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862&local_id=10017852
宋代 詩味論의 배경과 특색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宋代 詩味論의 배경과 특색 연구 | 2007 년 | 이치수(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64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중국의 고전 문학비평은 송대에 이르러 중흥기를 맞이하여 詩話라는 새로운 양식을 통하여 다양한 시론이 전개되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이고 핵심적인 개념 중의 하나가 바로 詩味論이다. 시미론은 중국 고유의 음식 문화에서 비롯된 특수한 시가이론으로, 先秦에서 淸代에 이르기까지 계속 전개되었다. 그 역사는 대체로 先秦에서 晉宋 때까지가 萌芽期이고, 齊梁에서 唐代까지는 形成期이며, 宋代에 이르러서는 드디어 發展期를 맞이하게 된다. 송대에는 ‘味’로 詩와 文을 논하는 것이 더욱 보편화되었다. 송대의 시가 唐詩와 비견되는 성취를 거두고 특색을 가지게 되는 것도 바로 이 시미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송대의 시 및 송대의 시학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시미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송대에는 ‘미(味)’로 시를 논하는 시미론이 보편화되고 성행하였다. 본 연구 <宋代 詩味論의 배경과 특색 연구>는 송대 시학의 가장 핵심 내용인 「시미론」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었는가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중국 시미론의 산생과 전개 : 송대의 시미론을 연구하기 하기 앞의 필수작업으로, 이전의 시인이나 비평가들의 시미에 대한 견해를 살폈다. 송대 이전의 시미론의 역사를 (1) 시미론의 萌芽期(先秦―晉宋)와 (2) 形成期(齊梁―唐代)로 나누고, 각 시기의 주요 인물로 陸機와 劉勰, 鍾嶸, 司空圖 등의 주장과 이론의 특색을 살폈다. 2. 송대 송대 시미론의 배경 : 송대에 시미론이 왕성하게 생겨나게 된 배경에 대하여 (1) 시미론 역사의 내적 배경과 (2) 시미론과 송대의 문화, 학술 사상 등과의 영향 등의 관계를 살폈다. 3. 송대 시미론의 전개 : 송대 시학상 주요한 시미이론에 대해, 시인이나 비평가로 비교적 비중이 큰 사람을 골라 이들의 이론과 특색을 고찰하였다.((1) 梅堯臣과 歐陽修, (2) 魏泰, (3) 蘇軾, (4) 張戒, (5) 楊萬里. (6) 기타). 4. 송대 시미론의 특색 : ⑴ 시미의 성격과 특징, ⑵ 시미의 창작, ⑶ 시미의 감상, ⑷ 시미의 審美的 理想과 典範, ⑸ 시미론과 시대성 등의 면에서 송대 시미론의 특색을 살펴보았다. 5. 송대 시미론의 의의 및 후세 영향 : 송대에는 시미론이 詩學의 주요 개념이자 명제가 되었다. 많은 시인들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추구하는 대상으로 확대되었다. 시미론은 시의 본질론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으며, 辨體論의 면에서 文과 대비되는 詩의 특색으로 파악되었다. 또 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의 하나가 되어 창작뿐만 아니라 시 평가에도 주요 요소로 여겨졌다. 개별 작가나 작품뿐만 아니라 詩派 구성의 주요 標識로 평가되는 등, 실제비평에서 새롭고 폭넓게 적용되었다. ‘味’가 더욱 세분화되어,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표현의 ‘味’와 관련된 명칭이 등장하였다. 시미의 이상적인 풍격으로 平淡 풍격이 제시되었고, 시인으로는 陶淵明이 새롭게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또 창작 요구와도 결합되고, 구체적인 作法과 연계되어 논의되었다. 시미론은 송대 시학의 주요 내용의 하나가 되었다. 송대의 시미론은 위로는 六朝와 唐代를 계승하면서 아래로 元代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송대의 시미론에서 쓰였던 ‘미(味)’ 관련 용어들이 원대에도 그대로 이어져 사용되었으며, 이론에 있어서도 송대를 계승하였다. 전체 시미론의 역사에서 송대는 시미론의 발전기에 속하면서, 이전과 다른 나름대로의 새로운 모습과 성취를 보여주었다.
  • 영문
  • As the Classical Chinese Literary Criticism encountered the period of development in Song Dynasty, diverse poetics has been developed through a new genre called Poetry Talk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s well as crucial concepts in poetics of Song Dynasty is the Theory of Poetic Taste. The Theory of Poetic Taste, a unique theory about poetry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of China, has been continuously evolved from the period of Pre-Qin to Qing Dynasty.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the period from Pre-Qin to Jin-Song Dynasties is a germinal stage, from Qi-Liang to Tang Dynasty is the formative period, and finally in the Song Dynasty it has welcomed the golden age. In Song Dynasty it has been more universalized to discuss poetry and prose by means of taste. The study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is necessary to thoroughly comprehend the poetry and the poetics of Song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of Background and Distinction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the core of the poetics of Song Dynasty.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1.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of China
    As a prerequisite to study the Theory of Poetic Taste, various opinions of previous poets and critics were explored. The history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in the period prior to Song Dynasty was divided (1) a germinal stage of Theory of Poetic Taste, (2) the formative period of Theory of Poetic Tas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s and theories of Lu Ji, Liu Xie, Zhong Rong, Sikong Tu etc. were viewed.
