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8528&local_id=10022479
시민종교와 정치통합: 헤겔의 규범적 통합이론에 대한 문화론적 이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시민종교와 정치통합: 헤겔의 규범적 통합이론에 대한 문화론적 이해 | 2009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동하(숭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94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헤겔(Hegel)의 시민종교 개념을 문화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정치통합의 전(前)정치적 기초- 혹은 사회문화적인 도덕적 기초-로서 시민종교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다시말하면 헤겔의 시민종교 개념을 정치통합의 사회문화적 기초로 재해석하면서 시민종교가 구체적으로 정치통합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해명하는데 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시민종교가 정치통합에 기여하는 메카니즘을 해명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헤겔의 정치통합이론에 대한 해석은 주로 그의 후기 저작인『법철학』과 관련하여 정치제도론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제도론적 해석이 지니는 한계는 정치제도를 통한 통합과 조정의 기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전제, 즉 전(前)정치적 기초에 대한 고려가 간과되고 있다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치통합이론에 대한 제도론적 해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헤겔의 초기저작에서 제기된 시민종교 개념에서 발견한다. 여기서 시민종교란 제도화된 종교나 신학을 지칭하는 개념이 아니라, 시민들의 커먼센스에 가까운 종교적(형이상학적) 가치와 신념의 체계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문화적 층위로서 시민종교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정치제도와 관계하는가 헤겔에 의하면 시민종교는 현대적 의미의 정치문화 형성의 주요한 사회문화적 자원이다. 그래서 시민종교와 정치제도는 직접 관계하기 보다는 현대적 의미의 정치문화 영역에서 서로를 매개하며 상호작용 한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시민종교를 정치통합을 위한 문화적 기제로 이해하고, 시민종교, 정치문화 그리고 정치제도의 상관관계 속에서 헤겔 정치통합이론을 문화론적으로 새롭게 조명하려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제도론적 맥락에서 이해된 규범적 통합이론의 한계를 보완하고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research is to reinterpret Hegel's concept of civil religion from cultural perspective. In doing so, it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civil religion as the pre-political foundations of political integration. Up until the present, Hegel's theory of political integration has usually been interpreted based upon his later work "Rechtsphilosophie" from the political-institutional perspective.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interpretation is that it neglects the premise of the common cultural background which is required for the proper functioning of integration and modification through political institutions.
    In essence, the pre-political foundation is being overlooked. This research attempts to find an alternative from Hegel’s conceptions of civil religion found in his earlier works to supplement the current foundation of political integration. The civil religion mentioned here does not refer to an institutionalized religion or theology; rather, it refers to the values and belief system of the citizens. Then, how does civil religion relate to the political institution within the cultural sphere According to Hegel, civil religion and political institution does not directly share a relationship but instead interacts with each other within the political cultural domai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ole of civil religion as a cultural mechanism for political integration, and attempts to illuminate Hegel’s political integration theory from the context of culture. This attempt will contribute in enriching and patching the limitations of the normative integration theory which has formerly been understood only from an institutional contex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헤겔(Hegel)의 시민종교 개념을 문화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정치통합의 전(前)정치적 기초-사회문화적인 도덕적 기초-로서 시민종교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헤겔의 정치통합이론에 대한 해석은 주로 그의 후기 저작인『법철학』과 관련하여 정치제도론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제도론적 해석이 지니는 한계는 정치제도를 통한 통합과 조정의 기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전제, 즉 전(前)정치적 기초에 대한 고려가 간과되고 있다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치통합이론에 대한 제도론적 해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헤겔의 초기저작에서 제기된 시민종교 개념에서 발견한다. 여기서 시민종교란 제도화된 종교나 신학을 지칭하는 개념이 아니라, 시민들의 커먼센스(commen sence)에 가까운 종교적(형이상학적) 가치와 신념의 체계를 의미한다. 헤겔에게 시민종교란 정치통합을 위한 사회문화적 기제이다. 이러한 시도는 헤겔 정치통합이론을 문화론적 맥락에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기존의 정치제도론적 맥락에서 이해된 규범적 통합이론의 한계를 보완하고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시민종교를 통한 통합의 문제가 성공적으로 다루어진다면, 이것은 한국사회의 통합에 관한 논의를 종교와 문화의 영역에까지 확대하여 보다 폭넓게,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 다룰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본다. 나아가 시민종교를 통한 정치통합의 사회문화적 도덕적 기초에 대한 연구는 지속가능한 민주주의의 공동체적 조건을 성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헤겔의 시민종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종교를 정치학의 기본대상영역으로 설정하려는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아직까지 한국 정치학계에서는 생소한 종교정치학 분야를 개척하는 의미가 있다. 종교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고 있는 현대의 학문적 조류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의 정치학계에는 종교의 정치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학문영역이 제대로 정립되어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불모지나 마찬가지인 종교정치학 영역을 정립하는 데 충분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정치통합, 사회통합, 시민종교, 헤겔, 심정, 정치문화, 애국심, 정치제도, 전정치적 기초, 사회문화적 기초, 종교정치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