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816&local_id=10014632
중국 고전시가의 산문적 요소 수용 배경 연구-中唐에서 北宋까지의 문단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국 고전시가의 산문적 요소 수용 배경 연구-中唐에서 北宋까지의 문단을 중심으로- | 2007 년 | 김지영(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38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문위시는 산문적 요소를 사용해 시를 짓는 예술수법으로, 중당 시인들이 성당 시인의 성취 앞에서 시창작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했던 작시법이다. 이문위시의 수법은 이후 송시의 시풍을 형성하는데 직접 영향을 준 점에서 詩史적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필자는 학위 논문을 집필하면서 이문위시의 수법이 어떠한 배경에서 출현하였는지에 대하여 차후의 과제로 남겨둔 바 있다. 이문위시의 배경 연구는 이문위시 수법의 폭넓은 이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고를 통해 중국의 고전시가가 산문적 요소를 수용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이문위시의 수법이 출현하고 발전하게 된 배경을 중당시기와 북송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당시기에 이문위시 수법이 출현하게 된 배경을 다음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1) 詩壇의 상황: 이문위시의 예술수법을 본격적으로 사용한 사람은 중당의 한유이다. 한유는 자신보다 조금 앞서 활동했던 이백과 두보 같은 성당시인의 성과 앞에서 시가 창작에서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야만 했다. 당시의 시단에서 자신이 나아가야 할 바를 심각하게 고민하며, 이전 시의 제한을 넘어서고자 했던 노력의 결과로 나온 것이 바로 이문위시의 수법이다. 2) 安史의 난: 중당은 안사의 난을 계기로 사회 문화전반에 걸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문학적으로는 성당의 낭만적 기풍이 쇠퇴하고 현실주의가 발전하게 된다. 情景을 위주로 한 정통시의 서술방식으로는 변화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중당의 지식인들은 이전에는 시에 사용하지 않았던 경사, 백가, 고문, 필기와 같은 문의 요소를 사용해 시를 짓기 시작하였다. 3) 古文運動: 중당시기 고문운동의 발생 역시 이문위시 수법의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중당의 신진사대부들은 선진․양한의 유가정신을 본받아 당시의 변려문을 대신하였다. 이들 고문가들은 시가 창작에도 고문의 창작수법을 활용하였다. 고문가였던 한유는 시를 문장의 延長으로 대하여 시 속에 자연스럽게 고문의 필력을 발휘한 것이다.
    다음으로 북송시기에 이문위시 수법이 발전하게 된 배경을 다음의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1) 詩文革新運動: 북송 중기 문단은 기험괴삽한 문풍의 태학체가 유행하였고, 시단에서는 유미적 시풍의 서곤체가 풍미하였다. 구양수를 비롯한 북송 중기 시인들은 시문혁신을 통해 이러한 문풍을 바로잡으려 했다. 이런 목적으로 구양수는 ‘氣格’을 위주로 한 평이한 형식에 이문위시의 예술수법을 더하여 시를 창작하였다. 고문의 ‘氣格’을 시에 도입한 시문혁신운동을 통해 이문위시 수법이 발전할 수 있는 풍토가 형성되었다. 2) 理學詩派의 등장: 북송 중기는 개인의 수양과 의리를 탐구하는 이학가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文以載道의 입장에서 문학을 도구적인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자신의 사상과 주장을 시를 통해 전달하였는데, 이런 과정 속에서 시 속에 산문적 요소를 끌어들여 작시하였다. 대표적인 작가로 소옹을 들 수 있는데 시 속에 철리를 논하거나 불경과 같은 시를 지어 비난을 받기도 하였지만, 시율을 변화시키고 결구를 개혁시킨 공로도 있었다. 3) 문학 장르간의 융합 기풍: 북송 중기는 문학 장르 간에 서로 교류하는 기풍이 생기면서 以文爲詩, 以詩爲詞, 詩畵合一, 詩禪相通과 같이 다방면에서 서로 다른 장르가 융합된 새로운 수법이 생겨났다. 이런 문예사조가 가능했던 것은 송대의 작가 의식이 개방적으로 변하여 기존의 규범을 벗어나 창신의 정신을 발휘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문학은 생명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런 기풍 속에서 시와 문을 상통시킨 이문위시 수법은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 영문
  • Yi wen wei shi (以文爲詩) is one of the artistic poem-composing styles in which poems are composed in the way of prose writing. Emerging in the Middle Tang period and flourishing in the Northern Song period, Yi wen wei shi has been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because it direc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 Poetry. My paper studies the development of the Yi wen wei shi style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its expansion.
