서는 사진과 영화에 비해 철학적-미학적 연구가 그간 미흡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텔레비전 연구가 부진했던 이유는 텔레비전 매체의 다의성과 복합성, 편재성과 일상성, 그리고 텔레비전 영상 자체의 형식적 및 내용적 복잡성의 이유 때문으로 진단한다.
    본론의 둘째 부분인 "Ⅲ. 텔레비전 영상의 미학적 기초개념들"에서는 텔레비전 영상의 존재론적 성격과 고유한 매체효과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핵심 개념들을 발굴하고, 이들 각각의 의미와 상호 연관관계를 상세하게 분석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 주요 개념어로 선택한 개념들로는 지각 현상학적 특징, 세계상, 동시성, 공간교차, 흐름과 분절화, 연속, 사건성, 마지막으로 잠재성 등이다. 이에 대해 칸트와 하이데거의 저작을 원용하여 표현하자면 이 부분은 "텔레비전 영상의 분석론(Analytik)"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본론의 세 번째 부분인 "IV. 텔레비전의 인간학적 및 문화철학적 중요성"에서는 앞선 Ⅲ. 부분의 분석적 해명을 토대로, 보다 사변적이며 포괄적인 관점에서 텔레비전 매체와 영상의 의미를 논의해 본다. 물론 이러한 논의는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한다기보다는 잠정적이며 총체적인 시도에 머물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 시도는 반드시 필요한데, 왜냐하면 Ⅲ. 부분을 지배하는 연구의 관점이 체계적-분석적인 반면에, Ⅳ. 부분에서는 역사적-종합적인 관점에서 텔레비전을 고찰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텔레비전 매체에 대한 연구성과와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향후 보다 진전한 논의가 가능할 수 있을지를 토론할 것이다. 또한 오늘날과 같은 다중복합 매체 현실 속에서 텔레비전 영상이나 프로그램을 고립시켜 논구하는 일이 근본적으로 시대착오적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반대로 다른 매체들과의 연관성 속에서, 다른 이미지, 소리, 텍스트 등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고찰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할 것이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실증적인 자료보다는 미학적 관찰과 분석이 더욱 더 요청되며 인간학적-철학적 그리고 미학적 및 현상학적으로 지닌 양면적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구체적으로 예시하면서 연구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 영문
  • Television era began when the world-war 2 ended, and it brought about enormous shocks and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 in a different way from photography and movie. Television, for the first time of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is able to transmit images from a certain place to other places at the same time. Thus, it changes the possibility and sphere of visual perception and innovates the mode of experience on time and space. It also moved the procedur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social communication and the basis of human experience and viewpoint of world into a new phase. As M. McLuhan said, the two terms 'implosion' and 'global village' are relevant concepts prospecting revolutionary change of electronic media era.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television as a media that leads ways and modes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odern society, and discusses the television under the media-aesthetic and cultural-philosophical point of view. Furthermore this study discusses the television not as mean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ut as 'technical-historical a priori' yielding form and sense. First of all, it closely examines some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viewing' under a perception-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en we move to analyze essential concep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ntological character of television images and special media effects. These concepts are as follows : 'world-image', 'simultaneity', 'crossover of spaces', 'flow', 'series', 'event' and 'virtuality'.
    We also discuss the inter-relationship of them. In addition, special emphasis will be laid on the culture-philosophical meaning of television and its flowing images. Here following scholars can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considering media-asthetic meaning of television : M. McLuhan, V. Flusser, N. Luhmann, P. Virilio, F. Kittler, N. Bolz and L. Engell.

    This study is expected to stimulate a new aesthetic and media-theoretical research. First, it can make contribution to explaining multi-meaningful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Second, it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television images and their ontological status. And third, this article can explain that perceptive mode and horizon that television images produce must be conceived in terms of key concepts such as world-image, virtuality, flow, segmentation, series etc. Finally forth, this article can make a progress in studying form and motives of contemporary ar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시작된 텔레비전의 시대는 사진과 영화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사회와 문화에 큰 충격과 파장을 야기했다. 왜냐하면 텔레비전은 인류 문명사에서 처음으로 어떤 장소의 이미지를 공간적인 이격(離隔)을 뛰어넘어 동일한(혹은 거의 동일한) 시간에 다른 장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이로써 텔레비전은 시지각의 가능성과 지각의 무의식, 그리고 예술 영역을 근본적으로 혁신하였다. 