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829&local_id=10014202
이자율 기간구조: spectral 분석을 통해 본 DSGE-simulation 모형 대 VAR-affine 모형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이자율 기간구조: spectral 분석을 통해 본 DSGE-simulation 모형 대 VAR-affine 모형 | 2007 년 | 이우헌(경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15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새케인즈학파 DSGE 모형이 실제 이자율 자료의 spectral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새케인즈학파 DSGE 모형에서 많이 쓰이는 습관형성과 반복적 효용함수 중 어느 것이 이자율 기간구조를 상대적으로 더 잘 설명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모형 모두 이자율 기간구조를 어느 정도 잘 설명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에서 고려한 여러 모형 중 Rudebusch and Swanson(2009)이 제시한 반복적 효용함수의 spectal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다만 다른 모형들이 Rudebusch and Swanson(2009)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이런 결과는 두 모형을 차별하려면 GDP와의 상관계수나, 수익률 곡선의 기울기 등 다른 특성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습관형성 모형의 문제점은 첫째, 시간가변적 위험보상을 생성하기 위해 매우 지속적이고 변동성이 큰 충격을 필요로 하고 둘째, 이자율 기간구조를 설명하려면 주요거시변수의 움직임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반복적 효용함수도 문제점이 있다. 반복적 효용함수는 우상향하는 수익률곡선을 생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거나 명목이자율과 GDP와의 양의 상관계수를 설명하는 데 문제점이 있다. 반복적 효용함수도 매우 큰 통화정책 충격과 선호충격을 필요로 하거나 매우 큰 준-상대적 위험혐오도를 필요로 한다.
  • 영문
  • In recent macro-finance literature, two competing specifications for utility have been widely employed by researchers in order to explain the 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s; they are habit formation and recursive utility. We examined if we can discriminate the performance of each specification by investigating which specification for utility can better match the spectral properties as well as the mean, the variance, and the correlation with output of the 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s. We found that the interest rates generated from Rudebusch and Swanson's specification for recursive utility shows pretty good fit of the model. But it does not dominate other specifications. The performance of each utility specification is more or less the same in terms of the spectral properties. This suggests that we should look at other criteria too in order to discriminate them.
    A DSGE model with habit formation has been criticized in several ways. First, we need very persistent and large shocks in order to generate the time varying term premia. Second, a DSGE model with habit formation cannot explain the movements of financial variables without compromising the model's ability to fit the macroeconomic data. Simulations reveal that the DSGE models with recursive utility are not free of problems, either. The DSGE models with recursive utility have difficulty in generating either a sufficient slope in the yield curve or in generating positiv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nominal interest rates (spreads) and output. In order to explain the time varying term premia, we need either very large monetary policy shock along with large taste shock, though it is to less degree than for the habit formation, or pretty large quasi-CRRA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for recursive uti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We examine if a New Keynesian DSGE model can generate yields that can match the spectral properties of the actual yields. For this purpose, we consider two competing specifications for utility in a DSGE model; habit formation and recursive utility. We find that yields generated from the DSGE models with either specification for utility can match the spectral properties of the actual yields reasonably well. Among the specifications we consider, interest rates generated from the Rudebusch and Swanson(2009)'s specification for recursive utility shows pretty good fit of the model. But it does not dominate the other specific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have to look at other features of the model too in order to discriminate them, for example, the correlation of yields and/or spreads with output.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습관형성과 반복적 효용함수 중 어느 것이 DSGE 모형에서 이자율 기간구조를 더 잘 설명하는가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spectral analysis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습관형성과 반복적 효용함수 모두 spectral 특성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오히려 두 모형을 차별하려면 GDP와의 상관계수 등을 고려해야 함을 보였다.
    분석 결과 두 모형 모두 장단점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습관형성 모형은 매우 지속적이고 변동성이 큰 충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반복적 효용함수는 정도는 조금 덜 하지만 여전히 지속적이고 변동성이 큰 충격을 필요로 하며, 우상향하는 수익률곡선과 GDP와 명목이자율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결국 이 연구에 의하면 두 모형 모두 이자율 기간구조를 완벽하게 설명하지는 못한다. 사실 이론적 모형이 실증적으로 완벽에 가깝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 지 모른다. 이런 점에서 이자율 기간구조를 분석함에 있어서 어느 모형이 상대적으로 우월한가는 다른 연구결과가 나오기 전에는 연구자의 선호나 필요성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겠다.
  • 색인어
  • Term Structure of Interest Rates, DSGE Model, Habit Formation, Recursive Utility, Spectral Properties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