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8940&local_id=10018210
한국형 문화 역량 모델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형 문화 역량 모델 개발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찬(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76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12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 활용가능한 문화 역량 모델을 메타수준에서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문화 역량의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문헌연구, 벤치마킹, FGI(Focus Group Interview), 역량연구 워크숍, 역량모델개발 워크숍 및 전문가 검증을 실시하여 일반 문화 역량, 학교부문 문화 역량, 성인ㆍ기업부문 문화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애 전 영역에 활용가능한 문화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문화역량 담론에 관한 학문적 배경 중 역량모델과 문화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역량모델 개발과 문화 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문화적 역량 담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일반 문화 역량 Pool을 구성하였다. 일반 문화 역량 pool은 협의의 문화적 역량군, 예술적 역량군, 문화․예술 공통 핵심 역량군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에 역량군에 대한 하위 역량들을 도출하였다.
    학교부문의 문화역량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학교교육에서 문화역량의 필요성, 교과영역에서 문화 역량의 개념 및 선행연구 결과, 범교과 영역에서 문화 역량에 대한 역량모델링 접근, 그리고 매체적 역량 모델과 기호학적 역량 모델의 학문적 담론을 살펴보고 한국형 문화 역량 모델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성인·기업부문의 문화역량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성인·기업부문에서 문화 역량의 필요성, 성인·기업부문에서 문화역량으로서의 조직문화에 대한 학문적 담론을 살펴보고, 그 사례로 유한킴벌리 외 3개 사를 분석하여 한국형 문화 역량 모델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문화역량 관련 선진국으로 싱가포르를 선정하여 문화 역량 관련 선진사례를 분석하였다. 기업부문은 싱가포르 인력개발원(Workforce Development Agency: WDA)을 학교부문은 싱가포르 난화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문화 역량 제고에 있어서 교육기관의 역할 및 한국형 문화 역량 모델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국형 문화 역량 모델 개발은 크게 학교부문과 성인·기업 부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학교부문은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진 회의를 통하여 분석의 대상이 되는 학교부문 문화적 역량 모델 개발 영역을 교과영역은 미술분야, 범교과 영역은 매체분야로 확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분야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패널워크숍을 실시하여 학교부문에서 문화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 Pool을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과영역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범교과 영역에서의 문화적 역량을 비교․분석하여 감정이입, 관찰력, 다문화 이해, 실험정신, 몰입, 분석력, 스토리텔링능력 등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7개의 공통 문화 역량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역량정의와 행동지표, KSA를 도출하여 최종적인 한국형 문화 역량 모델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성인‧기업부문의 문화역량 도출을 위하여 문헌고찰, 행동사건 면접, 전문가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먼저 국내 기업 중 조직문화에 기반한 문화적 역량 수준이 뛰어나다고 여겨지는 대표 기업으로 유한킴벌리를 선정하여 고성과자들을 심층인터뷰 함으로서 개인 및 조직차원의 문화역량을 도출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문화적 역량수준이 뛰어나다고 여겨지는 국내 대표 기업 4개사를 전문가 추천을 통해 선정하고, 이들 기업사례를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여 문화역량을 도출, 최종적인 역량 pool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진 회의를 통해 구성된 역량 pool 중에서 다수의 기업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역량으로 경영마인드, 인재육성, 문제해결, 분석력, 정보관리 및 활용, 창의성, 도전정신, 의사소통, 팀워크, 비전제시, 윤리의식 등 총 11개 역량을 추출하여 역량명과 역량정의, 행동지표 및 KSA를 도출하고, 전문가협의회를 통해서 이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한국형 성인‧기업부문의 문화역량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학교 측면에서 일반화가 가능한 문화 역량 관련 실증연구, 둘째, 다양한 연구방법 및 기법을 사용하여 문화역량모델을 개발, 검증하고 그 결과를 통합하는 연구, 셋째, 다양한 영역 및 조직을 대상으로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 연구를 후속 연구로 제언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uss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at a meta level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for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general cultural competency, school cultural competency, and adult & enterprise cultural competency were def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enchmarking, FGI(Focus Group Interview), competence research workshop, competence model develop workshop and expert verification etc. Then,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was developed based on the definitions.
    The competency model, the definition of cultural competency and its compon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bout cultural competency discourse. Based on this, the discourse of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competency was analyzed and finally general cultural competency pool was developed. The general cultural competency pool was devided into narrowly defined cultural competency, artistic competency, and culture & art core competency. Then, the sub competencies were derived respectively.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competency model was divided into two parts as school division and adult & enterprise division. The art part and media part were selected for the school division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researcher's discussion. The panel workshop was implemented with high performers. The cultural competency in school part and the competency pool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cultural competency in domain of curricula and pan-curricula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n the sevel common cultural competencies such as empathy, ability to observ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experimental mind, immersion, ability to analyze and ability of storytelling were derived. Then finally the definition of competency, standard of behaviors and KSA(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were drawn and the korean cultural competency model profile was proposed.
