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893&local_id=10021755
한국 속 '동남아 현상'의 근원과 경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속 & #39;동남아 현상& #39;의 근원과 경로 | 2008 년 | 김홍구(사단법인 한국동남아연구소)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29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12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990년대 말을 시작으로 2000년대 가시화된 동남아와 관련된 한국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주목했다.
    최근 한국의 대중매체에서 동남아 사람이 등장하거나 동남아 음식과 풍물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 흔해졌고, 일상생활에서도 동남아 사람을 접촉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리 사회에서 동남아 문화에 대한 상상과 담론이 형성되고 특정의 이미지가 만들어져 이른바 ‘동남아 현상’이라고 부를 수 있는 새로운 사회현상이 생겨나고 있다. ‘동남아 현상’을 선도하고 있는 것은 이주노동자와 국제결혼이민자들이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현상들-관광, 중소기업투자, 음식, 은퇴이주, 유학, 대중문화-이 나타나고 있다.
    ‘동남아 현상’이라는 용어는 한마디로 말해, 한국 사람들이 경험하고 인식하는 동남아와 관련된 일체의 현상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개념이다. ‘동남아 현상’은 동남아 사람과 문화의 직접적인 유입에 따라 한국사회에 생겨난 현상이며, 한편으로는 한국인이 동남아로 이동하거나 상호 접촉에 따라 형성된 동남아에 대한 인식에 따라 생겨난 현상일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동남아 현상’을 한국사회에서 경험할 수 있는 하나의 새로운 사회현상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전제하고, 이러한 사회현상을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이전에 동남아적 요소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한국 사회의 새로운 현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학술적 용어는 없었다. ‘동남아 현상’의 개념은 한류의 개념과 그 경계성이 모호한 경우도 있지만 분명한 차이점을 갖고 있다. 한류는 영화, TV 드라마, 대중음악 등 상업적인 대중문화와 패션, 음식, 게임, 애니메이션 등 일부의 물질문화를 포괄하는 개념이지만, ‘동남아 현상’은 한류보다 다양하고 그 확장 과정과 사회적 영향에서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 지속적이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동남아현상의 하위범주로서 1차년도 연구대상은 이주노동, 중소기업투자, 은퇴이주, 유학이고, 2차년도 연구대상은 국제결혼가족, 음식, 대중문화, 관광이다.
    본 연구는 한국 속 ‘동남아현상’을 동남아 각국의 내부적인 요인과 경로를 분석하여 파악해 보았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동남아 현상’은 어떤 특정 국가가 독립변수이고, 나머지 국가가 종속변수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현상이기 때문에, 그 현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한국뿐 아니라 동남아 각 국의 국내적 요인도 의미 있게 다루어져야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관점이다.
  • 영문
  • Recently, the Korean people were exposed to Southeast Asians, Southeast Asian food and sceneries by Korean media which has showed and increased various Asian multi-cultural programs. At the same time, Koreans can frequently encounter Southeast Asians in their everyday lives. Thus, a specific image and ideology of Southeast Asia has been established in our society, which creates a new social happening known as 'Southeast Asia phenomena'.

    Simply, as a generalized concept, 'Southeast Asia phenomena' encompasses all the phenomenon that relate to Koreans' Southeast Asian experience and perception. 'Southeast Asia phenomena' is a happening as a result of direct inflow of Southeast Asians and culture in Korea. On the other hand, it is a phenomena resulting from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by Koreans from their movements to Southeast Asia or though their interactions with Southeast Asians.

    The emerging period of 'Southeast Asia phenomena' can be seen from early 2000. immigrant work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are main players leading the 'Southeast Asia phenomena'. But there are other factors such as tourism,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 investment, food, retirement migration, study-abroad and pop culture, which contribute to this phenomena.

    So far, there was no comprehensive academic term for a new soci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related to Southeast Asian elements. Particulary, often Southeast Asian Phenomena has a blurred border with Korean Wave in Southeast Asia, but the former is different from the latter in terms of its intension and extension.

    'Korean Wave' refers to cultural concept that includes two main types of culture: commercial and material. Commercial culture is referred as pop culture composed of movies, TV soap opera and pop-music. While material culture represents elements such as fashion, food, game and animation. However, 'Southeast Asia phenomena' is not very evident in pop culture. Yet, 'Southeast Asia phenomena' appears in more diverse forms. Thus, its expansion process and social influence is more fundamental and longstanding compared to 'Korean Wave'.

    'Southeast Asia phenomena' is arising both in Korea and Southeast Asia. im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and pop culture portray 'Southeast Asia phenomena' adopted through direct interaction with Southeast Asians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rough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y investments and retirement migrations where Koreans move to Southeast Asia and interact with Southeast Asians, Koreans create their own unique understanding of Southeast Asia that formed another type of 'Southeast Asia phenomena. Whereas tourism and study abroad causes 'Southeast Asia phenomena' to coexist in Southeast Asia and Korea.

    This research analyzes the origin and diffusion of Southeast Asian Phenomena in Korea, which has conducted for two years. At the first year, it was designed to study immigrant workers,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 investments, retirement migrations categorized under humans movement and at the second year, the research involved in studying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food, pop culture and tourism as cultural movement. This research differenciates from the others in terms of the analysis especially focusing on Southeast Asian perspectiv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경험할 수 있는 동남아와 관련된 사회문화적 면모들이 하나의 새로운 사회현상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전제하고 그러한 사회현상을 범주화하여 한국속의 '동남아 현상'이라는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물론 아직까지 학계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개념이기 때문에 그것을 정의하는 데 어려움이 없지 않았으나, 이 연구에서 지칭한 '동남아 현상'은 한국에서 경험되고 인식되는 동남아와 관련된 일체의 현상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개념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2년 동안 총 8개의 하위 주제(이주노동, 은퇴이주, 중소기업투자, 관광, 대중문화, 음식, 국제결혼가족, 유학)를 중심으로 하여 과연 한국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동남아 현상'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 결과 각각의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 현상'은 한국에서 나타나는 사회적인 현상이지만 그 근원을 동남아 맥락에서부터 이해해야만 그 실체적 내용과 의미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모든 연구진은 각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선정된 동남아 국가에서 현지조사를 수행하고 한국 내에서는 동남아 현상에 대한 인식과 파급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연구의 질적 내용을 담보하고 있다. 앞으로 본 연구는 한국에서 동남아와 관련된 다양한 다문화적 혹은 초국가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다루어졌던 세부 8개 주제 영역들은 학제간 혹은 국가간 비교연구를 확장시키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는 동남아시아 지역연구의 발전 뿐만 아니라, 연구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전지구화과정, 한-아세안 협력과 인적, 문화적 교류 등의 다양한 이슈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의미있는 사례연구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는 수행과정에서 동남아 현지의 관련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향후 한국의 연구자들과 동남아연구자들과의 지속적인 공동연구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 인력양성 및 지역연구의 대중화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진들은 학술적인 활동 외에도 일반대중강연이나 기고등의 방식을 통해서 본 연구의 내용을 사회적으로 확대시켜왔다. 또한 이 연구의 세부주제들은 매우 현실적으로 시의성있는 것이어서 연구의 결과는 학계 뿐만 아니라, 다문화와 관련된 정책입안자와 관련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에도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동남아 현상, 인간 이동, 문화 이동, 근원, 경로, 이주노동, 유학, 중소기업투자, 은퇴이주, 관광, 국제결혼가족, 음식, 대중문화, 다문화주의, 동남아지역연구, 비교연구,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쌍방향 교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