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847&local_id=10020435
소비자의 개성 및 문화적 특성이 모바일 TV의 이용 동기 및 광고의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소비자의 개성 및 문화적 특성이 모바일 TV의 이용 동기 및 광고의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07 년 | 최영균(동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851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6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국문요약:
    본 연구결과 예상대로 한국은 미국보다 병립적 자아가 강한반면 미국은 독립적 자아가 더 강하고 이로 인해 모바일 tv를 수용하는데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용과 충족이론을 적용한 설문지를 만들어 데이타를 모은 결과 평온함, 친구관계, 오락, 정보, 패션/지위, 사회적 상호작용, 지속적 연결, 시간보내기 등 8개의 이용동기가 발견되었고, 한국에서는 친구관계, 오락, 정보, 지속적 연결이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미국에서는 패션/지위, 지속적 연결, 오락 등이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기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의도를 위해서는 한국에서 사용태도와 지속적 연결이 미국에서는 사용태도, 패션/지위, 사회적 상호작용 등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때 성별과 모바일tv 사용유무는 통제된 상태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문화간 연구나 이용과 충족이론의 이론적 발전 뿐아니라 프로그램개발이나 광고를 사용자의 need에 따라 customize하는 등 실무적 측면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영문
  • The study aims to identify motivation factors for the use of mobile TV and their effects on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in a cross-cultural context. It investigates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ir effects on attitude and intention across culturally different countries: Korea vs. USA. For this purpose, three-step procedures were executed. First,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each country to identify motivations to use mobile TV. Next, the outcome from the interview was integrated with other uses and gratification items in previous media research (e.g., television, and mobile phone). The results were transformed into questionnaire items and the first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11 subjects from both countries. As a result, survey items were examined using factor analysis and bad items were deleted. Finally, the second survey research conducted with revised items for the reason to use a mobile TV. A total of 83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cedure and 817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7 subjects with inappropriate or insufficient answers.
    The result showed 8 motivation factors: relaxation, companionship, social interaction, fashion/status, entertainment, information, permanent access, and pass time. Nex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mpare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US consumers controlling the effects of covarianc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ave arisen in the effects of motivating factors on dependent measures. For attitude toward the mobile TV, Korean subjects were influenced by permanent access, companionship,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Gender and current use of mobile TV service had significant effects as covariates.
    Comparatively, fashion/status, permanent access, and entertai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for U.S. subjects’ attitude. Also, companionship was close to significant level. Only current use of mobile TV appeared as a significant covariate.
    For intention to use the mobile TV, attitude toward the mobile TV, and permanent access positively affected Korean consumers. Current use of mobile TV was a significant covariate. US consumers were motivated to use the mobile TV by attitude, fashion/status, and social interaction. Permanent access and relaxation approached to significant level closely. Gender and current use of mobile TV were significant covariate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cross cultural research and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re suggeste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obile TV contents and advertising appeals are follow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study aims to identify motivation factors for the use of mobile TV and their effects on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in a cross-cultural context. It investigates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ir effects on attitude and intention across culturally different countries: Korea vs. USA. For this purpose, three-step procedures were executed. First,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each country to identify motivations to use mobile TV. Next, the outcome from the interview was integrated with other uses and gratification items in previous media research (e.g., television, and mobile phone). The results were transformed into questionnaire items and the first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11 subjects from both countries. As a result, survey items were examined using factor analysis and bad items were deleted. Finally, the second survey research conducted with revised items for the reason to use a mobile TV. A total of 83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cedure and 817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7 subjects with inappropriate or insufficient answers.
    The result showed 8 motivation factors: relaxation, companionship, social interaction, fashion/status, entertainment, information, permanent access, and pass time. Nex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mpare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US consumers controlling the effects of covarianc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ave arisen in the effects of motivating factors on dependent measures. For attitude toward the mobile TV, Korean subjects were influenced by permanent access, companionship,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Gender and current use of mobile TV service had significant effects as covariates.
    Comparatively, fashion/status, permanent access, and entertai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for U.S. subjects’ attitude. Also, companionship was close to significant level. Only current use of mobile TV appeared as a significant covariate.
    For intention to use the mobile TV, attitude toward the mobile TV, and permanent access positively affected Korean consumers. Current use of mobile TV was a significant covariate. US consumers were motivated to use the mobile TV by attitude, fashion/status, and social interaction. Permanent access and relaxation approached to significant level closely. Gender and current use of mobile TV were significant covariate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cross cultural research and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re suggeste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obile TV contents and advertising appeals are followed.
    국문요약:
    본 연구결과 예상대로 한국은 미국보다 병립적 자아가 강한반면 미국은 독립적 자아가 더 강하고 이로 인해 모바일 tv를 수용하는데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용과 충족이론을 적용한 설문지를 만들어 데이타를 모은 결과 평온함, 친구관계, 오락, 정보, 패션/지위, 사회적 상호작용, 지속적 연결, 시간보내기 등 8개의 이용동기가 발견되었고, 한국에서는 친구관계, 오락, 정보, 지속적 연결이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미국에서는 패션/지위, 지속적 연결, 오락 등이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기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의도를 위해서는 한국에서 사용태도와 지속적 연결이 미국에서는 사용태도, 패션/지위, 사회적 상호작용 등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때 성별과 모바일tv 사용유무는 통제된 상태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문화간 연구나 이용과 충족이론의 이론적 발전 뿐아니라 프로그램개발이나 광고를 사용자의 need에 따라 customize하는 등 실무적 측면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에서 발견된 한국과 미국간의 이용동기의 차이와 그 영향변수의 차이점은 문화간 연구나 이용과 충족이론의 이론적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뿐아니라 프로그램개발이나 광고를 사용자의 need에 따라 customize하는 등 실무적 측면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이 실제 위기상황에 빠져있는 DMB관련 업체의 수익성제고를 위해 전략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고, 또한 불황을 타개하기위한 법규적 측면에서도 본 연구결과가 수용되어 집행될 필요가 있다.
    현재 본 연구자는 이 결과를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본 연구를 2009년도 한국마케팅과학회 SPRING CONFERENCE에서 발표하였고, 올해 11월 미국에서 열리는 학회에서도 발표할 예정으로 있다.
    또한 SSCI급 저널에 본 결과물을 출간되도록 한다는 최종목표를 가지고 DRAFT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색인어
  • 모바일 tv, 이용과 충족이론, 개인적 자아, 이용동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