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8650&local_id=10021479
준정부조직의 학습조직화에 관한 연구: 효율성과 공공성의 딜레마 극복을 위하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준정부조직의 학습조직화에 관한 연구: 효율성과 공공성의 딜레마 극복을 위하여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무권(연세대학교& #40;미래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236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12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공공조직은 환경변화에 변화하여야 한다. 조직환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 번째는 글로벌 경제구조의 심화와 지식기반사회로의 이행, 저출산․고령사회로의 진입 등 거시적 행정환경의 변화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경제․사회부분의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켰다. 이에 따라 미래의 환경변화와 도전들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공기관의 새로운 역할의 모색과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정부의 학습역량 강화가 공공부문의 개혁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두 번째는 준정부부문(quasi-government)의 조직들의 성장이다. 준정부조직은 1960대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해 왔다. 그리고 최근의 신공공관리론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적 정부개혁의 사조에 따라 자율적이며 민간부문의 관리원리들이 도입되면서 정부영역의 밖에서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의 추세 속에서 한국 준정부조직의 학습조직화의 수준과 효율성, 공공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조직으로서 한국의 준정부영역의 조직 특성을 탐색하는 것 뿐만 아니라 효율성과 공공성의 관계의 관점에서 균형된 성과를 가진 학습조직을 위한 조직 변화의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세 가지 접근방법을 추진하였다.

    1) 실증적 측정도구로서 DLOQ(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학습조직으로서의 준정부조직의 포괄적 분석, 그리고 연구대상기관에서 학습조직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주요 인사담당자와 심층 면담 실시.
    본 연구는 공공조직에서 매우 이질적인 조직들로부터 학습조직의 중요한 특성들을 발견하였고, 공공성을 포함한 다차원적 성과 측정지표들간의 흥미로운 관계들도 파악하였다.

    2) 경제적 효율성 관점에서부터 공공조직의 성과에 대한 이전의 접근방법을 비판하면서, 본 연구는 새롭고 포괄적인 다차원적 성과 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다차원적 성과 척도는 세 부분의 성과로 구성되었다: 관리적 성과, 효과성, 공공성. 이러한 시도는 몇 가지 흥미로운 결과들을 제공한다: 이것은 우리가 조직 작성의 복잡성과 성과 다양한 측면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것은 다양한 공공가치의 관점에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흥미로운 성과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3) 본 연구는 한국문화적 맥락에 적합한 공공서비스동기(PSM)의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집중하였다. 이는 효과적인 학습조직 특성들은 공공조직에서의 PSM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대로 PSM은 공공조직의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서구맥락에서 본래 개발되었던 PSM을 한국 문화적 맥락에 적합한 PSM으로 수정하였다. 저자들은 일부 영역에서 흥미로운 결과와 다른 영역들과의 모호한 관련성도 발견하였지만, 이것은 한국 공무원들의 PSM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사조직과 매우 구별되는 준정부조직과 한국 전반적인 공공조직의 특성과 기능 그리고 다양한 차원의 성과들에 있어서 새롭고 중요한 이해들을 많이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저자들은 더욱 효과적인 학습조직을 향한 조직변화의 중요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었고, 딜레마에 있는 조직 효율성과 공공기능들에 균형된 성과들을 위한 전략도 개발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organizational features of the quasi-government sector in Korea as learning organization and developing the strategies of organizational changes toward effective learning organization with good and balanced performanc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of managerial efficiency and publicness.
    For these, this study conducted three approaches.

    1)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quasi-government organizations as learning organization with use of the DLOQ(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Questionnaire) as an empirical measurement tool and the intensive interviews with some important personnels in conducting learning organizational programs in the selected organizations. This research found some important traits of learning organization from the those organizations quite distinctive in the public organizations and their interesting relationships with the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including publicness.

