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84&local_id=10015977
中國語 否定詞 變遷機制와 言語의 自淨原理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中國語 否定詞 變遷機制와 言語의 自淨原理 | 2007 년 | 장호득(단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31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고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에 이르기까지 부정사의 변천 과정을 살피고 그 변천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자정원리라는 변천 기제를 밝히는데 있다.
    易孟醇(1989:341-343)은 선진 시대에 사용된 부정사로 ‘無, 毋, 亡, 蔑, 莫, 末, 未, 微, 靡, 罔, 勿, 不, 否, 匪, 非, 弗’ 16개를 제시하고 있다. 시대를 더 거슬러 올라가 갑골문에 쓰인 부정사는 ‘勿’, ‘弜’, ‘不’, ‘弗’, ‘毋’, ‘非’ 6개이다. 柳東春(2003:403-421)은 "不"․"弗"․"勿"․"毋"․"亡"․"弜"․"非", "妹(蔑)" 등 8개로 보고 있다. 근대 중국어 쓰인 부정사는 ‘無, 未, 莫, 勿, 沒, 亡, 罔, 靡, 不, 非, 匪, 否, 休’ 13개이다. 曾蕙蘭(1997:50)은 《祖堂集》과 같은 시대의 《敦煌變文》에 쓰인 부정사 연구를 통하여 ‘無, 未, 莫, 勿, 沒, 罔, 不, 非, 匪, 否, 叵, 休’ 12개의 부정사를 제시하고 있다. 앞에서 말한 시대별로 사용된 중국어 부정사의 변천 과정과 변천 기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존재’, ‘소유’, ‘관계’의 개념에 대한 통사적 구조는 ‘바꾸기(substitution)’라는 방식을 취하고, 반면 동작, 행위, 성질, 상태 등의 개념에 대한 통사적 구조는 ‘붙이기(addition)’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둘째, 논리의미에서 ‘존재’, ‘소유’, ‘관계’는 ‘모순(contradcition)’을 나타내고, ‘동작, 행위’, ‘성질, 상태’는 ‘반대(contrary)’를 표시하고 있다. 셋째, 변천과정에서 ‘無有’, ‘沒’, ‘沒有’, ‘非是’, ‘不是’ 등의 과도기적 언어현상이 근대 중국어 시기에 공존하고 있다. 넷째, ‘無’의 발음이 /m/에서 /ɱ/의 과정을 거쳐 현대에 零聲母로 변하는 과정에서 ‘無’가 ‘沒’로 대체되어 지금까지 /m/ 체계의 발음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중국어 부정사의 변천 과정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통해 볼 때, 중국어 부정사가 수 천 년 동안 변화하는 과정에서도 음운, 어휘, 통사, 의미의 유기적 체계를 유지하려는 현상 즉, 논리형태와 m계 부정사와 m계 부정사라는 음운형태의 시스템을 유지하려는 ‘언어의 자정원리(self-purification of language)’가 들어 있었다. 이를 아래 도표로 요약한다.

    구분
    개념∥통사적 분포(syntactic distribution)∥논리의미∥비고(과도기적 언어현상)
    구조∥예시(고대중국어)∥모순, 반대∥
    존재∥바꾸기(substitution): 有→無∥ㆍ有人→無人∥모순 ∥ㆍ有人→無有人
    ㆍ有人→沒人
    ㆍ有人→沒有人
    소유∥바꾸기(substitution): 有→無∥ㆍ我有錢→我無錢∥모순∥ㆍ我有錢→我無有錢
    ㆍ我有錢→我沒錢
    ㆍ我有錢→我沒有錢
    관계∥바꾸기(substitution): 是 → 非 ∥ㆍ我是學生→我非學生∥모순∥ㆍ我是學生→我非是學生
    ㆍ我是學生→我不是學生
    동작ㆍ행위∥붙이기(addition): X → 不 + X∥ㆍ看書→不看書∥반대∥ㆍ看書→沒看書
    성질ㆍ상태∥붙이기(addition): X → 不 + X∥ㆍ好→不好
    ㆍ大→不大∥반대∥ㆍ好→沒(那麽)好
  • 영문
  •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 change mechanism of the Chinese Negatives in ancient, middle and present period, We also explore self-purification of language through the change mechanism of the Chinese Nega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ctions
    ∥Concepts∥Syntactic Distribution ∥Logical Meaning ∥Remarks
    ∥ Structure∥Examples ∥Contradiction, Contary∥
    ∥Existence∥substitution: 有→無∥ㆍ有人→無人∥Contradiction∥ㆍ有人→無有人
    ㆍ有人→沒人
    ㆍ有人→沒有人
    Possession∥substitution: 有→無∥ㆍ我有錢→我無錢∥Contradiction∥ㆍ我有錢→我無有錢
    ㆍ我有錢→我沒錢
    ㆍ我有錢→我沒有錢
    Relation∥substitution: 是 → 非 ∥ㆍ我是學生→我非學生∥Contradiction∥ㆍ我是學生→我非是學生
    ㆍ我是學生→我不是學生
    ActionㆍBehavior∥addition: X → 不 + X∥ㆍ看書→不看書∥Contary∥ㆍ看書→沒看書
    SubstanceㆍState∥addition: X → 不 + X∥ㆍ好→不好
    ㆍ大→不大∥Contary∥ㆍ好→沒(那麽)好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고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에 이르기까지 부정사의 변천 과정을 살피고 그 변천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자정원리라는 변천 기제를 밝히는데 있다.
