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19&local_id=10017811
u-museum 환경에서 문화콘텐츠 정보제공모델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u-museum 환경에서 문화콘텐츠 정보제공모델 연구 | 2007 년 | 황동열(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10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디지털사회로 변화하는 중심에는 창의성과 상호소통성(Interactivity)이 핵심문제로 부상이 되며, 이에 따라 디지털과 연계되는 u-museum의 기능과 역할이 정립되고 있다. 미술관은 공공의 공간으로 이용자의 행동이 단순해서 모형화하기 쉽고, 전시와 열람을 목적으로 한 공간이어서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u-museum은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첨단디지털기술을 활용하여 자료를 디지털콘텐츠화하고, 가공과 관리에 필수적인 유통기술과 저작권관리기술을 활용하여 집중적으로 통합관리하여, 유비쿼터스컴퓨팅과 네트워크기술을 연계하여 최적의 사용과 이용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새로운 창작활동을 위해서는 미술콘텐츠 창작소재 수요의 증가, 시장 활성화를 위한 법ㆍ제도 개선 및 산업 육성정책, 콘텐츠 불법복제를 방지하고 적정한 대가가 지불되도록 하는 제도적ㆍ사회적인 환경 조성이 필요하고 향후 미술콘텐츠의 국내.외 유통을 위해 글로벌하게 통용되는 디지털 표준화 체계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박물관 중에서 정보내용이 다양하고 유통기술의 표준화가 미진하고, 저작권 등 법적 침해사례가 빈번한 미술관을 중심으로 u-museum의 유통관리요소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미술콘텐츠의 유통이 가능한 u-museum을 구축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는 가공, 관리, 보호/보안, 전달, 이용, 모니터링 분야로 분류될 수 있으나, 공공문화콘텐츠와 관련된 핵심 유통기술인 식별체계, 메타데이터, 저작권보호 관련 기술을 중심으로 국내외 주요 미술관의 개발 및 운영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미술관에서 도입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미술콘텐츠의 개념, 미술관 및 미술계의 콘텐츠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사립미술관협회, 아르코예술정보관 등에서 생산되는 미술콘텐츠의 가치사슬과 유통체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국내외 미술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U-museum개발 및 활용기술, 운영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일본 노무라연구소의 구(GOO)패스 시스템, 국립현대미술관의 유비쿼터스시스템을 분석하였다.

    셋째, 미술콘텐츠의 해외수출을 위해 글로벌하게 통용되는 디지털콘텐츠 식별체계 정립이 필수적이며, 특히 디지털콘텐츠의 효율적인 검색 및 관리를 위한 통합된 메터데이터 표준화 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기술에서 미술콘텐츠의 유통과 관련된 기술요소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메타데이터 등의 식별체계,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등 보호 보안기술에 대한 국내외의 개발 사항과 활용현황을 조사하였다.

    넷째, 저작권 집중관리와 위탁관리 방안에 대한 국내외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EU의 IMPRIMATURE(Intellectual Multimedia Property Rights Model and Terminology for Universal Reference)와 FILIGRANE, 일본의 Cidf,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국저작권보호센터 등 저작권유통기관의 운영방식을 분석하였다. 기술측면으로는 미술콘텐츠 유통 시 불법 복제를 방지하고 유통흐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콘텐츠저작권을 보호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워터마킹, 인증기술이 필요하다.

    다섯째, 미술콘텐츠유통기술은 국내에서는 초기 단계이므로, 해외의 유수한 미술관 또는 미술콘텐츠관리기관의 현황 및 운영상황을 조사하였다. 특히 미술콘텐츠의 지속적인 관리 및 운영을 위한 연구개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해외의 유사사례를 조사하였으며, Getty Museum의 미술정보관리체계 AAT(Art & Archetecture Thesaurus), MDA(Museum Documentation Association)의 MDS, AHCI(Art & Humanity Citation Index), CHIN(Canadian Heritage Information Network)의 활용방안을 분석하였다.

    여섯째, 우리나라에서의 u-museum 구축 및 미술콘텐츠유통방안, 저작권 집중 및 위탁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운영차원에서 u-museum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모든 디지털아카이브를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 구축하는 분산미술관형식과, 이용자가 희망하는 적합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개인화 형태의 디지털정보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되는 u-museum의 미술콘텐츠 유통방안은 열악한 우리나라 미술관 및 미술계의 운영개선을 지원하고 미술콘텐츠산업화에 반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현재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초기 시행중인 문화콘텐츠닷컴과 연계하여 저작권집중관리사업과 저작권위탁관리사업으로 현실화 될 것이다.
  • 영문
  • U-museum refers to creation of the optimum system in suing the museum by connecting the ubiquitous computing and network technologies using the digital contents based on the state-of-the-art digital technologies and managing synthetically based on the distribution and copy right management technology which is required for the processing and management.