    2) Criticizing the previous approaches to the performance of the public organizations from the economic efficiency perspective, this study developed a new comprehensive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This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consists of three parts of performance: managerial, effectiveness, and publicness. This attempt provided some interesting results; it allows us to understand more complexity in organizational operations and various aspects of the performance; it also suggested some interesting performance results that have not known before in terms of the various public values that the public organizations and their members.

    3) This study also focused on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fit to the Korean cultural context because it is assumed that the effective learning organizational features could enhance the PSM in the public organization and, in turn, the PSM could enhanc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public organizations. We modified the PSM originally developed in the western context into the one fit to the Korean cultural context. We found some interesting in certain area and some ambiguous relationships in other areas, but it greatly helps us to understand the PSM in the public officials in Korea.

    Overall, this research gave us many important and new understandings about the quasi-government organizations as well as public organizations as a whole in Korea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features and functions as well as various dimensions of performance that are quite distinctive from those of private organiza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could develop some important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changes toward more effective learning organizations and balanced performances to commensurate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the public function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a dilemm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준정부조직에서 중요한 학습조직적 특성과 그 효과를 밝히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삼았다.  (1) 기존연구의 한계 극복을 위한 새로운 측정도구와 모형의 검토 본 연구는 한국 공공부문에서 학습조직연구의 주된 문제점인 공공성에 대한 고려의 부재와 통합적 분석틀의 부재를 극복하는 것이다. 먼저 개발된 공공성 척도는 효율성의 개념과 함께 중요한 평가지표가 되었다. 둘째,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분석틀의 모색을 위해 DLOQ가 제시하는 분석틀을 한국에 적용시켜볼 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분석틀을 적용하여 이론적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모형은 어떤 학습조직적 특성이 공공조직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켰는가 알려준다.(2) 새로운 연구영역인 준정부조직에 대한 심층적 고려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준정부조직을 대상으로 학습조직화 척도인 DLOQ를 활용하였다. 따라서 전통적인 행정학분야의 연구대상이었던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새로운 연구대상으로서의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에 연구대상을 확장하여 이들의 학습조직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기관들은 모두 존재의미가 다르며 지배구조도 다르기 때문에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2) 연구방법 (1) 설문조사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학습조직특성 척도 DLOQ를 한국의 준정부조직에 적용하였다. DLOQ는 지속적인 학습기회의 제공, 나머지 대화와 탐구에 대한 지원, 팀학습과 협동학습을 격려하는 지원, 학습을 공유하고 확인하는 체계, 비전을 공유하기 위한 권한의 위임, 조직환경과의 연계, 전략적 리더십의 제공에서 7개 차원 총 43개의 독립변수로 구성된다. 성과를 나타내는 종속변수는 경제적 효율성 이외에도 공공성과 관리적 성과를 종합적으로 포함하였다. 준정부조직의 네 가지 영역에서 10개의 기관을 추출하여 조직규모를 고려하여 각 조직당 약 60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 심층면접조사 이 연구의 또 다른 중요한 의미는 설문조사를 이용한 실증적 분석과 심층면접조사를 활용한 해석적 분석을 병행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심층면접조사를 위하여 4개의 영역에서 각 하나씩의 조직에서 학습조직 담당자 및 전문가에 대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설문지 문항 수정과 조사전략들을 수립하여 원활한 설문조사와 연구결과를 확보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습조직 이론 분석으로부터의 함의

    베버리안 관점의 주도하에 기존의 학습조직 이론에서 벗어나서 기술적·사회적·정치적인 균등한 권력관계를 강조하는 마르크스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처럼 통합적 분석의 틀이 필요하다. 기존 베버리안 관점의 연구들이 생산성과 효율성을 위한 관료제의 도구적 합리성을 극대화하고자 하였으나, 실제로 학습조직의 형성과 학습활동의 과정에서도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여 상호견제와 균형유지를 확보하는 것은 건전한 조직발전에 중요하다.
    많은 학습조직이론은 조직의 생산성 향상, 조직의 형평성에 대한 인식, 만족감과 효능감의 증대를 위해서 상호이해와 의미창조를 통한 상호주관성 효과를 극대화해야 하며, 자생적인 대화와 토론의 과정을 장려하여야 한다.
    집권적으로 형성되어 강요되는 학습활동은 그 효과성이 낮기 때문에, 조직내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조직의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학습조직 활동의 과정이 고려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준정부조직의 학습조직 담당자들은 학습조직의 형식적 제약이 매우 심하고 그 결과로 진정한 학습이 발생하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조직 활동의 설계와 평가의 과정에 지나치게 형식주의적인 구조를 강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 학습조직 특성분석으로부터의 함의

