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8449&local_id=10021413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에 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에 대한 연구 | 2009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언주(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37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2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경험을 통하여,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의 복잡성을 드러내고 범주화 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의 복잡성을 드러냄으로써 이들의 어머니 역할 수행과 관련한 기존 논쟁이 갖는 부정적인 함의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0명의 가정폭력 관련 상담기관 및 쉼터를 이용한 적이 있는, 폭력경험 당시 자녀가 적어도 한 명 이상 있었던 여성들을 연구 참여자로 모집하였다.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반복적이고, 심층적인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근거이론의 개방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언급한 어머니 역할 수행과 관련된 개념들을 발견하고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역할 수행은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정서적 폭력을 행사하는 근거가 된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은 가해자 혹은 가해자의 폭력의 결과로 약화되거나 방해받는다. 셋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은 가정폭력 경험 하에서 왜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 및 모성은 가정폭력 하에서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머니 역할 수행을 통한 여성의 억압의 교차점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을 범주화함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로서의 경험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로서의 갈등 및 당면문제들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셋째, 위기개입을 넘어서는 가정폭력 종식을 위한 보다 다면적이고 다양한 개입 및 정책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omplexity of battered women's mothering. Further, it aims to problematize the oversimplification of battered women's mothering as battered women are either deficit or successful mothers.
    Repeated, semi-structure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en previously battered women in Seoul who had at least one child at the time of abuse were conducted. Open coding strategy of grounded theory method was applied to maximize the categories of battered women's mothering.
    This study discovered categories of battered women's mothering as follows: 1) Mothering was "a major source of emotional abuse." 2) Battered women's mothering was "weakened or interrupted" by the abuser or as a result of abuse. 3) Battered women's mothering was "distorted" under the abuse. 4) Mothering/motherhood was "strengthened or enhanced" through domestic violence.
    It is noteworthy that both the models of a deficit and a successful mother are insufficient to reveal the complexity of battered women's mothering as well as both of them may locate battered mothers in more vulnerable position while they idealize "a myth of perfect mother." Further research to reveal complexity of battered women's mothering in the intersection of multiple oppression is needed. Moreove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to extend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families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beyond the crisis focused interven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경험을 통하여,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의 복잡성을 드러내고 범주화 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의 복잡성을 드러냄으로써 이들의 어머니 역할 수행과 관련한 기존 논쟁이 갖는 부정적인 함의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0명의 가정폭력 관련 상담기관 및 쉼터를 이용한 적이 있는, 폭력경험 당시 자녀가 적어도 한 명 이상 있었던 여성들을 연구 참여자로 모집하였다.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반복적이고, 심층적인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근거이론의 개방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언급한 어머니 역할 수행과 관련된 개념들을 발견하고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역할 수행은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정서적 폭력을 행사하는 근거가 된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은 가해자 혹은 가해자의 폭력의 결과로 약화되거나 방해받는다. 셋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은 가정폭력 경험 하에서 왜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 및 모성은 가정폭력 하에서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은 모성의 이상화로 인해 그들이 어떻게 어머니 역할의 수행하든 가해자의 폭력에 보다 더 취약해 진다. 낭만화되고 제도화된 모성이 강조되는 사회에서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은 가해자가 여성에게 폭력을 행사할 수 있는 아주 손쉬운 목표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모성 혹은 어머니 역할 수행은 가정폭력 피해 여성에게는 포기할 수 없는 우선적인 정체성의 원천이며, 여성들이 경험하는 가해자의 폭력에 대한 저항의 원천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 여성이 모성을 좀 더 강하게 내면화할수록 가해자는 좀 더 쉽게 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을 조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기존의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에 대한 연구들은 여성의 어머니로서의 역할 수행 경험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동 복지 분야에서는 부족하거나 결함이 있는 어머니로 이들 여성들을 비난하고, 가정폭력 분야에서는 성공적인 어머니로 여성들을 옹호하며, 두 분야 모두가 어머니 역할 수행을 지나치게 단순화하면서 동시에 완벽한 어머니 환상을 강화함으로써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의 어머니 역할 수행의 복잡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드러난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의 복잡성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가정폭력 경험과 어머니 역할 수행이라는 다중적 억압이 교차하는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 경험을 보다 정교히 드러내고 개념화하는 데에 일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움직임이 기대된다. 첫째,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머니 역할 수행을 통한 여성 억압의 교차점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에 대한 개념화를 통하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어머니로서의 경험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논의의 장이 마련될 수 있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대하여 폭력경험뿐만 아니라 어머니로서의 갈등 및 당면문제들까지도 도울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기대된다. 셋째, 흔히 가정폭력을 경험하는 가족의 해체로 이어지는 위기 중심의 개입 이외에도 가정폭력 종식을 위한 다면적이고 다양한 개입 및 정책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
  • 색인어
  • 가정폭력, 가정폭력 피해여성, 가정폭력 노출아동, 어머니노릇, 모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