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842&local_id=10019983
자기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모듈 개발과 이의 적용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담화 유형과 수업 참여구조의 규명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자기탐구적 과학 글쓰기& #40;Science Writing Heuristic& #41;모듈 개발과 이의 적용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담화 유형과 수업 참여구조의 규명 | 2007 년 | 신명경(경인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606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연구는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의 과학 수업을 좀다 실질적인 과학탐구를 수행하는 비계의 역할을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예비초등교사의 수업을 통해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가 적용되었다.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는 학생의 탐구와 자신의 주장을 만드는 것을 독려하였다.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는 글쓰기라기 보다는 자기탐구적인 요소가 더 강조된다. 이런 맥락에서 자기탐구적 글쓰기가 과학 수업을 좀다 과학수행을 하는 것에가깝게 동시에 주어진 지시를 따라 진행하는 실험에서 좀더 벗어날 수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참여구조, 담화분석 그리고 RTOP에 의한 분석결과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는 과학수업을 과학탐구로 전환시키는 매우 성공적인 도구임을 알게 되었다.
    또하나의 연구는 과학탐구의 요소중 문제인식을 강조한 수업이 어떻게 학생의 탐구수행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연구이다. 문제인식은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의 핵심적인 요소이기도 한다. 학생중심 문제인식에 초점을 맞춘 교수 전략이 개발되었고 활동지가 함께 개발되었다. 8번의 수업이 진행되었다.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를 도입한 초등수업과 예비초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참여구조와 담화패턴이 모두 학생중심적인 모습으로 변화해감을 알 수 있었다.
  • 영문
  • This resarech explored the potential use of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provided as scaffolding in science class focusing on practicing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Methods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WH was used in working with elementary level science inquiries. I explored how SWH worked for facilitating students' inquiry and making their own claims. This study tried to view and explore SWH focusing not on a part of 'writing' but 'heuristic'. In that context I tried to compare SWH to scaffolding as emphasizing its function of making science class move toward 'scientific practice' away from following the given experiment direction of teachers or textbook. Participant structures and discourse pattern as well as RTOP were evaluated in these microteaching. All of the evaluation stated that SWH was successful tool for making a science class into scientific inquiry.
    Another study in this resarch project presented preliminary research on exploring how science activities focusing on problem recognition worked and affected students' practicing inquiry. The problem recognition was a part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which was suggested by Keys, Hand, Prain and Collins (1999).
    Teaching strategies focused on the student-centered problem recognition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the prepared working sheets for each class of eight lessons were analyzed for sixth graders.
    Trough adopting SWH in both an elementary classroom and a microteaching of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nt structure and discourse patterns as well as RTOP scores were found to move toward 'student-centered inquiry' based on this resaerch proje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가 수업에서의 과학탐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주로 알아보고자 하였고 아울러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참여구조와 담화 유형이라는 측면에서 어떻게 규명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과학 탐구 내용을 이용하여 실제 자기탐구적 글쓰기를 1년에 걸쳐 시행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자기 탐구적 글쓰기에 대한 결과분석과 예비교사들이 실시했던 마이크로 티칭에서의 수업참여구조와 담화 패턴을 중점적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실제 초등학교에서 자기탐구적 글쓰기가 적용되었고 그 결과를 함께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예비초등과학교사와 표본으로 초등학교 한개반을 대상으로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를 도입하여 과학수업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인식을 하고 수업의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통해 수업에 대해 주도적인 인식을 하게 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예비 초등과학교사의 마이크로 티칭 수업을 통해 본 결과 학생들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수업에서 발언권을 가지는 참여구조와 교사주도적 혹은 교사 발문에 의한 전형적인 수업담화 패턴보다는 학생에 의해 주도되는 진정한 담화가 비교적 자주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하는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가 단순한 과학글쓰기가 아니며 과학수업을 탐구의 형태로 전환하면서 동시에 학생주도적 학습환경을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색인어
  • 자기탐구적 과학글쓰기, 과학탐구, 수업담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