    한국 준정부조직의 학습조직 특성상 준정부조직의 직원들에게 재량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아서 유연한 조직구조와 문화를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는데 많은 문제가 유발된다. 이러한 구조를 극복하기 위하여 준정부조직이 정부부처의 위성조직으로 기능하기보다 적극적으로 외부환경관리를 하고 직원들에게 많은 재량권이 부여되고 실수를 통해 학습하고 위험감수를 주저하지 않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학습조직 고위관리자의 멘토링과 코칭기능, 정보의 공유, 조직가치와 경영진의 행위의 일치 등 학습을 위한 전략적 리더십이 적절하게 발휘되어야 한다.


    3. 공공성과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으로부터의 함의

    과거 행정학의 관리적 관점은 오직 경제적 효율성이었다. 따라서 관리적 차원의 성과 내에서도 다차원적인 기준을 통한 성과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데, 정부조직 또는 공공조직의 특성으로 공공성 차원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하고 이를 성과의 한 부분으로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성과척도의 개발은 공공조직이 작동하는 메카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다.
    공공성에 대한 성과평가는 현재 조직의 문화나 조직구성원들, 공공조직의 사업프로그램의 특징이 어떤 공공가치에 기반하는가 알게 해 준다. 이를 통해 공공조직의 성과로서 관리적 차원의 효율성과 공공성이 어떤 수준에서 전략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를 판단하게 한다.


    4. 학습조직과 공공성과의 관계분석으로부터의 함의

    비정형 학습메카니즘의 특징이 정형적인 학습메카니즘보다 더 큰 효과성을 가졌다. 즉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시간지원, 교육훈련, 모니터링, 보상과 같은 공식적인 제도들과 조직내에서 상하, 동료 구성원간의 내적 소통과 그리고 환경과의 외적 소통이 자유로운 조직의 분위기, 문화적 변수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학습조직의 특성과 성과와의 관계를 좀더 객관적으로 밝혀봄으로써, 다양한 성과적 측면 그리고 조직의 작동 메카니즘들을 알게 되었고, 이는 앞으로 공공조직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조직혁신전략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5. 공공서비스 동기

    첫째, 전반적으로 한국의 PSM은 합리적 차원이 취약한 반면, 정서적 차원이 강하다. 특히 Perry(1996)의 연구에서 제외되었던 규범적 차원도 중요하였다. 둘째, 미국 PSM에서 중요한 정책형성에 대한 매력등은 한국에서 거의 중요하지 않았다. 이는 한국이 미국에서 비해 정치 혹은 정치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한국의 PSM에서는 관료제라든가, 정부의 역할이라든가 하는 유럽적인 관념이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따라 Vandenabeele의 관료제적 가치 등이 측정도구 개발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였다.

    6. 활용방안

    연구자들은 학습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안목과 구체적인 내용을 숙지하게 될 것이고, 현장중심형 학습은 준정부조직의 직원들의 교육과정의 설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연구결과들은 학습조직 진단척도를 활용하여 다양한 조직의 학습조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학습조직을 위한 조직진단과 조직혁신전략을 위한 전략구성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색인어
  • 학습조직, 조직학습, 학습조직영역설문, 중앙정부, 준정부조직, 공기업, 효율성, 공공성, 성과, 학습기회, 팀학습, 대화, 토론, 지식관리, 학습인프라, 학습시스템, 학습문화, 구조방정식, 조직민주주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