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40&local_id=10017807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정도에 따른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 2007 년 | 김왕규(한국교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13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시도별, 단위 학교별 선택 현황 및 편성·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개발한 뒤, 고등학생(10학년)을 대상으로 한문 학력차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한문 이수 정도와 한문 학력차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정상적 운영을 위한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필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문제 곧 첫째,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시도별․단위 학교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파악, 둘째,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 개발, 셋째, 한문 학력차 검사 결과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 분석, 넷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모색이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검사와 설문 조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중학교의 재량활동 선택 현황 특히, 한문의 선택 현황을 시도별로 조사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사례를 통하여 단위 학교별 운영의 구체적 실태를 살펴본 결과, 시도별․단위학교별로 ‘한문’의 이수여부와 이수정도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문 학력차 실태 파악을 위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제7차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를 분석하여 검사 문항을 제작하였고, 예비검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전국 16개 시․도 18개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1,384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 .810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상당히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한문 학력차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출신 중학교 지역별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가 군읍면 지역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문 이수 여부와 관련하여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연한에 따른 한문 학력차 검사결과는 1년 이수한 집단보다 2년, 3년 이수한 집단의 성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중학교에서의 한문 이수 여부와 정도는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발생의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이수 여부와 관련 하여,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평균이 높았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여부는 한문 학력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 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통해 발굴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실행 교사와 E-mail면담 등을 통해 의견을 청취하고, 시험 문항, 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표 등의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모색하고 제시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과 현장 사례는 크게 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운영,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 평가 내용의 다각화, 교재 재구성 등이다. 다섯째, 한문 교육의 당면 과제를 통합연구방법설계를 통해 접근하여 해결하였다. 직관이 아닌 실증적이며 심층적인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조사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 면담, 문헌 연구 등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설계와 연구 방법 적용은 이후 한문교육 관련 연구의 과학화와 체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전국적인 이수 실태를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신뢰도가 확보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으며, ‘한문’ 이수 정도와 한문 학력차의 상호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의 현장 사례를 발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진단과 그 해소 방안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이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이 모색되고, 현장 적용 사례가 발굴되기를 기대한다.
  • 영문
  •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perceive the selection of ‘Hanmun’ as an optional subject by schools or provinces and th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it. And we originated the device of achievement test and conduct it. Furthermore, we analyze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ompletion of ‘Hanmun’ and the differences of 'Hanmun' academic ability based on the tests’ result. And we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choosing of classical Chinese as an optional subject in middle school.
    To conduct this research successfully, we set up four categories. First one is the perception of the selection of ‘Hanmun’ as an optional subject by schools or provinces and th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it. Second one is the design of achievement test’s device. Third one is the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ompletion of ‘Hanmun’ and the differences of 'Hanmun' academic abilities based on the tests’ result. To conduct this research, we perceived the actual condition of ‘Hanmun’s completion by 16 cities or provinces, designed the device of achievement test, conducted the test and survey, and analyzed the result. Forth we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choosing of classical Chinese as an optional subject in middle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ditions of ‘Hanmun’ completion by provinces or schools is very various.
    Second, the questionnaire were designed to perceive the actual condition of ’Hanmun’s academic ability. We analyzed the ‘Hanmun’ textbook and the 7th curriculum of ‘Hnamun’ in Middle school, and designed the questionnaire. Therefore we confirmed the questionnaire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conference of specialists. The main test was conducted for 1,384 first graders at 18 high schools on national wide by the confirmed test device. The test device is very satisfactory because the coefficient of Cronbach a was showed .810.
    Third, we analyze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s of ‘Hanmun’ academic ability and the main caus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girl students are superior to the boy students, and the students in big cities are superior to the students in small towns. The group of students who completed ‘Hanmun’ is superior to the group of students who did not. And the group of students who taken the ‘Hanmun’ course for 3 years is superior to 1 year.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completion of ‘Hanmun’ in middle school is the main cause of the differences of ‘Hanmun’ academic ability in high school.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private education are superior to the students who did not. The group of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private education under 6 month or over 3 years is worthy of notice.
    Forth, we tried to find the solution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We listened to opinions on e-mail from teachers who conducted the solutions and gathered all kinds of materials. In this research, what we suggested the solutions for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bility for classical Chinese are the flexibl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curriculum, diver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and reconstruction of teaching materials.