더불어 시간과 공간에 대한 지각 방식과 사유는 물론, 정보 전달과 커뮤니케이션, 세계에 대한 경험(세계상)과 사유의 토대를 새로운 단계로 옮겨 놓았다. 20세기 전·후반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한 현상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가 맥루한의 개념들, 즉 ‘내파(implosion)’와 ‘지구촌(global village)’은 텔레비전으로 대표되는 전자매체 시대의 혁신적인 변화를 긍정적으로 전망한 개념들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텔레비전을 현대사회의 지각방식과 경험방식을 주도하는 매체로서 주목하면서 매체미학적 및 문화철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텔레비전을 단순히 내용과 정보의 전달수단으로서가 아니라 형식과 의미를 산출하는 ‘기술적-역사적 아프리오리(a priori)’로서 고찰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우선 본 연구는 텔레비전을 ‘마주하고 영상을 바라보는 과정’ 자체가 가진 지각현상학적 특징들을 가능한 세밀하게 관찰하고 기술하였다. 이어서 우리는 텔레비전 영상의 존재론적 성격과 고유한 매체효과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핵심 개념들을 발굴하고 그 의미를 반성해 보았다. 이들 핵심 개념들은 ‘세계상’, ‘동시성’, ‘공간교차’, ‘흐름’, ‘연속’, ‘사건성’, ‘잠재성’ 등이었으며 이들의 상호 연관 관계 또한 개략적으로나마 토론해 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텔레비전이 인간학적으로, 그리고 문화철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진 매체인가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았다. 여기서는 맥루한M. McLuhan, 플루서V. Flusser, 루만N. Luhmann, 비릴리오P. Virilio, 키틀러F. Kittler, 볼츠N. Bolz, 엥엘L. Engell 등의 사상가들이 중요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텔레비전 영상의 미학적 특성과 문화철학적 의미를 반성하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미학적 및 매체이론적 연구에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연구는 텔레비전 매체의 본질적인 다의적이며 복합적인 성격을 해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기술주의적,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문화사적 관점 등 텔레비전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균형감 있게 고려하고, 텔레비전 매체와 영상 자체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적 인식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둘째, 본 연구는 텔레비전 영상이 지닌 특성과 존재론적 성격을 보다 섬세하게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텔레비전의 영상이 사진과 영화의 이미지와 어느 지점에서 근본적으로 차별화되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텔레비전 영상이 촉발하는 지각방식과 인식의 지평이 세계상, 잠재성, 흐름, 분절화, 연속, 사건 등의 개념들이 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텔레비전을 미학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기초개념들을 체계적-역사적으로 이해하는데 의미 있는 단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현대 세계의 대표적인 매체와 영상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가깝게는 현대 예술의 모티브 및 형식 연구를 진전시키고, 좀 더 멀게는 미술, 문학, 영화, 음악, 디지털아트 등 현대 예술장르의 변천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위 포스트모더니즘의 생활세계와 경험양상을 보다 더 잘 이해하는데도 생산적인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텔레비전 영상의 미학적 특성과 문화철학적 의미를 반성하는 본 연구는 그 동안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게 혹은 단지 간접적-부분적으로 이루어진 독창적인 주제이다. 기존의 국내외 연구 성과를 가능한 충분히 수용하면서 진행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미학적 및 매체이론적 연구에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매체철학의 관점에서 텔레비전에 대한 이론적 토대와 기본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텔레비전 매체 고유의 기본적인 성격들 및 개념들을 선별해 분석하고 토론하는 일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는데 의미 있는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연구는 텔레비전 매체에 대해 현대의 영상(映像)에 대한 포괄적인 문화철학적 접근 및 미학적 접근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텔레비전에 대한 본질적인 다의적이며 복합적인 성격을 해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기술주의적,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문화사적 관점 등 텔레비전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균형감 있게 고려하기 때문이다. 또한 텔레비전 매체와 영상 자체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적 인식을 추구하고 자세하게는 현상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텔레비전 매체 고유의 성격들을 엄밀하게 진단해볼 수 있는 개념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때문이다.
    둘째, 본 연구는 텔레비전 영상이 지닌 특성과 존재론적 성격을 보다 섬세하게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텔레비전의 영상이 사진과 영화의 이미지와 어느 지점에서 근본적으로 차별화되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매체 고유의 특성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고 논의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텔레비전 영상이 촉발하는 지각방식과 인식의 지평을 다음과 같은 개념어들, 즉 세계상, 잠재성, 흐름, 분절화, 연속, 사건 등의 개념들이 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세밀하게 분석하고 분류한 이 개념어들은 텔레비전을 미학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기초 개념들이 될 것이다. 아울러 이 개념들은 텔레비전에 대한 체계적-역사적으로 이해하는데 의미 있는 단초를 제공해줄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현대 세계의 대표적인 매체와 영상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가깝게는 현대 예술의 모티브 및 형식 연구를 진전시키고, 좀 더 멀게는 미술, 문학, 영화, 음악, 디지털아트 등 현대 예술장르의 변천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소위 포스트모더니즘의 생활세계와 경험양상을 보다 더 잘 이해하는데도 생산적인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텔레비전 매체 등장 이후의 나타나는 현상인 텔레비전 매체의 자기 진화와 기술적 진보,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인터넷 매체와 휴대폰 등 새로운 전자 및 디지털 매체에 대한 미학적이고 철학적인 연구에 대해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과제와 동일한 제목인 「텔레비전 영상의 미학적 특성과 문화철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로 2010년도 상반기에 연구자가 주로 활동하고 있는 학회인 <한국미학예술학회>의 학회지인 "미학예술학연구" 혹은 "한국미학회"의 학회지인 "미학"지(두 학회지 모두 학술진흥재단 등재학회지임)에 기고할 예정이다. 또한 연구자가 추후 집필할 계획에 있는 이론 교재인 (가칭)"영상 매체 미학 강의"에서 적절히 활용될 것이다.
  • 색인어
  • 텔레비전, 영화, 영상, 뉴미디어, 세계상, 동시성, 공간들의 교차, 흐름, 분절화, 연속, 사건성, 잠재성, 영상이론, 영상미학, 매체미학, 영상에 대한 문화철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