    2. The background of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In relation to the background of the dramatic growth of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1) the influence of critical writings about the Theory of Poetic Taste in the period prior to Song Dynasty, (2) relations between Theory of Poetic Taste and the effects of culture and academic ideas of Song Dynasty were discussed.
    3.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Concerning the vital theories of poetic taste in poetics of Song Dynasty,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significant poets and critics were surveyed.
    (1) Mei Yaochen and Ou Yangxiu, (2) Wei Tai, (3) Su Shi, (4) Zhang Jie, (5) Yang Wanli, (6) Etc.
    4. The characteristics of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were studied by extracting the most widely discussed subjects out of the synthesis of various ideas about poetic taste. The contents consist of (1) the traits and characteristics of poetic taste, (2) creation of poetic taste, (3) appreciation of poetic taste, (4) aesthetic ideal of poetic taste and representative models, (5) Theory of Poetic Taste and the character of the age, etc.
    5.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n posterity of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In Song Dynasty, Theory of Poetic Taste became the essential concept of poetics, which numerous poets took a growing interest. Theory of Poetic Taste has a close relation to essentialism and let poetry to be distinctive from prose. In addition, it was regarded as a main factor not only in the creation but also in the evaluation of poetry as it became one of the vital elements which constitute poetry. Some terms related to the new expression of taste appeared as taste became a more complicated concept. Pingdan style was suggested as an idealistic style of poetic taste and Tao Yuanming was newly appreciated as an ideal poet.
    The Theory of Poetic Taste of Song Dynasty inherited Six Dynasties and Tang Dynasty, and had a direct influence on Yuan Dynasty. In view of overall history of Theory of Poetic Taste, Song Dynasty belongs to the period of developments of Theory of Poetic Taste and reveals totally new features and achievem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고대 중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味’라는 개념으로 시를 평가하였는데, 중국 고유의 음식문화에서 비롯되어 점차 중국적 특색이 농후한 詩學 이론인 ‘詩味論’이 형성되었다. 시미론은 先秦에서 淸代에 이르기까지 계속 전개되었는데, 先秦에서 晉宋 때까지가 萌芽期이고, 齊梁에서 唐代까지는 形成期이며, 宋代에 이르러서는 드디어 發展期를 맞이하게 된다. 송대에는 ‘味’로 詩와 文을 논하는 것이 더욱 보편화되었다. 송대의 시론 중, 가장 대표적이고 핵심적인 개념 중의 하나가 바로 시미론이다. 본 연구는 송대 시학의 가장 핵심 내용인 시미론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었는가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1. 중국 시미론의 산생과 전개 : 송대 이전의 시미론의 역사를 (1) 시미론의 萌芽期(先秦―晉宋)와 (2) 形成期(齊梁―唐代)로 나누고, 각 시기의 주요 인물로 陸機와 劉勰, 鍾嶸, 司空圖 등의 주장과 이론의 특색을 살폈다. ‘맛’이란 본래 음식에 대한 감각인데, 先秦 시기부터 이 말로 예술적 미감을 비유하였고, 西晉 이래로 이 ‘味’자가 詩文의 이론에 사용되었으며, 그 뒤 여러 사람에 의해 이론적 체계가 구체화되고 다양하게 전개되면서 맛[味]의 문제는 시의 창작과 평론(감상)의 주요 문제로 자리하게 되었다.
    2. 송대 시미론의 배경 : 송대 시미론의 배경에 대하여 (1) 시미론 역사의 내적 배경과 (2) 송대의 문화, 학술 사상적 배경으로 나누어 살폈다.
    3. 송대 시미론의 전개 : 송대 시학상 주요한 시미이론에 대해, 시인이나 비평가로 비교적 비중이 큰 사람을 골라 이들의 이론과 특색을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1) 北宋의 ① 梅堯臣과 歐陽修, ② 魏泰, 蘇軾, (2) 南宋의 ① 張戒, ② 楊萬里, ③ 기타 등이다.