    Fifth, we solved the facing problems through the combined research methods. We did researche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as like a survey, focus group interview, interview on e-mail, and studying documents. This research’s design and method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es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teach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시도별, 단위 학교별 선택 현황 및 편성·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개발한 뒤, 고등학생(10학년)을 대상으로 한문 학력차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한문 이수 정도와 한문 학력차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정상적 운영을 위한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필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문제 곧 첫째,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시도별․단위 학교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파악, 둘째,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 개발, 셋째, 한문 학력차 검사 결과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 분석, 넷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모색이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검사와 설문 조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중학교의 재량활동 선택 현황 특히, 한문의 선택 현황을 시도별로 조사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사례를 통하여 단위 학교별 운영의 구체적 실태를 살펴본 결과, 시도별․단위학교별로 ‘한문’의 이수여부와 이수정도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문 학력차 실태 파악을 위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제7차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를 분석하여 검사 문항을 제작하였고, 예비검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전국 16개 시․도 18개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1,384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 .810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상당히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한문 학력차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출신 중학교 지역별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가 군읍면 지역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문 이수 여부와 관련하여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연한에 따른 한문 학력차 검사결과는 1년 이수한 집단보다 2년, 3년 이수한 집단의 성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중학교에서의 한문 이수 여부와 정도는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발생의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이수 여부와 관련 하여,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평균이 높았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여부는 한문 학력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 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통해 발굴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실행 교사와 E-mail면담 등을 통해 의견을 청취하고, 시험 문항, 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표 등의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모색하고 제시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과 현장 사례는 크게 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운영,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 평가 내용의 다각화, 교재 재구성 등이다. 다섯째, 한문 교육의 당면 과제를 통합연구방법설계를 통해 접근하여 해결하였다. 직관이 아닌 실증적이며 심층적인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조사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 면담, 문헌 연구 등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설계와 연구 방법 적용은 이후 한문교육 관련 연구의 과학화와 체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의 전국적인 이수 실태를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신뢰도가 확보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으며, ‘한문’ 이수 정도와 한문 학력차의 상호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의 현장 사례를 발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진단과 그 해소 방안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이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이 모색되고, 현장 적용 사례가 발굴되기를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 그 핵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중학교의 재량활동 선택 현황 특히, 한문의 선택 현황을 시도별로 조사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사례를 통하여 단위 학교별 운영의 구체적 실태를 살펴보았다. 지역․학교․학생별로 이수 여부와 이수 시간이 다른 재량활동 선택과목의 편제상 성격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소개, 분석한 자료는 2009년 중학교 1학년부터 적용되는 개정 교육과정의 편성·운영(한문과의 경우, 2010년)과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출발점 설정과 선수 학습 진단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문 학력차 실태 파악을 위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제7차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를 분석하여 1차 검사 문항을 제작하였다. 전국 16개시도 18개 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1,384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한 결과, .810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상당히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한문 학력차 검사 도구는 고등학교에서 한문 교과 학습이 처음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진단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문 학력차와 학력차 발생 변인과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검사 결과 출신 중학교 지역별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가 군읍면 지역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문 이수 여부와 관련하여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평균 점수 14.30이 높았으며, 두 독립표본 t검정 결과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학교에서 ‘한문’을 이수한 연한에 따른 한문 학력차 검사결과는 1년 이수한 집단보다 2년, 3년 이수한 집단의 성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중학교 ‘한문’이수 시간과 관련 하여는 이수 시간과 한문 학력차 검사 점수는 비례하였다. 중학교에서의 한문 이수 여부와 정도는 고등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발생의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평균 12.87점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한자․한문 관련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한문 학력차 검사 점수가 높았으며, 보다 오랜 기간 사교육을 받을수록 한문 학력차 검사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넷째, 현장의 한문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문 학력차 실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전국의 고등학교 한문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고, 전문가로 구성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한문 학력차 실태 파악에 주력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한문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문 학력차 실태와 그 심각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문 학력차 실태를 심층적이며 다층적으로 탐색한 자료는 교실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 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통해 발굴한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 실행 교사와 E-mail면담 등을 통해 의견을 청취하고, 시험 문항, 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표 등의 실제 자료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여섯째, 한문 교육의 당면 과제를 통합연구방법설계를 통해 접근하여 해결하였다. 직관이 아닌 실증적이며 심층적인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검사지 개발, 통계적 검증, 조사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E-mail 면담, 문헌 연구 등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설계와 연구 방법 적용은 이후 한문교육 관련 연구의 과학화와 체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도별, 단위 학교별 한문 교과의 편성 현황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중학교 학생들의 한문 이수 정도와 고등학교 학생들(10학년, 고등학교 1학년생)의 한문 학력차와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정상적 운영을 위한 한문 학력차 해소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지난 6차 교육과정 이후로 학교 교육에서의 한문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제를 기준으로 할 때, 교과의 위상이 선택 교과로 저락되었으며, 이로 인해 시도별·단위 학교별로 왜곡된 한문과 편성, 운영의 결과, 시도별·학교별·학생별로 한문을 이수한 시간이 서로 다르고, 이는 심각한 한문 학력차를 야기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중학교 한문 이수 여부 및 이수 정도에 따른 한문 학력차가 중등학교 한문교육 부실의 주요 요인이며, 시급히 해결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진단하였다. 아울러 몇몇 현장 사례를 통해 한문 학력차 해소 방안을 제시하고 제안하였다.
  • 색인어
  • 한문교육, 한자교육,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과목 ‘한문’, 한문 학력차, 한문 학력차 검사, 한문 학력차 해소방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