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798&local_id=10019185
무역인력의 핵심역량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무역인력의 핵심역량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 2007 년 | 김학민(경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45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무역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직무군에 관계없이 무역 분야의 종사자 전반에서 핵심으로 요구된다고 인식하는 역량과 개별 직무군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대해 총체적인 확인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역량 관련 연구에서 나타났던 통계적 유의성과 실제적 유의성 사이의 괴리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응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도출된 역량의 필요도에 관한 해석상에서 보다 실질적 의미를 얻고자 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제1장에서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방법 및 구성을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무역인력 및 무역인력 역량에 대하여 정의하고 무역인력 역량, 프로세스, 수급,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무역인력의 기대불일치 현상을 통하여 무역인력 역량연구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제4장은 무역인력의 성장경로 분석을 통해 경로이탈 인력의 역량재충전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제5장은 무역인력의 핵심역량 조사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핵심역량의 선행요인과 핵심역량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제6장은 무역인력 양성 로드맵과 대학 교과과정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실증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제7장에서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무역인력은 '수출입정보 수집, 거래상담 및 계약 체결 등 무역업무를 수행하거나 해외시장 개척, 무역금융ㆍ외환, 물류 및 통관, 관세, 분쟁해결, 무역전시회 등 수출입을 직접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인력'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우리나라가 FTA 허브국가를 지향하며 FTA 협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감에 따라 인력이동, 산업구조 재편이 수반될 것으로 전망되며, 무역인력의 개념과 인력수급에서도 단기적ㆍ중장기적 변화가 예상된다.
    무역인력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필요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무역인력 양성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력양성 주체의 확대 및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이 수반되어야 한다. 최근의 세계화 추세와 무역인력의 국가간 이동성 증가에 발맞춰 무역인력 가용자원으로 해외인력의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해외인력의 활용은 해외지역전문가 양성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무역범주 확대와 정보화 급진전에 따라 특정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전 산업에 걸쳐 이루어지는 무역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생활무역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역인력 500명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하여 무역실무에 대한 이해, 해외시장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컴퓨터 및 전자무역 활용 능력, 비즈니스 매너와 해외출장 적응성, 해외 거래선과의 커뮤니케이션, 갈등해소 능력, 제품 관련 기술적 지식과 스킬이 무역인력의 핵심역량에 해당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무역인력 핵심역량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과 조직의 무역업무 연관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출신대학의 교육 수준과 직무훈련 수준은 무역인력의 역량수준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핵심역량의 향상은 지속적인 무역관련 경력개발과 경력이탈 방지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무적합성이 높은 인재는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업무 목표가 명확하고, 성공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교육, 훈련을 통한 성과 달성에 더욱 큰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무역인력 핵심역량 수준은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고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핵심역량 수준이 높은 무역인력은 개인의 만족뿐만 아니라 조직의 구성원에 대한 핵심역량 개발활동이 직무의 만족향상과 더불어 조직에 대한 몰입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인력 양성에 대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무역인력의 역량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역인력의 역량에 대한 사회적 불일치가 존재하고, 현재 대학교육을 비롯한 양성체계의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이를 위해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시급한 과제는 무역학 교과과정의 개편을 추진하는 것이다. 무역학교과과정의 개편은 1)실용주의, 2)세계주의, 3)과학주의, 4)인본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무역학교육의 기본철학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물이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구성 운영되어야 한다.
  • 영문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rive a collaborative model for developing international trade professional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exist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expected demand from industry and the supply from university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This paper suggests a knowledge based model by considering his/her career process. The suggested model intends to reduce asynchronous information gap at every stage of career process. In particular, collaborative model is assumed to be knowledge based portal and the model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how to pursue competent global trade professionals.
    Several meaningful research propositions are derived from this paper. First, current shortage of global trade professionals brings both opportunity and threat to those organizations who are providing educational and training servic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reasons why these problem happen in supply chain process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s. Second, competence base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desirable because it considers specific people requirements by industrial segments. Third, the importance of global trade advancement program such as global e-trade or global SCM is very helpful to come up with effective results. Fourth, career development plann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cess because it stimulates to get self-confidence and to focus on customized curriculum for his/her career. Therefore, internship or project participation from students at senior level is helpful to increas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ffects. Finally, enterprise knowledge portal is suggested so that the model can help to accelerate the scope and speed of collaboration among global trade communities.
    This model helps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individual, and thus to increase the industrial competence. Though the limitations of the suggested model resulting from exploratory study this model w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information gap between demand and supply organiz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의 교역규모는 세계 12대 교역국가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우리경제를 굳건히 지탱해주고 있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제품들은 가격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외마케팅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는 않았지만, 오늘날에는 가격경쟁력과 함께 기술경쟁력의 보유와 해외마케팅 역량을 겸비한 무역전문 인력양성이 기업이나 국가 전체의 입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역인력 500명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하여 무역실무에 대한 이해, 해외시장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컴퓨터 및 전자무역 활용 능력, 비즈니스 매너와 해외출장 적응성, 해외 거래선과의 커뮤니케이션, 갈등해소 능력, 제품 관련 기술적 지식과 스킬이 무역인력의 핵심역량에 해당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무역인력 핵심역량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과 조직의 무역업무 연관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출신대학의 교육 수준과 직무훈련 수준은 무역인력의 역량수준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핵심역량의 향상은 지속적인 무역관련 경력개발과 경력이탈 방지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무적합성이 높은 인재는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업무 목표가 명확하고, 성공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교육, 훈련을 통한 성과 달성에 더욱 큰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무역인력 핵심역량 수준은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고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핵심역량 수준이 높은 무역인력은 개인의 만족뿐만 아니라 조직의 구성원에 대한 핵심역량 개발활동이 직무의 만족향상과 더불어 조직에 대한 몰입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첫째, 조직에서의 인적자원개발요소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역량개발이론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개인 중심차원에서 접근되었던 역량 개발 요소를 경영조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관련분야에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핵심역량과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역량개발요인이 조직의 인적자원관리에 새로운 영향변수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연구결과 조직 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 경력개발, 조직개발이 직무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경력개발, 조직개발요인은 조직에 대한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으로 연계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검증 결과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의 대, 중, 소기업의 무역인력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로서 연구결과의 실무적 적용이 다음과 같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연구를 통해 무역인력의 핵심역량 개발은 구성원에 대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선행연구인 신유근(1998), 백기복(2002) 등의 연구에서는 직무만족과 조직에 대한 몰입은 종업원들의 이직률 감소 및 조직에 대한 애착심의 증가를 가져와 조직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무역인력의 핵심역량 개발을 통해 조직원과 조직, 나아가 국가 전체적으로도 서로 WIN-WIN할 수 있는 인력운영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업무영역에 따라 차별화된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역량 개발요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대해 세부적인 차이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에서의 업무영역에 따른 차별화된 인적자원개발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KIEP의 연구 결과에 의한 기술무역, 지원인력의 양적 부족에 따라서 이들 업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차별화된 인적자원개발을 통해 인력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이를 통한 무역인력 역량강화의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현재까지 무역학 분야에서 인력의 핵심역량,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므로 본 연구를 통해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TA 확산으로 대한민국의 경제가 더욱 무역의존도가 높아지고 인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는 경쟁력 있는 무역인력 양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무역학 교과과정의 개선방안을 적용한다면 지역전문가 양성, 서비스무역 전문인력 양성 등 산업현장의 수요에 맞는 새로운 교과과정 신설을 통해 산업현장의 수요에 맞는 인력양성이 가능해지고 산학협력의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
  • 색인어
  • 무역인력, 핵심역량, 교과과정, 인력양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