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8901&local_id=10020541
정신장애인의 입원 및 치료동의능력 평가도구 개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B00138 |
선정년도 |
2008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9년 12월 12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9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형 치료동의 능력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그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각 하위능력별 능력, 무능력을 구별할 수 있는 최적의 절단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 참여자는 정신의료기관에 입원해 있는 정신질환자,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
본 연구는 한국형 치료동의 능력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그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각 하위능력별 능력, 무능력을 구별할 수 있는 최적의 절단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 참여자는 정신의료기관에 입원해 있는 정신질환자,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및 사회복귀시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질환자 중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사람으로, 정신분열증 160명, 기분장애 32명, 기타(강박장애, 알코올) 1명으로 총 193명이었다.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한국형 치료동의능력 평가도구는 평정자간의 일치도가 .80~.98로 매우 높고 내적 일관성계수 역시 .56~.83으로 신뢰할만한 수준이었다. 본 도구의 구성개념 타당화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알아본 결과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고, 준거관련 타당화를 위해 MMSE, BPRS, IQ, 병식을 검사한 결과 IQ, MMSE는 동의능력 중 이해, 적용, 선태의 표현, 추론 능력 모두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ROC 분석 결과 본 척도의 절단점으로 전체점수 18.5점, 하위 영역들의 절단점은 이해능력 4.5, 적용능력 8.5, 의사 표현 0.5, 추론 3.5점을 제안하였다. 이런 결과는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하며 진단성 효용성을 지님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사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영문
-
Our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Tool of Competency to Consent to Psychiatric Hospitalization and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ool. A total of 98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who were hospitalized in a mental hospital, partic ...
Our study aimed to develop the Korean Tool of Competency to Consent to Psychiatric Hospitalization and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ool. A total of 98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who were hospitalized in a mental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2 questions concerning understanding, appreciation, reasoning ability, and expression of a choice to the subject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tool, we conducted the K-MMSE, insight test, estimated IQ, and BPRS. The tool's reliability and usefulness were examined via Cronbach’s alpha, ICC, and ROC analysis, and criterion related validation was performed. This tool showed that agreement between raters was relatively high,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ive validation showed that the tool was valid. Also, estimated IQ, insight, and MMS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understanding, appreciation, and reasoning ability. However, competence to express a choi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y criterion variables, nor did the BPRS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y sub-competen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정신과 입원동의능력과 치료동의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그 도구들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입원동의능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 이해, 적용, 표현 추론 능력을 포함하는 22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도구를 개발하여 정신과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정신과 입원동의능력과 치료동의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그 도구들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입원동의능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 이해, 적용, 표현 추론 능력을 포함하는 22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도구를 개발하여 정신과의 입원환자 98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치료동의능력평가도구 개발을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이해, 적용, 추론, 표현 능력을 포함한 14문항을 사용하여 지역사회관련기관을 활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193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두 도구의 타당도를 위해 K-MMSE, BPRS, IQ, 병식검사 등을 함께 시행하였다. 그 결과 두 도구 모두 신뢰도, 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ROC 분석을 통해 진단적 효용성 역시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90% 이상인 정신장애인 강제입원율이 정신장애인 회복을 심각하게 방해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강제입원은 정신장애인의 동의능력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없다는 것을 전제하는데 이러한 평가가 대부분 임상적인 평가와 진단, 증상에 입각하여 이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90% 이상인 정신장애인 강제입원율이 정신장애인 회복을 심각하게 방해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강제입원은 정신장애인의 동의능력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없다는 것을 전제하는데 이러한 평가가 대부분 임상적인 평가와 진단, 증상에 입각하여 이루어져 정신장애인의 동의능력을 의미 있게 평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한번 무능력으로 평가되면 삶의 전반에 결정능력을 상실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결과 도출된 객관적이고 진단적 효용성을 지닌 능력평가도구는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정신보건전문가의 실천오류를 줄이는 것이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