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804&local_id=10014178
미디어 정책의 수립, 시행, 평가 단계 분석: 한류 관련 정책 연구의 메타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디어 정책의 수립, 시행, 평가 단계 분석: 한류 관련 정책 연구의 메타 분석 | 2007 년 | 손승혜(세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3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6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1998년 처음으로 등장한 한류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지난 10년간 한류 연구 분야의 성과를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한편, 한류 정책의 기획과 집행에 관한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논문의 메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998년 처음으로 등장한 한류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본격적인 학술 연구는 매년 급속도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08년에는 급격한 감소세를 보여 한류에 대한 관심의 감소를 반영하고 있다. 한류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분야 혹은 주제는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연구이지만, 이밖에는 관광, 경영/경제 분야에서도 한류와 관련된 논의가 상대적으로 다른 분야에 비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단기적/경제적 활용 방안 중심의 연구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방법은 2차 자료 분석(질적, 양적)으로 연구자들이 직접 새로운 증거와 자료를 생성하는 대신 기존의 논의들을 재활용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한류 연구는 소비자인 해외 수용자와 시장에 관한 연구는 중국과 일본으로 극히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또 다른 한류 연구 범위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구성 측면에서는 다수의 연구들이 한류와 관련된 제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정책 제안의 도출을 더욱 강조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모두 한류 정책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를 일관된 목표의 부재, 혹은 단기적, 경제적 목표 달성이라는 제한적인 목적으로의 쏠림, 그리고 진흥 정책에서의 과도한 정부 개입의 문제를 들었다. 또한 집행 과정에서도 초기 지원과 신규시장 개척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정책의 기여를 인정하지만, 기관간, 사업자간 비협조와 중복, 단기적, 가시적 이벤트성 사업 중심의 전략, 그리고 정책 평가 시스템의 부재 등을 구체적인 문제로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와 정책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 관계자들은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지원 부족, 연구 결과의 반영 부족 등의 문제를 지적한 반면, 정책 관계자들과 사업자들은 실무 정책과 사업에 도움이 될 만한 시의적절하고 신뢰할만한 연구 성과 부족에 대해 지적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들은 향후, 이 현상을 이해하는 학술적 발전에 기반이 되고 정책적 논의들을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policy process concerning Hallyu during the past decade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meta-analysis of 250 research papers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leven researchers, broadcasting industry employees and policy-maker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since 2000, the academic research on Hallyu had increased rapidly until 2008 when the volume of research has substantially decreased.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topic was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mass media, but the discussions in tourism, management/economics areas also produced significant volume of research, which represent the current emphasis on short-term, economic approach toward Hallyu. Instead of generating new data and research results, the Hallyu researches have mainly depended upon the analysis of existing data and the research site were limited to a number of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At the same time, most of the research focuses on the policy suggestions in terms of content.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the industry personnel highlight some of the Hallyu issues and concurs parts of meta-analysis results. The interviewees argued that the fundamental problems in Hallyu are the lack of consistent goals, too much emphasis on economic purposes as well as the direct and strong intervention of government. In addition, the ineffective cooperation among interest parties, direct and event-oriented short-term strategies, as well as the lack of evaluation and assessment system for Hallyu policies. Finally, while the policy-makers and industry personnel argue that the lack of timely reliable research, researchers complained that the indifferences of policy-makers and industry personnel toward their advices.
    During the last ten years, Hallyu has emerged as the main interest areas among researchers as well as policy-makers.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from both academic and policy perspectives , and providing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us of theoretical and realistic issues concerning Hallyu as a cultural phenomen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국문초록;

    이 연구는 미디어 정책과 미디어 연구의 상호 관계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미디어 산업에서 정책과 연구의 관계는 밀접하면서도 모호하다. 이 연구는 1998년 처음으로 등장한 한류라는 미디어 산업의 한 현상을 사례로 미디어 정책과 미디어 연구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발표된 한류 관련 학술 논문을 메타분석하여 한류 연구의 특성을 분석하고, 동시에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한류 정책의 실행 과정과 문제점을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0년대에 들어서서 매년 급속도로 증가세를 보이던 한류 관련 연구는 2008년에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커뮤니케이션 연구, 관광, 경영/경제 분야 등이 중심으로 경제성 측면, 단기적 활용 방안 중심의 연구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 방법이나 대상 지역 등에서도 제한적이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한류 정책 과정의 한계와 문제점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동안의 한류 연구가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연구를 통해 이해의 깊이를 더하는데 성공적이지 못했던 원인을 지적하고 있으며, 향후 이론적 학술 연구의 대상으로, 또한 정책 연구의 대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분석 결과;

    한류연구의 메타 분석; 2000년대에 들어서서 매년 급속도로 증가세를 보이던 한류 관련 연구는 2008년에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커뮤니케이션 연구, 관광, 경영/경제 분야 등이 중심으로 경제성 측면, 단기적 활용 방안 중심의 연구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 방법이나 대상 지역 등에서도 제한적이었다.

    전문가 인터뷰; 정책 기획과 집행, 연구, 방송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서는 한류 관련 정책에서 정책 목표의 부재와 쏠림 현상,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 위주의 사업 기획과 집행, 그리고 지속적이고 합리적인 평가 시스템 부재와 같은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특히 한류와 같은 문화 산업의 진흥에서 정부 혹은 국가의 역할에 대한 비판이 강하게 나타났다.

    활용방안;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동안의 한류 연구가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연구를 통해 이해의 깊이를 더하는데 성공적이지 못했던 원인을 지적하고 있으며, 향후 이론적 학술 연구의 대상으로, 또한 정책 연구의 대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연구와 정책간의 유기적인 협조 관계의 필요성을 정책 과정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언론과 사회", "방송통신연구" 등의 국내 학술 저널 게재가 가능하며,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등 해외 저널을 통하여 아시아 지역 문화 현상을 재검토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 색인어
  • 한류, 미디어정책, 정책연구, 메타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