    For the new creative work,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law and regula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creative materials for the art contents, foster relevant industry, establish the social environment to prevent illegal copy of the contents and pay the appropriate cost and realize the digital standardiz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management factors of the u-museum is research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museums in which the copy right infringement occurs frequently and for which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ization of the distribution technology is incomplete and information contents are variou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al cases of the major museums in Korea and abroad is researched laying stress o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system, meta data, and copy right protection, and suggest the available model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domestic museums.

    More specifically, first of all, the meaning of art contents, art gallery and current status of the art contents are researched and analyzed. And the value chain and distribution system of the art contents produced b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Art Museum Association and Arko Arts Library Information Center.

    Second, the development, applied technologies and operational cases of the u-museum which is promoted by the museums in Korea and abroad ar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GOO pass system of the Nomura Research Institute and Ubiquitous system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s analyzed.

    Third, the globally used digital contents identification system is required to export the art contents. Therefore, the techn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art contents are analyzed focusing on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and use of identification system such as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a data, and protection security technologies such as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Forth, the current status of methods for concentrated management and consigned management of the copy right are researched and analyzed. Especially, the operational methods of the copy right distribution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are analyzed such as IMPRIMATURE(Intellectual Multimedia Property Rights Model and Terminology for Universal Reference) of EU, Cidf of Japan, Korea Culture and Contents Agency and Korea Copy Right Protection Center, etc.

    Fifth, the current status and operational conditions of foreign prestigious art galleries and art contents management organizations. Especially, similar foreign cases where the R&D function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art contents is active are researched. In relation to this, the methods to use the ar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uch as AAT(Art & Architecture Thesaurus) of Getty Museum, MDA(Museum Documentation Association) of MDS, AHCI(Art & Humanity Citation Index), and CHIN(Canadian Heritage Information Network) is analyzed.

    Sixth, the study suggests the methods to establish the u-museum and distribute the art contents, and the consigned and concentrated management methods of copy right are suggested.

    The art contents distribution method of the u-museum which is suggested by this study will help supporting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Korea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can be applied to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art contents. Especially, it can be realized as the copy right concentrated management business and copy right consigned management business in line with the culturecontent.com which is operated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u-museum은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첨단디지털기술을 활용하여 자료를 디지털콘텐츠화하고, 가공과 관리에 필수적인 유통기술과 저작권관리기술을 활용하여 집중적으로 통합관리하여, 유비쿼터스컴퓨팅과 네트워크기술을 연계하여 최적의 사용과 이용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박물관 중에서 정보내용이 다양하고 유통기술의 표준화가 미진하고, 저작권 등 법적 침해사례가 빈번한 미술관을 중심으로 u-museum의 유통관리요소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미술콘텐츠의 유통이 가능한 u-museum을 구축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는 가공, 관리, 보호/보안, 전달, 이용, 모니터링 분야로 분류될 수 있으나, 공공문화콘텐츠와 관련된 핵심 유통기술인 식별체계, 메타데이터, 저작권보호 관련 기술을 중심으로 국내외 주요 미술관의 개발 및 운영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미술관에서 도입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미술콘텐츠의 개념, 미술관 및 미술계의 콘텐츠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사립미술관협회, 아르코예술정보관 등에서 생산되는 미술콘텐츠의 가치사슬과 유통체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국내외 미술관에서 추진되고 있는 U-museum개발 및 활용기술, 운영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일본 노무라연구소의 구(GOO)패스 시스템, 국립현대미술관의 유비쿼터스시스템을 분석하였다.
    셋째, 디지털기술에서 미술콘텐츠의 유통과 관련된 기술요소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메타데이터 등의 식별체계,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등 보호 보안기술에 대한 국내외의 개발 사항과 활용현황을 조사하였다.
    넷째, 미술콘텐츠는 복사와 복제, 합성 및 위작 등 저작권 관련 법적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므로, 저작권 집중관리와 위탁관리 방안에 대한 국내외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EU의 IMPRIMATURE(Intellectual Multimedia Property Rights Model and Terminology for Universal Reference)와 FILIGRANE, 일본의 Cidf,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국저작권보호센터 등 저작권유통기관의 운영방식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미술콘텐츠유통기술은 국내에서는 초기 단계이므로, 해외의 유수한 미술관 또는 미술콘텐츠관리기관의 현황 및 운영상황을 조사하였다. 특히 미술콘텐츠의 지속적인 관리 및 운영을 위한 연구개발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해외의 유사사례를 조사하였으며, Getty Museum의 미술정보관리체계 AAT(Art & Archetecture Thesaurus), MDA(Museum Documentation Association)의 MDS, AHCI(Art & Humanity Citation Index), CHIN(Canadian Heritage Information Network)의 활용방안을 분석하였다.
    여섯째, 우리나라에서의 u-museum 구축 및 미술콘텐츠유통방안, 저작권 집중 및 위탁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디지털사회로 변화하는 중심에는 창의성과 상호소통성(Interactivity)이 핵심문제로 부상이 되며, 이에 따라 디지털과 연계되는 u-museum의 기능과 역할이 정립되고 있다. 미술관은 공공의 공간으로 이용자의 행동이 단순해서 모형화하기 쉽고, 전시와 열람을 목적으로 한 공간이어서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u-museum에서는 물리공간에서 가장 취약점이었던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극복 할 수 있게 해주며, 이용자가 노력하여 찾지 않아도 개인의 흥미와 관심정도에 따라 관련 정보와 보조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관람자는 보조적 체험과 충분한 이해, 그리고 관련 정보 등을 통해 재방문 의사를 갖고 문화향수 확대 기회를 확보할 수 있고, 관리자 측에서도 행정관리 뿐 만아니라 관람자를 유도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편익이 증대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최근의 미술경향이 디지털콘텐츠와 유형이 비슷한 미디어아트로 생산 또는 변환되고 있는 현실에서 디지털콘텐츠의 확보와 활용, 유통과 산업화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의 글로벌 기준을 숙지하고 도입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창작활동을 위해서는 미술콘텐츠 창작소재 수요의 증가, 시장 활성화를 위한 법ㆍ제도 개선 및 산업 육성정책, 콘텐츠 불법복제를 방지하고 적정한 대가가 지불되도록 하는 제도적ㆍ사회적인 환경 조성이 필요하고 향후 미술콘텐츠의 국내.외 유통을 위해 글로벌하게 통용되는 디지털 표준화 체계가 필수적이다.

