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18&local_id=10023234
글로벌 패션 브랜드 육성을 위한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 및 패션소비자정보시스템 개발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글로벌 패션 브랜드 육성을 위한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 및 패션소비자정보시스템 개발연구 | 2007 년 | 고은주(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09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5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글로벌 시장 환경에서 패션브랜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해외목표시장과 고객의 욕구를 정확히 수집, 분석할 수 있는 패션소비자 정보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며, 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축과 다원화된 소비자와 바이어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해외시장 세분화전략 모델링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시장에서 국내의류기업의 경쟁력확보를 위해 의류기업의 해외진출현황을 분석, 진단하여 성공적인 글로벌 브랜드 육성을 위한 글로벌 소비자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해외시장별, 제품별 특성에 맞는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을 개발하고자 한다.
    첫째, 글로벌 패션산업 환경(미국, 중국, 영국, 스페인, 프랑스)의 패션마켓규모 및 소비자트렌드의 추이분석을 통하여 패션 브랜드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둘째, 글로벌 패션소비자를 라이프스타일 군집별로 세분화하고 연도별(2008년, 2009년, 2010년), 국가별(미국, 중국, 유럽)로 특징을 분석하고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으며, 셋째, 세분집단별(국가, 라이프스타일), 제품특성별(복종별)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으며, 국가와 라이프스타일 세분집단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고, 넷째, 글로벌 패션소비자 정보에 기초한 해외시장 전략 모델링이 가능한 웹 기반 글로벌 패션소비자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정 척도를 개발하고 웹 기반 소비자 정보시스템의 구성 형태를 고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글로벌 패션소비자에 대한 종적(2008년∼2010년)인 조사를 토대로 글로벌 패션 마케팅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해외시장별, 라이프스타일별 특성에 맞는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즉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변인을 도출하여 모델링을 실시하고, 나아가 문헌 연구 및 조사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최종적으로 웹 기반 패션소비자 정보 시스템을 개발하여 글로벌 패션 브랜딩 전략을 제안하였다.
  • 영문
  • The present study proposes and tests an integrative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fashion marketing mix, brand image,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in global fashion market. The questionnaire surveys of 1,904 consumers in the US, China, and Europe were conducted over three year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SEM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ashionable characteristics, perceived quality, and promotion have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fashion brand image. In addition, the results of SEM analyses show that brand image leads to brand loyalty, also exerting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urther, the multi-group analysis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M among countries(the US, China, and Europ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ing fashion lifestyle of global consumer and to compare among US, Chinese and EU consumers. First, it is shown that significant lifestyle factors of global fashion consumers are "adventure seeking", "fashion-oriented", "conspicuous consumption", "leadership", "brand-oriented", and "DIY".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of lifestyle types, four cross-national market segments are identified. These segments can be labeled as follows: "conservative fashion-oriented group", "passive consumer group", "neutral consumer group", "active fashion-oriented group". Second, findings also reveal that fashion lifestyle segments ha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nationality and years. Third, the US consumers tended to have conservative fashion-oriented lifestyle in 2008, however global consumers were changed to have active fashion lifestyle in 2010.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to global brands in planning marketing strategies by offering specific information for global consumer fashion lifesty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글로벌 시장 환경에서 패션브랜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해외목표시장과 고객의 욕구를 정확히 수집, 분석할 수 있는 패션소비자 정보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며, 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축과 다원화된 소비자와 바이어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해외시장 세분화전략 모델링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시장에서 국내의류기업의 경쟁력확보를 위해 의류기업의 해외진출현황을 분석, 진단하여 성공적인 글로벌 브랜드 육성을 위한 글로벌 소비자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해외시장별, 제품별 특성에 맞는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전략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각 대륙별 소비자(미국, 중국, 유럽)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중국, 유럽의 소비자 각각 704명, 515명, 68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브랜드를 진 브랜드와 스포츠 브랜드로 의복종류를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08년 1월부터 2010년 2월까지로, 각 연도 당 세 지역(미국, 중국, 유럽)에서 각각 1회씩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9회의 조사를 진행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글로벌 패션산업 환경(미국, 중국, 유럽)의 패션마켓규모 및 소비자트렌드의 추이분석을 통하여 패션 브랜드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둘째, 글로벌 패션소비자를 라이프스타일 군집별로 세분화하고 연도별(2008년, 2009년, 2010년), 국가별(미국, 중국, 유럽)로 특징을 분석하고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셋째, 연도별, 세분집단별(국가, 라이프스타일), 제품특성별(복종별)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으며, 국가와 라이프스타일 세분집단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넷째, 글로벌 패션소비자 정보에 기초한 해외시장 전략 모델링이 가능한 웹 기반 글로벌 패션소비자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정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척도를 활용가능한 형태로 웹 사이트에 제안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패션소비자에 대한 종적(2008년∼2010년)인 조사를 토대로 글로벌 패션 마케팅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해외시장별, 라이프스타일별 특성에 맞는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즉 해외시장 세분화 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변인을 도출하여 모델링을 실시하고, 나아가 문헌 연구 및 조사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최종적으로 웹 기반 패션소비자 정보 시스템을 개발하여 글로벌 패션 브랜딩 전략을 제안한다.
    학문적 기여도로는 본 연구를 통해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산학응용연구 분야에 대한 활성화가 가능하며, 의류기업의 해외진출 현황에 대한 정보는 중소기업의 정책지원을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 구축한 웹 기반 패션소비자 정보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패션 소비자에 대한 데이터를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패션 연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해외소비자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전략모델 등은 국내의류기업이 성공적인 해외시장개척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시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국내의류기업의 초기 해외진출 시 시행착오를 줄이고 사업진출의 성공률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공공기관의 웹사이트 및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연동하여 산, 학, 연, 관의 수요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연구결과정보를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패션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 구축한 웹 기반 패션소비자 정보분석 시스템의 개발로 개별 패션 소비자가 자신의 패션 소비 활동을 조명하고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인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소비활동을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웹 기반 패션소비자 정보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패션 소비자에 대한 데이터를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패션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력 양상 방안 및 교육과의 연계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학부 및 대학원의 강의 등에서 본 연구결과인 해외소비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해외브랜딩 방법론의 교육을 통해 향후 기업에서 필요한 글로벌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의류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홈페이지를 통해 해외마케팅 컨설팅 의뢰를 접수받고, 연구책임자의 지도하에 학습된 해외마케팅 방법론을 통해 학생들이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기업은 산출물을 업무에 활용하는 산학 협동 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
  • 색인어
  • 글로벌 패션 브랜드, 해외시장 세분화, 패션소비자정보시스템, 미국, 유럽, 중국, 글로벌 패션환경 분석, 진 브랜드, 스포츠 브랜드, 패션마케팅 요소, 마케팅 효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