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63&local_id=10015514
0-2세 장애영아 및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 중재 실행을 위한 전문가 자격 기준의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0-2세 장애영아 및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 중재 실행을 위한 전문가 자격 기준의 개발 | 2007 년 | 박현옥(백석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8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그동안 여러 기초 연구들과 법적 지원을 통하여 장애영유아의 조기 중재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조기 중재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실제적인 지원 체계 및 지원 방법, 관련 내용들에 대한 명시적인 제안이 이루어 지지 못하였다. 특별히 장애 영아를 지원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교사 양성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점은 실제로 장애 영아를 위한 교육적 중재를 실행하게 될 경우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장애영아와 가족들을 혼란스럽게 할 가능성이 있다. 실제적으로 유아특수교육의 범주 하에 조기 중재 대상자들이 포함되어 중재적 지원을 받아왔다. 그러나 많은 교사들은 이와 같이 다양한 대상자들의 발달적 특성을 모두 이해하고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3-6세 유아는 물론 장애 영아를 위한 교육 전문가들이 대학 차원에서 양성되어 배치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유아특수교육과 조기 중재의 실행을 위한 전문가 자격 기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조기 중재 실행을 위한 교수적 중재 전문가 자격 기준을 개발하고 그에 적합한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에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3세 미만의 장애 영아들에게 질적으로 우수한 교수적 중재를 실행할 수 있는 전문가 자격 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유아의 부모와 관련전문가를 대상으로 장애 발견에서 진단 및 교육까지, 영아기 조기 중재 경험을 통한 어려움과 요구사항, 그리고 유아특수교육을 시작하고 지금까지 경험과 염려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첫 번째 연구 목표에 따른 연구 결과와 국내외 문헌 연구 등을 통하여 3세 미만의 장애영아를 지원하기 위한 조기 중재 전문가의 자격 기준을 개발한다. 조기 중재 전문가의 자격 기준은 중재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지식, 교수적 중재에 관련한 기술, 가족 및 관련 전문가들과의 협력, 기타 관련 자질 등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전문가 및 학부모 면담을 실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조기중재 경험이 있는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조기 중재 경험, 조기 중재의 바람직한 방향, 장애영아 지원 전문가 자격 기준 등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early intervention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to develop a standard qualification of early intervention teacher.
    To actualize these purpose two specific research themes were intended. First, the parents and professional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ere asked the difficulty and problem of actual finding, diagnosis, placement and intervention process and asked the demand for desirable early intervention based on the experience. Second, based on the first study and preceding research study, the standard qualification of early intervention teacher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were developed.
    For the first study purpose, 7 principals of special school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13 parents were interviewed in focus group. And for the second study, 10 teachers who worked as early intervention teacher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hey were asked to tell about their experiences and needs for early interven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and a core requirement criteria of early intervention teacher.
    The scripts of interview were analyzed and the three themes and 14 subthemes were emerged. The themes emerged were (1) the experience of early intervention teacher (2) the desirable direction of early intervention in administrative structure, intervention setting, support system and expert early intervention teacher (3) the core requirement criteria of early intervention teacher. Finally, several specific implications for the ideal early inter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teacher qualification on the results were provid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그동안 실제적으로 유아특수교육의 범주 하에 조기 중재 대상자들이 포함되어 중재적 지원을 받아왔다. 