    First, I will discuss the backgrounds of the emergence of Yi wen wei shi in the Middle Tang. Most of poem critics refers Yi wen wei shi as the main feature of Han Yu's (韓愈) poetry. What made Han Yu develop Yi wen wei shi It was not easy for poets in Han Yu's time to make their poetry distinguished from the works of Li Bai (李白) and Du Fu (杜甫), who belonged to the previous generation and left enormous achievements in poetic styles and poetry writing. But Han Yu developed a new style of poem-composing and formed a new school himself. It was Yi wen wei shi that made it possible for poets of the Middle Tang to present new styles in front of the brilliant accomplishment of the High Tang poetry. The Rebellion of An and Shi (安史之亂) was the turning point not only for th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during the Tang period but also for the literature at that time. Through this incident, poets realized the socio-political reality of their time and found that the previous style of poetry could not describe the disorder they were experiencing. Therefore, they desperately needed a new style. This was the reason why the new poem-composing style of Yi wen wei shi developed. One of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Middle Tang literary world was the Classical Prose Movement (古文運動), which claimed the revival of the spirit of the Classical Prose of the Han dynasty (兩漢) and its use in poem composition.
    Now I will discuss why Yi wen wei shi developed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In the early Song the sentimental character of the Five Dynasties (五代) was widespread and the Bai ti (白體), the Late Tang style (晩唐體) and the Xi Kun ti (西崑體) prevailed. By the time of the mid-Northern Song, Ouyang Xiu's (歐陽修) poetry corrected the Xi Kun ti and used the Qige(氣格)-oriented Yi wen wei shi style. Shao Yong (邵雍), in the mid-Northern Song, began to compose poetry by using prose elements. The lixue(理學) Scholars at that time had a little opinion about literature and used Yi wen wei shi to demonstrate their ideas. Therefore the Poetry and Prose Reform Movement (詩文革新運動) in the Northern Song becam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Yi wen wei shi. In addition, there was a trend of fusion among the literary genres in the mid-Northern Song, which was possible because of the Song poets' openness to new styles. This trend of fusion between poetry and prose further enabled the development of the Yi wen wei shi sty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以文爲詩는 산문적 요소를 사용해 시를 짓는 예술수법으로, 중당 시인들이 성당 시인의 성취 앞에서 시창작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했던 작시법이다. 이문위시의 수법은 이후 송시의 시풍을 형성하는데 직접 영향을 준 점에서 詩史적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이문위시 수법의 배경 연구는 이문위시 수법에 대하여 개인적, 사회적, 시대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라, 이를 통해 이문위시의 수법에 대해 폭넓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중국 고전시가가 산문적 요소를 수용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문위시의 수법이 출현하고 발전하게 된 배경을 크게 중당시기와 북송시기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중당시기는 1) 시단의 상황 2) 안록산의 난 3) 고문운동으로, 북송시기는 1) 시문혁신운동 2) 理學詩派의 등장 3) 문학 장르간의 융합 기풍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논문의 연구결과로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詩史에서 시 속에 산문적 요소를 수용하여 작시한 以文爲詩 수법은 중당 시기부터 송대에 이르기까지 근 오백년에 걸쳐 사용된 창작기법이다. 그러나 以文爲詩에 대한 연구는 20세기에 들어와 시작되었고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以文爲詩 수법의 정의와 양상, 역대의 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 되었다. 본논문은 중국 고전시가 산문적 요소를 수요하게 된 배경을 분석했는데, 이를 통해 以文爲詩 수법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며, 또한 중국 詩史의 흐름을 폭넓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될 것이다.
    둘째, 송대는 以文爲詩의 수법처럼 서로 다른 문학 장르가 융합하는 현상이 많이 나타났다. 예술방면에서 다른 영역이 서로 침투하고 영향을 주어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것은 송대문학의 특징이지만, 이것은 문학의 발전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와 문이라는 다른 영역이 결합된 以文爲詩의 수법을 이해하여 이들 영역간의 공통된 결합 방식을 찾아낸다면, 예술방면에서의 다른 영역들이 서로 결합하는 현상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셋째, 하나의 문학현상이나 예술수법을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실체를 정확히 분석해야 할뿐 아니라, 그와 관련된 시대적 배경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실제 以文爲詩 수법의 출현은 중당의 시단 상황, 안록산의 난, 고문운동, 송대의 시문혁신운동, 理學詩派의 등장, 문학 장르간의 융합 기풍 같은 시대적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以文爲詩 수법이 출현하게 된 배경을 연구하게 되면 당시의 시대와 사회상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이문위시, 수용배경, 중당의 시단, 안사의 난, 고문운동, 시문혁신운동, 이학시파의 등장, 문학 장르간의 융합 기풍.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