    주요 쟁점으로는 첫째, 디지털컨버젼스와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 구현으로 인한 디지털콘텐츠의 보편적 이용이 가능하게 되어 콘텐츠시장의 재형성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발굴이 필요하다. One-source Multi-use를 통한 부가가치 극대화를 위해 다양한 매체로 공공문화콘텐츠가 유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디지털사회에 적합한 지적재산권 보호제도 측면에서, 규제보다는 시장원리에 입각한 제도개선 및 산업육성정책이 요망된다. 미술콘텐츠의 산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저작권 권리처리 및 정보관리체계가 요구되고 정보의 대가에 대한 인식부족의 문제를 해소하여야 하므로 저작권집중관리와 저작권위탁관리에 대한 제도개선과 지원정책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미술콘텐츠의 해외수출을 위해 글로벌하게 통용되는 디지털콘텐츠 식별체계 정립이 필수적이며, 특히 디지털콘텐츠의 효율적인 검색 및 관리를 위한 통합된 메터데이터 표준화 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미술콘텐츠의 국내․외 유통을 위해 글로벌하게 통용되는 표준화된 디지털식별체계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위해 운영 모델이 제시되어야 한다. 아울러 각 기관에서 보유한 미술콘텐츠의 통합 검색을 위해서는 각 기관의 메타데이터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이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기술측면으로 미술콘텐츠 유통 시 불법 복제를 방지하고 유통흐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콘텐츠저작권을 보호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워터마킹, 인증기술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 정보제공사업자의 영세성, 비전문성으로 독자적으로 국제경쟁력이 있는 정보가공이 어렵고, 단순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으므로, 이용자의 새로운 창작활동의 증가에 따라 국가차원에서 이를 지원하여야 한다.
    여섯째, 운영차원에서 u-museum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모든 디지털아카이브를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 구축하는 분산미술관형식과, 이용자가 희망하는 적합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개인화 형태의 디지털정보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되는 u-museum의 미술콘텐츠 유통방안은 열악한 우리나라 미술관 및 미술계의 운영개선을 지원하고 미술콘텐츠산업화에 반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현재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초기 시행중인 문화콘텐츠닷컴과 연계하여 저작권집중관리사업과 저작권위탁관리사업으로 현실화 될 것이다.
  • 색인어
  • 유비쿼터스미술관, 디지털콘텐츠, 문화콘텐츠, 미술콘텐츠, 미술관, 콘텐츠관리, 저작권위탁관리, 저작권집중관리, 콘텐츠식별체계, 표준화 u-museum, digital contents, cultura contents, art contents, art museum, art gallery, museum documentation system, Copyright Clearance, Copyright Licensing, metadata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