그러나 많은 교사들은 이와 같이 다양한 대상자들의 발달적 특성을 모두 이해하고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3-6세 유아는 물론 장애 영아를 위한 교육 전문가들이 대학 차원에서 양성되어 배치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유아특수교육과 조기 중재의 실행을 위한 전문가 자격 기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조기 중재 실행을 위한 교수적 중재 전문가 자격 기준을 개발하고 그에 적합한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에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3세 미만의 장애 영아들에게 질적으로 우수한 교수적 중재를 실행할 수 있는 전문가 자격 기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유아의 부모와 관련전문가를 대상으로 장애 발견에서 진단 및 교육까지, 영아기 조기 중재 경험을 통한 어려움과 요구사항, 그리고 유아특수교육을 시작하고 지금까지 경험과 염려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첫 번째 연구 목표에 따른 연구 결과와 국내외 문헌 연구 등을 통하여 3세 미만의 장애영아를 지원하기 위한 조기 중재 전문가의 자격 기준을 개발한다. 조기 중재 전문가의 자격 기준은 중재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지식, 교수적 중재에 관련한 기술, 가족 및 관련 전문가들과의 협력, 기타 관련 자질 등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장애영아에 대한 조기 중재를 실행하였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장애 영아에 대한 조기 중재를 담당하였던 교사로서의 경험에 비추어 조기 중재자로서의 경험들에 대하여 면담 참가자들은 조기 중재자로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다루었던 점, 장애영아 지원 중에 경험하였던 어려움과 의의 및 보람, 국내 장애 영아 교육의 변화 등으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영아 발달 촉진을 위한 노력, 부모 지원을 위한 노력, 관련 서비스 전문가들과의 협력 등을 중요한 중재 전문가의 역할로 이해하고 수행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장애 영아 지원을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였던 의의와 보람으로는 부모에 대한 심리적 지지와 정보 제공을 통한 가족의 전반적인 적응 지원 및 가족의 역량 강화, 장애 영아의 빠른 적응과 발달, 관련 서비스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통한 교사 개인의 역량 강화 등으로 언급하였다. 중재 전문가들이 경험하였던 어려움은 가족 관련 요인 및 관련 서비스 전문가들 관련 요인 등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동안의 교육적 경험을 통하여 느꼈던 장애 영아 교육 현장의 변화는 조기 중재 대상자의 변화, 기관 중심 중재에서 가정 중심 중재 혹은 혼합형으로, 부모 교육을 통한 간접 지원에서 대상 영아에 대한 직접 지원에 대한 요구로의 변화 등으로 정리될 수 있었다. 둘째, 장애 영아 지원을 위한 조기 중재 방향에 대하여 면담 참가자들은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조기 중재 시스템,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지원서비스 제공, 발달 및 장애 특성에 적합한 시설과 기자재 확보, 적절하고 유능한 전문가 확보, 다영역적 접근 및 팀 협력, 영아를 위한 교육과정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가족 중심 중재 및 가족 지원 등이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특별히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조기 중재 시스템을 위한 요소들로는 조기 발견과 체계적인 선별, 체계적인 기관 안내 및 적극적인 조기 중재, 서비스 조정자의 역할 강화, 특수교육 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능 정상화, 통합적 서비스 제공 등으로 언급하였다. 영아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들로는 영아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형태의 적용, 즉 가족 중심의 중재와 기관 중심 중재를 병합한 프로그램 운영, 융통성 있는 학사 일정 운영, 장애 발견 및 진단 즉시 중재 서비스 제공 등으로 제시되었다. 특별히 장애 발견이나 장애 진단과 더불어 즉각적인 중재 서비스를 실행해야 하는 영아들에게 학사 일정 등을 고려한 3월 입학제도 등은 반드시 시정되고 보완되어야 하는 요소로 지적되었는데 이러한 반응적이고 융통성 있는 조기 중재의 실행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 부분에서 제시되고 지적된 요소 역시 장애 영아를 위한 조기 중재에서 매우 중요하게 지적하고 있는 선행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는 요소이다.셋째, 장애 영아 지원을 위한 전문가 자격 기준으로 필요한 능력으로는 구체적인 아동 발달에 대한 지식, 전형적인 발달과 비전형적인 발달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지식, 영아 진단 능력, 영아와의 상호작용 능력, 부모 상담 능력, 장애 영아에게 필요한 관련 서비스 이해 능력, 강화된 교사 책무성에 대한 수용 및 준비와 부모들의 요구 및 갈등 이해 능력 등을 중요한 자격 기준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양성 대학에서 조기 중재 전문가 양성을 위하여 보다 강화해야 할 교육과정의 내용으로는 교수적 중재자 및 옹호자로서의 역할을 위한 준비, 생애 전반적 발달에 대한 이해. 서비스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을 위한 준비, 전반적인 발달 영역에 대한 이해, 실무 능력 강화를 위한 인턴쉽 기간의 확대, 장애 영유아 진단 평가 능력, 교사로서 자신의 중재 수행 방법과 내용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 중도․중복 장애아 이해 능력 강화, 가족 및 관련 서비스 전문가들과의 협력할 수 있는 전문가적 자질 및 인성적 자질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을 통해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기 중재 전문가의 역할과 자질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조기 중재 전문가 양성에 대한 이론적 함의가 부족한 국내 상황에 적합한 자격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실제로 장애 영아 교육을 담당하였던 현장 교사들과 관련 전문가들을 통하여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실행되었던 조기 중재에 대한 개인적, 기관적 차원에서의 노력과 경험을 공유하고, 그러한 경험들을 기반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행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 색인어
  • 유아특수교육, 유아특수교사, 조기중재, 조기중재 전문가, 질적연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