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43&local_id=10018611
총칭성에 의한 속담유형 분류와 대립속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총칭성에 의한 속담유형 분류와 대립속담 | 2007 년 | 강성영(전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757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4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먼저 우리는 총칭문인 속담의 의미적 특성을 근거로 각각 ∀LOC형 총칭문이나 ∃LOC형 총칭문의 획일적 위상만을 주장하는 Anscombre와 Kleiber의 상반된 입장을 비판하고, 표상하는 진리의 성격에 따라 속담을 두 유형의 총칭문, 즉 ∀LOC형 속담과 ∃LOC형 속담으로 이원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는 토포이 이론에 대입하여 ∃LOC형 속담인 대립속담이 외재적 토포이의 위상만을 갖는 반면 ∀LOC형 속담은 그 외재적 토포이가 어휘화하여 내재적 토포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우리가 내세운 속담의 이원 분류 방식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두 유형의 속담은 의견동사 구문에서도 다른 행태를 보이고 있다. 즉, 대부분의 ∀LOC형 속담과 대중 선호적 대립속담은 의견동사와 결합이 어렵거나 자연스럽지 않은데, 그 외의 ∃LOC형 속담은 화자의 주관적 선택 의도의 개입과 함께 이 구문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상반된 현상을 발견함으로써 우리의 검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대립속담 쌍은 양보적 논증연쇄에서 양립 가능하여 그 보편성이 화자로부터 어느 정도 인정받고 있다 할 수 있는데 이는 ∃LOC형 속담이라 하더라도 ∀LOC형 속담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소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대로 ∀LOC형 속담도 예외적 상황이 존재하여 완전한 보편성을 지니지 못한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유형 간의 분류는 절대적이지 않고 쏠림의 정도에 따라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단계적 특징을 보인다 할 수 있다.
    한편, 일상의 언어생활에 있어서 속담사용이 빈번한 이유는 속담이 관련된 총칭상황을 지칭함으로써 보편적 진리로 공인되기 때문인데, 그 지칭기능이 속담의 총칭성과 보편성을 부여해주고 있다 할 수 있다. 이 지칭기능은 ∀LOC형 속담은 물론 대립속담에도 작용하여 ∃LOC형 속담이 동일한 결과를 얻도록 하며 대중의 공유지식에 포함되도록 한다. 자유표현과 달리, 속담이 일반 낱말처럼 전체로서 하나의 독립된 의미단위를 구성하고 사전에 등재되며 독특한 통사 및 운율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속담의 고유한 지칭기능을 확인시켜주는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속담은 권위적 담화로 인식되어 대중의 담화사용에 있어 빈번한 인용 대상이 되고 있음도 그 보편적 진리의 위상을 방증하고 있다.
  • 영문
  • Nous nous sommes proposé dans cet article de diviser les proverbes en deux types : proverbe ∀LOC et proverbe ∃LOC, d'en vérifier la pertinence linguistique et d'éclairer la relation graduelle des deux, centrés sur les proverbes antinomiques. Nous avons soutenu également que même le proverbe ∃LOC peut être reconnu comme connaissance universelle dans une communauté linguistique à travers la fonction dénominative du proverbe, laquelle assigne à tous les proverbes la généricité et l'universalité.
    Nous avons, d'abord, classé les proverbes de manière dualiste en proverbe ∀LOC et proverbe ∃LOC suivant leur natures représentatives de la vérité : la vérité universelle ou celle générale, après avoir critiqué à la fois J.-C. Anscombre et G. Kleiber, qui n'y insistent chacun que ou sur l'aspect de la phrase générique ∀LOC ou sur celui de la phrase générique ∃LOC.
    En second lieu, nous avons trouvé, dans le cadre de la théorie des topoï, que le proverbe ∃LOC n'a que la structure des topoï extrinsèques qui se forment selon les contextes pragmatiques alors que le proverbe ∀LOC peut avoir à la fois la structure des topoï extrinsèques et celle des topoï intrinsèques qui composent la signification du mot, ce qui permet de justifier avant tout notre hypothèse.
    En troisième lieu, les deux types de proverbe ont un différent comportement à propos de la combinaison avec les verbes d'opinion. Il n'est pas naturel ou plutôt il est bizarre d'insérer dans les expressions d'opinion le proverbe ∀LOC et quelques proverbes antinomiques préférés de grand public alors qu'il est naturel d'y insérer la plupart du proverbe ∃LOC, ce qui renforce la justification de notre hypothèse.