    4. 송대 시미론의 특색 : ‘詩味’에 관한 諸家의 주장을 종합하여 그 중에서 가장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문제를 추출하여 송대 시미론의 특색을 살펴보았다. 그 내용은 ⑴ 詩味의 성격과 특징, ⑵ 시미의 창작, ⑶ 시미의 감상, ⑷ 시미의 審美 理想과 典範, ⑸ 시미론과 시대성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5. 송대 시미론의 의의 및 후세 영향 : 송대에는 시미론이 詩學의 주요 개념이자 명제가 되어, 이전에 비해 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해졌다. 시미론은 시의 本質論과 밀접한 관계를 가져, 辨體論의 면에서 文과 대비되는 詩의 특색으로 파악되었다. ‘味’가 더욱 세분화되었으며, 實際批評에 쓰여졌다. 이상적인 풍격으로 平淡 이 제시되었고, 이상적인 시인으로 陶淵明이 새롭게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또 시미가 구체적인 作法과 연계되어 논의되었다. 송대의 시미론은 위로는 六朝와 唐代를 계승하면서 아래로 元代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체 시미론의 역사에서 볼 때, 송대는 시미론의 발전기에 속하여, 이전과 다른 나름대로의 새로운 모습과 성취를 보여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송대에는 ‘味’로 시를 논하는 시미론이 보편화되고 성행하였다. 본 연구 <宋代 詩味論의 배경과 특색 연구>는 송대 시학의 가장 핵심 내용인 「시미론」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었는가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1. 중국 詩味論의 산생과 전개 : (1) 시미론의 萌芽期(先秦―晉宋)와 (2) 시미론의 形成期(齊梁―唐代)로 나누고, 陸機의 견해를 비롯하여, 劉勰의 餘味說, 鍾嶸의 滋味說, 司空圖의 韻味說 등의 특색을 살폈다.2. 송대 시미론의 배경 : 송대 시미론의 배경에 대하여 (1) 시미론 역사의 내적 배경과 (2) 송대의 문화, 학술 사상적 배경으로 나누어 살폈다.
    3. 송대 시미론의 전개 : 송대 시학사상 비교적 비중이 큰 사람으로 (1) 北宋의 ① 梅堯臣과 歐陽修, ② 魏泰, 蘇軾, (2) 南宋의 ① 張戒, ② 楊萬里, ③ 기타 등을 중심으로 시미론에 관한 이론과 특색을 고찰하였다.
    4. 송대 시미론의 특색 : 송대 시미론에서 가장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문제를 ⑴ 詩味의 성격과 특징, ⑵ 시미의 창작, ⑶ 시미의 감상, ⑷ 시미의 審美 理想과 典範, ⑸ 시미론과 시대성 등으로 나누어 특색을 살폈다.
    5. 송대 시미론의 의의 및 후세 영향 : 송대에는 이전 보다 많은 시인들이 詩味論에 대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이전에 비해 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해졌다. 시미론은 시의 本質論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辨體論의 면에서 文과 대비되는 詩의 특색으로 파악되었다. 또 창작뿐만 아니라 시 평가에도 주요 요소로 여겨졌다. 개별 작가나 작품뿐만 아니라 詩派 구성의 주요 標識로 평가되는 등, 시미론이 實際批評에서 새롭고 폭넓게 적용되었다. ‘味’가 더욱 세분화되어,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표현의 ‘味’와 관련된 명칭이 등장하였다. 詩味의 이상적인 풍격으로 平淡 풍격이 제시되었고, 이상적인 시인으로 陶淵明이 새롭게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또 창작 요구와도 결합되어, 구체적인 作法과 연계되어 논의되었다. 송대의 시미론은 위로는 六朝와 唐代를 계승하면서 아래로 元代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송대의 시미론에서 쓰였던 ‘味’ 관련 용어들이 원대에도 그대로 이어져 사용되었으며, 이론에 있어서도 송대를 계승하였다. 그밖에 明代의 楊愼과 後七子의 謝榛과 王世貞은 詩評에서 '眞味'나 ‘餘味’ ‘意味’ 등의 용어를 즐겨 사용하였으며, 淸代의 王夫之와 劉熙載 등도 시미론의 관점에서 시를 논했다. 전체 시미론의 역사에서 볼 때, 송대는 시미론의 발전기에 속하여, 이전과 다른 나름대로의 새로운 모습과 성취를 보여주었다.
    <연구결과 활용방안> ⑴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송대 詩學의 다른 주요 문제, 예컨대 作家論, 作法論 등과의 관련 문제와 연계하여 확대 연구한다. ⑵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송대의 개별 詩論家들의 詩論 연구로 폭을 넓혀 연구한다. ⑶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송대 이후 元, 明, 淸代에 이르는 시미론의 발전과 변화를 시기별로 연구함으로써, 중국 고전시학의 특색 중의 하나인 시미론의 全貌를 밝힌다. ⑷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연구의 폭을 넓혀 중국의 古典 美學과 思想, 그리고 文化를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⑸ 또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漢文學의 관련 분야의 연구를 중국과의 비교연구 측면에서 진행할 수 있다.
  • 색인어
  • 시미(詩味), 시미론(詩味論), 육기(陸機), 유협(劉&#21232;), 여미설(餘味說), 종영(鍾嶸), 자미설(滋味說), 사공도(司空圖), 운미설(韻味說), 송대(宋代), 매요신(梅堯臣), 구양수(歐陽修), 위태(魏泰), 소식(蘇軾), 장계(張戒), 양만리(楊萬里), 강기(姜夔), 평담(平淡), 함축(含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