    The literature review, Behavioral Event Interview, and expert verification were implemented to derive the cultural competency in adult & enterprise division. Yuhan Kimberley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for a good reputation of cultural competency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ts high performers were interviewed for deriv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ultural competency. In addition, other four domestic companies with high cultural competency were selected by expert recommendation and the cas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derive the cultural competency and competency pool. Afterwards, the eleven competencies such as management mind, talent development, problem solving, ability to analyze, information management & application, creativity, challenging mind, communication, teamwork, vision presentation, and ethics were extracted through researcher's discussion. Then the title of competency, the definition of competency, standard of behaviors and KSA were derived and verified via expert discussion and finally korean cultural competency profile in adult & enterprise divi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empirical study on cultural competency which can be generalized for the school division and second, cultural competency model that were used various technique, third, cultural competency model in various sector or organizationy were proposed as the following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 활용가능한 문화 역량 모델을 메타수준에서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문화 역량의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문헌연구, 벤치마킹, FGI(Focus Group Interview), 역량연구 워크숍, 역량모델개발 워크숍 및 전문가 검증을 실시하여 일반 문화 역량, 학교부문 문화 역량, 성인ㆍ기업부문 문화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애 전 영역에 활용가능한 문화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한국형 문화 역량 모델 개발은 크게 학교부문과 성인·기업 부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학교부문은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진 회의를 통하여 분석의 대상이 되는 학교부문 문화적 역량 모델 개발 영역을 교과영역은 미술분야, 범교과 영역은 매체분야로 확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분야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패널워크숍을 실시하여 학교부문에서 문화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 Pool을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과영역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범교과 영역에서의 문화적 역량을 비교․분석하여 감정이입, 관찰력, 다문화 이해, 실험정신, 몰입, 분석력, 스토리텔링능력 등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7개의 공통 문화 역량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역량정의와 행동지표, KSA를 도출하여 최종적인 한국형 문화 역량 모델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성인‧기업부문의 문화역량 도출을 위하여 문헌고찰, 행동사건 면접, 전문가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먼저 국내 기업 중 조직문화에 기반한 문화적 역량 수준이 뛰어나다고 여겨지는 대표 기업으로 유한킴벌리를 선정하여 고성과자들을 심층인터뷰 함으로서 개인 및 조직차원의 문화역량을 도출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문화적 역량수준이 뛰어나다고 여겨지는 국내 대표 기업 4개사를 전문가 추천을 통해 선정하고, 이들 기업사례를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여 문화역량을 도출, 최종적인 역량 pool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진 회의를 통해 구성된 역량 pool 중에서 다수의 기업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역량으로 경영마인드, 인재육성, 문제해결, 분석력, 정보관리 및 활용, 창의성, 도전정신, 의사소통, 팀워크, 비전제시, 윤리의식 등 총 11개 역량을 추출하여 역량명과 역량정의, 행동지표 및 KSA를 도출하고, 전문가협의회를 통해서 이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한국형 성인‧기업부문의 문화역량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학교 측면에서 일반화가 가능한 문화 역량 관련 실증연구, 둘째, 다양한 연구방법 및 기법을 사용하여 문화역량모델을 개발, 검증하고 그 결과를 통합하는 연구, 셋째, 다양한 영역 및 조직을 대상으로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 연구를 후속 연구로 제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문화 역량 Pool은 협의의 문화적 역량군, 예술적 역량군, 문화․예술 공통 핵심 역량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에 역량군에 대한 총 91개의 하위 역량들(협의의 문화적 역량군 16개, 예술적 역량군 10개, 문화·예술 공통 핵심 역량군 65개)이 도출되었다. 이는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로 60여개 역량을 도출한 이병준 외(2009)의 연구결과에 비해 31개 역량이 추가로 구명된 것이다. 이는 연구절차와 시기, 연구에 활용된 선행연구 업데이트에 따른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행되는 문화역량 연구의 개념정의 및 문헌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부문 문화역량 Pool은 총 118개의 하위 역량들(교과 역량군 67개, 범교과 역량군 39개, 공통 핵심 역량군 12개)로 구성되었다. 이중 12개 역량이 공통 문화 역량으로 도춛 되었는데, 이는 교과와 범교과, 미술과 매체라는 서로 상이한 영역에서도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학교부문 문화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역량모델링과 같은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 방법이 학교차원에서도 다양하게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 결과는 향후 학교부문 문화역량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성인‧기업부문의 문화역량 Pool은 총 157개 하위 역량들(개인차원 역량군 33개, 조직차원 역량군 72개, 공통, 관리 및 직무 역량군 52개)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11개 역량이 조직문화가 강한 기업들의 역량모델링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공통적 문화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기업의 업종과 규모는 각기 틀리더라도 강한 조직문화를 소유하고 있는 기업 공통으로 추구되는 역량이 있음을 나타내며 이러한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우선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향후 기업체 조직문화 관련 프로그램 및 뭄ㄴ화역량 관련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이 연구에서는 한국형 문화역량모델로서 학교부문과 성인·기업부문에서 핵심 문화 역량으로 도출된 총 18개(학교부문 7개, 성인·기업부문 11개) 역량에 대한 역량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역량 프로파일은 역량명과 역량정의, 행동지표, 행동 수행에 필요한 KSA로 구성되어 있어 교육부 관계자나 일선 교사,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가 해당 역량을 개발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1) 문화역량, 2) 역량모델링, 3) 조직문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