    En quatrième lieu, le même locuteur peut rendre compatible une paire de proverbes antinomiques dans un enchaînement argumentatif concessif,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on peut considérer qu'il approuve en partie au proverbe ∃LOC le caractère universel du proverbe ∀LOC. Le proverbe ∀LOC, de sa part, n'a pas l'universalité parfaite à cause des exceptions probables. Nous pouvons en conclure que notre classification n'est pas absolue mais graduelle
    Tous les proverbes, y compris le proverbe ∃LOC, arrivent à présupposer à travers leur propre fonction dénominative la vétité universelle de la situation générique. Le locuteur ne peut donc en principe remettre en cause le fait que, conventionellement, le proverbe dénote tel ou tel état de choses générique, autrement dit il accepte, par le biais de la dénomination, la vérité universelle ainsi dénotée.
    Il en résulte que le proverbe ne fait pas l'objet d'assertion mais de citation ou de mention. Il suffit au locuteur de le citer dans son enchaînement discursif, puisque son statut de dénomination présuppose en somme la vérité préalable de la situation dénommé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먼저 우리는 총칭문인 속담의 의미적 특성을 근거로 각각 ∀LOC형 총칭문이나 ∃LOC형 총칭문의 획일적 위상만을 주장하는 Anscombre와 Kleiber의 상반된 입장을 비판하고, 표상하는 진리의 성격에 따라 속담을 두 유형의 총칭문, 즉 ∀LOC형 속담과 ∃LOC형 속담으로 이원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는 토포이 이론에 대입하여 ∃LOC형 속담인 대립속담이 외재적 토포이의 위상만을 갖는 반면 ∀LOC형 속담은 그 외재적 토포이가 어휘화하여 내재적 토포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우리가 내세운 속담의 이원 분류 방식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두 유형의 속담은 의견동사 구문에서도 다른 행태를 보이고 있다. 즉, 대부분의 ∀LOC형 속담과 대중 선호적 대립속담은 의견동사와 결합이 어렵거나 자연스럽지 않은데, 그 외의 ∃LOC형 속담은 화자의 주관적 선택 의도의 개입과 함께 이 구문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상반된 현상을 발견함으로써 우리의 검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대립속담 쌍은 양보적 논증연쇄에서 양립 가능하여 그 보편성이 화자로부터 어느 정도 인정받고 있다 할 수 있는데 이는 ∃LOC형 속담이라 하더라도 ∀LOC형 속담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소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대로 ∀LOC형 속담도 예외적 상황이 존재하여 완전한 보편성을 지니지 못한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유형 간의 분류는 절대적이지 않고 쏠림의 정도에 따라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단계적 특징을 보인다 할 수 있다.
    한편, 일상의 언어생활에 있어서 속담사용이 빈번한 이유는 속담이 관련된 총칭상황을 지칭함으로써 보편적 진리로 공인되기 때문인데, 그 지칭기능이 속담의 총칭성과 보편성을 부여해주고 있다 할 수 있다. 이 지칭기능은 ∀LOC형 속담은 물론 대립속담에도 작용하여 ∃LOC형 속담이 동일한 결과를 얻도록 하며 대중의 공유지식에 포함되도록 한다. 자유표현과 달리, 속담이 일반 낱말처럼 전체로서 하나의 독립된 의미단위를 구성하고 사전에 등재되며 독특한 통사 및 운율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속담의 고유한 지칭기능을 확인시켜주는 사례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속담은 권위적 담화로 인식되어 대중의 담화사용에 있어 빈번한 인용 대상이 되고 있음도 그 보편적 진리의 위상을 방증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
    (1) 본 연구는 속담유형을 이원화하고 두 유형간의 상호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국내 속담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2) 국어학계의 속담 연구에 있어서 대립속담을 다룬 경우가 없어 이에 대해서도 연구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3) 연구결과는 우리말 속담이나 다른 언어권 속담 분석에도 적용하여 우리 분류 방식의 이론적 타당성을 확인해볼 수 있다.
    (4) 우리의 연구는 프랑스 뿐 아니라 국내에 있어서 속담의 의미․화용론적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2)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

    (1) 일반대학원에서는 속담의 관용어적 특성을 총칭문과 비교하여 분석하도록 하며, 대립속담을 본 연구와 다른 각도에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2) 교육대학원에서는 프랑스어와 우리말의 대립속담 자료체를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게 하여 관련 속담들의 번역과 학습의 효율성을 모색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속담에 내재한 양국의 변별적 문화양상을 상호 비교하게 하였다.
    (3) 대립속담 연구와 관련한 대학원 세미나를 개최하여 속담 연구에 대한 학생들의 연구의욕을 고취시겼다.

  • 색인어
  • 총칭성(généricité), ∃LOC형 속담(proverbe ∃LOC), ∀LOC형 속담(proverbe ∀LOC), 대립속담(proverbes antinomiques), 내재적 토포이(topoï intrinsèques), 외재적 토포이(topoï extrinsèques), 의견동사(verbes d'opinion)구문, 양보적 논증(argumentation concessive), 지칭(dénomination), 권위적 담화(discours d'authorité)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