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8907&local_id=10024742
흥미 중심의 내재동기 모형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흥미 중심의 내재동기 모형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성일(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58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1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학습과정에서 흥미와 내재 동기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흥미는 학습자가 특정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지속적으로 관여하며 정서적으로도 몰입을 하는 상태를 일컬으며, 내재동기는 흥미가 있는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경향성을 말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학습자가 초기에 어떠한 내용을 학습하고자 하는지, 얼마나 오랜 기간 동안 학습 관련 행동을 지속하고자 하는지, 학습 수행의 질은 어떠한지 등 학습 과정에서 필히 숙고해야 할 문제들에 대해 흥미와 내재동기가 깊게 작용한다. 따라서 학습자의 흥미와 내재동기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루어진 흥미연구는 재미나 호기심과 같은 다른 동기 용어들과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흥미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가 없는 실정이며, 학습 환경과 흥미 간의 관계를 설명해줄 수 있는 개인의 특성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였다. 이로 인해 흥미가 어떻게 발달하고 유지되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모형이 없어서 흥미를 기반으로 하는 실용적인 학습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개인의 흥미 발달 수준을 측정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문화, 학습 환경, 개인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흥미 발달 수준에 맞는 교육적 처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흥미 발달 단계를 잘 반영하고 있는 모형을 만들고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차년도에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내재동기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문화적 변인, 학습 환경 및 개인차에 대하나 연구를 통해 흥미와 내재동기에 대한 개념을 보다 세분화하고 명확히 함으로써 흥미와 내재동기의 발생, 유지 및 발달에 관여하는 요소를 찾는데 기여하였다. 2차년도에는 보다 구체적인 학습재료 및 활동을 통한 흥미 유발에 관한 연구를 통해 흥미 중심의 내재동기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흥미 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2차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제안된 흥미 중심의 내재동기 모형을 바탕으로 보다 명확하고 신뢰로운 흥미 및 내재동기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타당성이 입증된 흥미 척도가 없는 상황에서 국내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한 흥미 척도는 국내 학교 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 are two important factors that can bring positive learning outcomes. Students who have higher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 actively engage in learning, pay more attention, and become involved in positive emotional and cognitive states that lead to enhanced performance (Hidi & Renninger, 2006).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role of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 in students’ learning processes. However, there are still several problems exist in the current research of interest. For example, the definition of interest is still in ambiguous. It is easily confused with interest with other conceptions such as curiosity and intrinsic motivation. Also, because of the ambiguous definition of interest, no such interest scale exists that demonstrates satis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Moreover,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t mediating factors between interest and learning environment such as personality, is still insufficient. All of these limitation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due to lack of a comprehensive model that integrates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interest, and a practical learning-based model on interest has been failed to be proposed.
    Therefore, we aimed to measure individual learner’s development of interest, and our goal was to develop a scale and to make a comprehensive model that incorporates development of interest in order to mediate individual’s interest development by understanding more fully about social culture, learning contexts, and individual differences.
    During the first year, by investigating societal culture (exposure to private tutoring), learning contexts and individual differences (self-efficacy, perceived competence, perfectionism, conformity, and self-constual), we made categorizations and more clearly specified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 Moreover, by stud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est, intrinsic motivation, variety of socio-cultural factors, learning contexts, and individual differences, our research contributed to findings about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 Furthermore, in the second year, we developed a new interest scale and proposed a model for intrinsic motivation based on interest by adding onto the preliminary studies done during the previous year by studying elements that trigger interest through research in more specific learning materials (novelty, self-relevance) and activities (content skimming). Likewise, we established a more clear and reliable foundation of research in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 via an interest-centered intrinsic motivation model based on empirical findings through the second year. We expect that our new scale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domestic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ill be useful in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no valid interest scale exists. As a result, we will be able to provide with guidelines about creating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interes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흥미와 내재동기는 긍정적인 학습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구인이다. 높은 흥미와 내재동기를 가진 학생들은 학습과정에서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며, 뛰어난 수행을 보인다. 따라서 학습자의 흥미와 내재동기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루어진 흥미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어왔다. 재미나 호기심, 혹은 내재동기 등의 용어들과 개념적으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흥미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가 부재한 실정이다. 또한 학습 환경과 흥미 사이를 매개할 수 있는 중요한 개인차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이는 결국 흥미 발생 및 유지에 관한 통합적인 모형의 부재로 이어져 흥미를 기반으로 하는 실용적인 학습모형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습자 개인의 흥미 발달 수준을 측정하고, 사회문화, 학습 환경, 개인차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 중재를 하기 위해 흥미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모형을 제안하고, 발달 단계를 잘 반영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차년도에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내재동기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문화적 변인(사교육 노출정도), 학습 환경 및 개인차(자기효능감, 지각된 유능감, 완벽주의 성향, 순응성, 자아관)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흥미와 내재동기에 대한 개념을 보다 세분화하고 명확히 함으로써 흥미와 내재동기의 발생, 유지 및 발달에 관여하는 요소를 찾는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2차년도에는 통합모형 제안에 필요한 기초연구를 보완을 위해 1차년도의 기초연구와 더불어 보다 구체적인 학습재료(신기성, 자기관련성) 및 활동(목차훑기)을 통한 학습흥미 유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흥미 중심의 내재동기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흥미 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2차년에 걸친 연구결과들에 기초해서 제안된 흥미 중심의 내재동기 모형을 바탕으로 보다 명확하고 신뢰로운 흥미 및 내재동기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타당성이 입증된 흥미 척도가 없는 상황에서 국내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한 흥미 척도는 국내 학교 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흥미기반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개인특성, 학습환경, 사회문화적 환경등의 다양한 맥락에서 통합적인 흥미발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조사연구 및 실험연구를 통해 밝혀진 개별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흥미와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흥미 및 내재동기 발달과정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가능케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흥미의 단계적 발달 관점에서 상황적 흥미에서 개인적 흥미로의 발달에 어떠한 학습자 개인특성 변인이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차후 개인차에 따른 교육적 중재,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과제의 자기관련성, 신기성과 같은 특성에 따른 상황적 흥미발달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해 흥미유발 학습 컨텐츠를 개발하는데 유용한 뒷받침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목차 훑어보기와 같은 상황적 흥미발달에 도움을 주는 학습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이와 같이 실제 현장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교실환경조성, 사교육노출정도, 개인의 사회경제적 수준까지도 직·간접적으로 흥미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우리는 더욱 다차원적이고 통합적인 시각에서 이 기제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국내의 교육현실이 잘 반영되고, 국내 청소년 표본을 바탕으로 실시 된 흥미척도는 없었기 때문에 연구자들의 소통과 연구발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흥미는 발달 과정을 반영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적합하게 흥미의 단계를 측정하는 도구가 없었으며,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앞서 말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에 기초하여 국내 청소년들의 흥미발달 과정에 민감한 척도를 개발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가장 심혈을 기울인 부분이 바로 척도개발 분야였으며, 이는 학습자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여 그 학습자에 맞는 교육적 중재를 가능케 한다는 데에서 가장 큰 의의를 갖는다. 이 흥미 발달 척도를 통하여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개별 흥미 단계를 진단하여, 개인의 수준에 맞춰 최적의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흥미 발달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흥미/내재동기/흥미발달/흥미척도개발/상황적흥미/개인적흥미/학습자특성/학습환경/사회문화적환경/과제가치/숙달목표/과제특성/사회적지지/사회경제적지위/사교육/진로포부/스트레스/교실목표구조/자기관련성/신기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