    易孟醇(1989:341-343)은 선진 시대에 사용된 부정사로 ‘無, 毋, 亡, 蔑, 莫, 末, 未, 微, 靡, 罔, 勿, 不, 否, 匪, 非, 弗’ 16개를 제시하고 있다. 시대를 더 거슬러 올라가 갑골문에 쓰인 부정사는 ‘勿’, ‘弜’, ‘不’, ‘弗’, ‘毋’, ‘非’ 6개이다. 柳東春(2003:403-421)은 “不”․“弗”․“勿”․“毋”․“亡”․“弜”․“非”, “妹(蔑)” 등 8개로 보고 있다. 근대 중국어 쓰인 부정사는 ‘無, 未, 莫, 勿, 沒, 亡, 罔, 靡, 不, 非, 匪, 否, 休’ 13개이다. 曾蕙蘭(1997:50)은 《祖堂集》과 같은 시대의 《敦煌變文》에 쓰인 부정사 연구를 통하여 ‘無, 未, 莫, 勿, 沒, 罔, 不, 非, 匪, 否, 叵, 休’ 12개의 부정사를 제시하고 있다. 앞에서 말한 시대별로 사용된 중국어 부정사의 변천 과정과 변천 기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존재’, ‘소유’, ‘관계’의 개념에 대한 통사적 구조는 ‘바꾸기(substitution)’라는 방식을 취하고, 반면 동작, 행위, 성질, 상태 등의 개념에 대한 통사적 구조는 ‘붙이기(addition)’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둘째, 논리의미에서 ‘존재’, ‘소유’, ‘관계’는 ‘모순(contradcition)’을 나타내고, ‘동작, 행위’, ‘성질, 상태’는 ‘반대(contrary)’를 표시하고 있다. 셋째, 변천과정에서 ‘無有’, ‘沒’, ‘沒有’, ‘非是’, ‘不是’ 등의 과도기적 언어현상이 근대 중국어 시기에 공존하고 있다. 넷째, ‘無’의 발음이 /m/에서 /ɱ/의 과정을 거쳐 현대에 零聲母로 변하는 과정에서 ‘無’가 ‘沒’로 대체되어 지금까지 /m/ 체계의 발음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중국어 부정사의 변천 과정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통해 볼 때, 중국어 부정사가 수 천 년 동안 변화하는 과정에서도 음운, 어휘, 통사, 의미의 유기적 체계를 유지하려는 현상 즉, 논리형태와 m계 부정사와 m계 부정사라는 음운형태의 시스템을 유지하려는 ‘언어의 자정원리(self-purification of language)’가 들어 있다. 이를 아래 도표로 요약한다.

    구분
    개념∥통사적 분포(syntactic distribution)∥논리의미∥비고(과도기적 언어현상)
    구조∥예시(고대중국어)∥모순, 반대∥
    존재∥바꾸기(substitution): 有→無∥ㆍ有人→無人∥모순 ∥ㆍ有人→無有人
    ㆍ有人→沒人
    ㆍ有人→沒有人
    소유∥바꾸기(substitution): 有→無∥ㆍ我有錢→我無錢∥모순∥ㆍ我有錢→我無有錢
    ㆍ我有錢→我沒錢
    ㆍ我有錢→我沒有錢
    관계∥바꾸기(substitution): 是 → 非 ∥ㆍ我是學生→我非學生∥모순∥ㆍ我是學生→我非是學生
    ㆍ我是學生→我不是學生
    동작ㆍ행위∥붙이기(addition): X → 不 + X∥ㆍ看書→不看書∥반대∥ㆍ看書→沒看書
    성질ㆍ상태∥붙이기(addition): X → 不 + X∥ㆍ好→不好
    ㆍ大→不大∥반대∥ㆍ好→沒(那麽)好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은 아래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어 부정사의 변천기제를 밝혀 보편문법을 보완할 수 있는 특수문법의 언어이론을 정립함으로서 언어연구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
    둘째, 이는 또 인터넷, 전자계산기 등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이론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셋째, 중국어 부정사의 연구를 통하여 그 언어형식 이면에 숨겨져 있는 원리를 규명함으로써 중국인의 사유방식, 세계관 등을 엿볼 수 있다. 즉 언어를 통한 사유방식, 국민성, 문화 등을 탐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언어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에 더욱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넷째, 중국어 부정사의 변천기제, 언어이론을 활용하여 한국인의 중국어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부정사(negatives), 변천 기제(change mechanism), 언어의 자정원리(self-purification of language), 논리 의미(logical meaning), 통사적 분포(syntactic distribu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