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24&local_id=10018585
학습일기쓰기가 학습자의 자기 성찰적 학습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등교육의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습일기쓰기가 학습자의 자기 성찰적 학습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등교육의 학습자를 중심으로 | 2007 년 | 전주성(가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7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12월 0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고등교육 영역에서의 학습일기쓰기가 교육적 측면에서 어떤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지, 또한 학습일기쓰기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학습자의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해 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A대학 재학생들로 지난 2008학년도 1학기에 교직과목을 수강한 196명이다. 수집된 연구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학습자들은 학습일기쓰기가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학습일기쓰기 활동에 대해서도 만족하였다. (2) 교수자는 학습일기쓰기를 고등교육현장에서 하나의 교수전략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학습자의 배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and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journal writing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196 undergraduate students who took a course offered for 2008 Spring Semester for pre-service teacher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s,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has two significant conclusions: First,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ppreciated learning journal writing as a pedagogical tool. They recognized that learning journal writing has several usefulnes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aspect as follows; (1) forming their own perspectives on education, (2) inducing interest in education-related issues, and (3) enhancing their socal adaptation. In addi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activity of learning journal writing. Second, if learning journal writing is used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as an useful educational strategy, it is important that instructors consider the background of learn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고등교육 영역에서의 학습일기쓰기가 교육적 측면에서 어떤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지, 또한 학습일기쓰기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학습자의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해 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A대학 재학생들로 지난 2008학년도 1학기에 교직과목을 수강한 196명이다. 수집된 연구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학습자들은 학습일기쓰기가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학습일기쓰기 활동에 대해서도 만족하였다. (2) 교수자는 학습일기쓰기를 고등교육현장에서 하나의 교수전략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학습자의 배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그동안 고등교육 및 성인교육 영역의 많은 문헌들은 일기쓰기가 학습자의 유의미 학습(authentic learning)과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 그리고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상호작용적 가르침과 배움(interactive engagement)을 촉진시켜주는 하나의 유익하고 유용한 교수 전략임을 증명해왔다(Kim, 2005). 하지만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학습일기쓰기의 유용성에 대하여 학습자 자신들의 관점을 반영하였다기보다는 교수자의 시각을 반영하는 연구결과들이다. 이러한 점은 때로 교수자로 하여금 학습일기쓰기의 교육적 유용성에 대한 과도한 믿음을 갖게 하고, 학습자에게 견디기 힘든 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Dyment & O'Connell(2003)은 학습일기쓰기의 문제점으로 학생들이 느끼는 일기쓰기에 대한 과도한 부담감, 깊지 않은 반성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형식적인 글쓰기, 반성적 사고의 도구로서의 일기쓰기에 대한 과도한 의존 등을 지적한다. 이는 학습일기쓰기가 하나의 교수전략으로서 여러 측면에서 그 유용성이 있다하더라도 학습자들이 이를 마지못해 수행해야 할 고통으로 인식하다면 고등교육 장면에서의 학습일기쓰기의 가치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 바탕을 두어 학습자의 관점에서 학습일기쓰기의 유용성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두 가지의 연구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학습일기쓰기가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학습일기쓰기 활동에 대해서도 만족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많은 기존의 연구들은 학습일기쓰기를 주로 반성적 사고의 도구로서 강조하고 있지만, 이 연구는 반성적 사고 이외에도 크게 ‘교육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형성’, ‘교육관련 이슈에 대한 관심 유발’, ‘사회적 적응력 향상’ 등 학습일기쓰기의 다양한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수자는 학습일기쓰기를 고등교육현장에서 하나의 교수전략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학습자의 배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일기쓰기의 유용성 및 만족도에 대하여 학습자의 배경변인인 성별, 학습일기쓰기에 대한 경험여부, 교직/교양여부, 학년별, 계열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일기쓰기의 유용성 및 만족도에 대하여 학습자 배경변인 중 계열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비록 인문사회계열, 자연공과계열, 예체능계열의 학생들 모두가 학습일기쓰기의 유용성 및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인문사회계열의 학생들이 다른 두 계열의 학생들보다 이에 대해 더 높은 수준의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이들 간에는 평균점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학습일기쓰기를 교육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학습자의 서로 다른 배경을 고려한 적절한 학습일기쓰기 활용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yment & O'Connell(2003)은 이를 위해, 철저하고 구체적인 피드백 주기, 워크숍을 통한 학습일기쓰기 방법 향상, 학습일기쓰기를 싫어하는 학생들을 위한 대안 수단(video journal, 웹 페이지 등)의 제공, 학습일기쓰기를 위한 충분한 시간 부여, 학생들이 학습일기쓰기에 관해 긍정적인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교수자가 솔선수범할 것, 학습일기쓰기에 대한 평가를 위해 자기평가나 동료평가, 그리고 교수자와 학생 간의 공동평가 등 다양한 방법의 이용, 교수자와 학생 간에 공고한 신뢰구축, 그리고 일기쓰기 과제를 과도하게 이용하지 말 것 등을 제시한다.
  • 색인어
  • 학습일기, 학습일기쓰기, 학습일기의 유용성, 학습일기의 만족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