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12&local_id=10015951
중등 영어 학습자를 위한 다독 읽기 활동의 효용성탐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등 영어 학습자를 위한 다독 읽기 활동의 효용성탐구 | 2007 년 | 최성희(경기과학기술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75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그동안 제한된 교실 수업이라는 특징을 가진 EFL 상황에서 다독 읽기 활동이 거의 시행 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제한적인 현 중등학교 영어 교육 상황에서도, ‘다독 읽기 과정’의 도입이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교사 자신들이 다독 읽기의 효용성과 가능성에대해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 에서는 우선 6명 이내의 초, 중등 영어 교사의 자원 신청을 받아, 다독 읽기 과정에 대한 이론적 측면과 현실적 교육 가능성에 대해 훈련을 하고, 실제 현장에서 1년간 본인이 가르치는 학생 한반을 대상으로 다독 읽기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교사들에게 교육 훈련을 제공한 후 그것을 실제 교실수업에서 사례 연구로서 실행해 보도록 유도함으로서, 교사들이 앞으로 광범위하게 다독 읽기 활동을 교실수업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본 연구가 지향하는 주요 목표였다. 본 연구는 2008년 3월부터 두 학기 동안,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에서 각각 진행되었다. 중학교는 2개 학교, 각 1학년과 3학년을 대상으로 총 6학급(239명), 고등학교는 2개 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총 7학급(268명)에 실시하였다. 대학생 대상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공학계열 전공자 100명과 4년제 대학 인문계열 전공자 총 60명이 참여하였다. 책 선정은 학생들 대부분이 영어로 된 책을 처음 읽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수준별로 구성된 영어 소설책들과 현재 영어권 국가에서 인기 있는 청소년 문고 위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추천된 책 중 각자 수준에 맞는다고 생각하는 책을 읽거나 자발적으로 원하는 책을 선정하여 읽었다.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독서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책 읽기 진행 상황을 살피고 독서량을 파악하였다. 다독을 통해 영어 읽기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했는지 측정하기 위해 선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으며, 영어 읽기 능력의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선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앗으나, 설문 조사에서, 자신감, 동기, 흥미도 부분에서 상당히 긍적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 영문
  • In a traditional English classroom in Korea, extensive reading(ER) method has hardly been practiced. This study aimed to practice the extensive reading method in Korean EFL classrooms with the belief that it is possible to include extensive reading method in the Korean EFL classrooms. This study provided teacher training about ER so that teachers could believe its effects and could practice the method. Six teachers were selected to practice ER in their own classrooms for one year. The books were selected based on the learner level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write reading journals. Pre-tests and post-tests were implement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after the study. It was not found big difference in the tests, but through the survey, students showed strong positive responses especially on the areas such as self-confidence, interests and motiv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그동안 제한된 교실 수업이라는 특징을 가진 EFL 상황에서 다독 읽기 활동이 거의 시행 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제한적인 현 중등학교 영어 교육 상황에서도, ‘다독 읽기 과정’의 도입이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교사 자신들이 다독 읽기의 효용성과 가능성에대해 믿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 에서는 우선 6명 이내의 초, 중등 영어 교사의 자원 신청을 받아, 다독 읽기 과정에 대한 이론적 측면과 현실적 교육 가능성에 대해 훈련을 하고, 실제 현장에서 1년간 본인이 가르치는 학생 한반을 대상으로 다독 읽기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교사들에게 교육 훈련을 제공한 후 그것을 실제 교실수업에서 사례 연구로서 실행해 보도록 유도함으로서, 교사들이 앞으로 광범위하게 다독 읽기 활동을 교실수업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본 연구가 지향하는 주요 목표였다. 본 연구는 2008년 3월부터 두 학기 동안,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에서 각각 진행되었다. 중학교는 2개 학교, 각 1학년과 3학년을 대상으로 총 6학급(239명), 고등학교는 2개 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총 7학급(268명)에 실시하였다. 대학생 대상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공학계열 전공자 100명과 4년제 대학 인문계열 전공자 총 60명이 참여하였다. 책 선정은 학생들 대부분이 영어로 된 책을 처음 읽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수준별로 구성된 영어 소설책들과 현재 영어권 국가에서 인기 있는 청소년 문고 위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추천된 책 중 각자 수준에 맞는다고 생각하는 책을 읽거나 자발적으로 원하는 책을 선정하여 읽었다.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독서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책 읽기 진행 상황을 살피고 독서량을 파악하였다. 다독을 통해 영어 읽기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했는지 측정하기 위해 선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으며, 영어 읽기 능력의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선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설문 조사에서, 자신감, 동기, 흥미도 부분에서 상당히 긍적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교사와 학생들은 대체로 다독 읽기 활동의 도입에 대해 설문 조사와 읽기 리포트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주었다. 연구 결과는 현재 분석 중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먼저 이론적, 실제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EFL 상황에서 읽기 지도의 이론적, 실제적 발전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전의 읽기 지도 연구에서 다독 읽기 활동의 효과성 및 실용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하였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는 참여자들이 연구 기간 내내 교사들이 실제 현장에서 이론적으로 중요하다고 주장되는 다독 읽기 과정을 학생들에게 직접 지도하고 수업활동에 반영하여, 그 결과를 스스로 분석해 보고, 지도 방법을 발전시켜 나감으로서, 읽기 지도의 이론적 발전 뿐 아니라 현자에서 읽기 지도의 모형을 개발하는데 실제적으로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집중 읽기 활동과 다독 읽기 활동이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비교연구에도 공헌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하여, 집중 읽기 지도에만 국한 되어온 한국의 영어 교육 읽기 지도에서 다독 읽기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는 혁신적인 모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교사 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그동안 한국의 교사교육에서는 교사 교육가는 이론을 이야기하고, 교사는 실제적인 경험을 중요시하는 과정에서 이론과 실제가 괴리되고 교사 교육가와 교사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는 상태가 계속되어왔다. 이를 극복하는 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 교육가(연구자)와 교사들이 긴밀히 협력하여 교육적 이론이 자연스럽게 실제 수업 진행과정에 반영되는 것을 지향한다. 그리하여 교사들이 이론과 실제를 통합 할 수 있는 자율적 능력을 기르도록 안내하는 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될 영어 다독프로그램은 읽기지도 방안이 학습자의 동기 유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시 말해 본 연구를 통해서 언어학습에 있어 부수적인 것들로 인식되어 왔던 영어에 자신감, 내적 동기 등의 정의적 요인들이 영어 수업의 주된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증거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 영어 학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하나의 모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연구에서 시행하는 다독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이들은 영어로 된 글을 읽으면서 스스로 자신의 영어실력을 검토해 보고, 자신의 영어학습의 문제점 등을 발견해 보며, 자신의 학습에 대해 반성, 수정, 검토,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초중등 영어 읽기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 영어 학습의 하나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교과서에는 만날 수 없는 다양한 장르의 읽기자료를 읽음으로써 진정성있는(‘authentic') 목표언어를 충분히 접하게 되고 더 나아가 제2언어 학습에서 필수적인 요소인 목표문화에 대한 이해를 확장함으로써 영어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읽기지도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다독 읽기 활동, Extensive reading, 교사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