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206&local_id=10025191
디지털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서사 연구 -퍼스(Peirce) 기호학적 접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디지털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서사 연구 -퍼스& #40;Peirce& #41; 기호학적 접근- | 2009 년 | 이윤희(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10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4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내러티브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 연구하는 것은 기호학, 언어학, 심리학, 인지과학, 커뮤니케이션학, 문화연구, 미디어학 등의 다양한 학제간 연구를 필요로 한다. 특히 두 정신(mind)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은 매우 복잡한 문제이다. 왜냐하면 정신은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발전하는 연속적인 과정 중에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연속적이면서도 불안정적인 성격의 정신이 메시지를 보내고 받는 소통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 질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과 추론과정이라는 특정한 점에서 내러티브 구조와 정신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같은 성질로 인해 내러티브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 적합한 형식이라고 주장한다.
    정신과 내러티브는 서로를 모방하며 닮아 있다. 내러티브 인지는 정신의 모든 인지적 특성들을 표출하면서, 감각에서부터 감정, 인지에 이르는 내러티브의 경험적 과정을 수반한다. 따라서 내러티브는 기호적인 재현의 형태로 객관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대상인 텍스트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설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퍼스의 범주이론을 토대로 내러티브의 범주를 세 차원으로 설정하였다. 즉 내러티브 형식(form), 내러티브 미디엄(medium), 내러티브 장르(genre)가 그것이다. 퍼스 시스템의 특성은 복잡하고 각 시스템의 요소들이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 이 같은 측면은 내러티브 인지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며, 따라서 그러한 특성은 어떻게 내러티브 인지가 뉴미디어 텍스트의 다층적 해석과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강점이 된다. 특히, 형식과 느낌, 상상력과 이성, 감정과 이성사이의 분리될 수 없는 보완적인 관계가 내러티브적 경험으로 중재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뉴미디어를 해석하는 유용한 이론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자는 내러티브가 디지털 시대에 진정한 인지적 도구로 기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뉴 미디어의 현상은 일반적으로 몰입(immersion)과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으로 기술된다. 뉴미디어 사용자들은 내러티브 매체를 경험하며 능동적인 수용자의 모습을 취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내러티브 매체의 몰입과 상호작용을 통한 감각적 경험을 넘어서는 고동의 인지적 도구로서의 내러티브 능력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한 능력은 내러티브의 감각적 경험과 수행적 노력을 기반으로 하는 내러티브 해석의 경험이다. 퍼스는 이러한 해석의 세 번째 단계를 상징적 차원의 일반성인 규칙, 또는 논리적 해석체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어떻게 내러티브 추론과정이 가능한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퍼스의 삼원적 시스템을 토대로 내러티브의 세 범주를 기술하였다. 뉴미디어의 생산자와 수용자는 퍼스의 용어를 빌리자면, 커뮤니케이션 해석체(communication interpretant)로서 창조적인 내러티브 결과물을 산출할 것이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가능하다. 즉 생산자와 수용자의 내러티브 정신은 기호적인 중재 작용과 내러티브 모델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두 정신은 내러티브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 활용하며 텍스트를 매개로 하여 사고를 공유하고 교환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수용자가 텍스트에서 내러티브성(narrativity)을 구성하는 능력이다. 궁극적으로 의미를 산출하기 위한 스토리세계(Storyworld)의 구성을 위하여 뉴미디어 텍스트의 내러티브성은 내러티브 미디엄을 경험함으로써, 공간적으로는 포괄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한다. 또한 동시에 내러티브성 또는 내러티브의 능력은 내러티브의 형식으로 정보의 전달이라는 시간적 미디어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그 결과로 모델링 시스템으로서의 내러티브는 정보를 인지와 연결시키며, 정보, 인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로 디지털 시대의 커뮤니케이션의 모델을 제시한다. 이 점에 비추어 볼 때, 시간 축에서의 정보의 전달 행위와 공간 축에서의 정보의 소통행위는 정신의 재현으로서의 기호적 중재인 내러티브 미디어를 필요로 하며, 이는 인지와 커뮤니케이션을 연결하면서 진화적인 세미오시스(semiosis)를 위한 적합한 미디어의 형식이 된다.

  • 영문


  • Narrative as communication media involves various disciplines in cooperation, such as linguistics, cognitive science, communication studies, semiotics, psychology, cultural and media studies, and philosophy. Especially, communication between minds is a very complex matter in that mind is not stable and exists in the flow of time for development. Then, how can this continuous and rather unstable character of mind send and receive messages I argue that narrative is an appropriate form of communication media in that the nature of narrative is associated with the mind in terms of imagination and reasoning or inference. The mind and narrative imitate and resemble each other. Narrative cognition is quite possible in the sense that mind entails a process from sensation, emotion to cognition as demonstrating all cognitive characteristics.
    To explain this point, I have examined categories of narrative: form, medium, and genre from Peirce’s semiotic perspective. His semiotic system is very complex and integrated in an inseparable way. This is a strong point in showing how narrative cognition is related to the new media text. In particular, the inseparable and commensurable relationship between forms and feelings, imagination and reason, emotion and cognition, mediated by the concept of experience, is part of a useful theory to assist new media narrative interpretation. Indeed, I believe that narrative will be used as a cognition tool for the digital age generation. The phenomenon of new media is often described as immersion and interactivity where users are actively engaging in narrative experience. However, there should be a higher function of narrative experience in order not to constrict the users to direct experience as emotional reaction, but this amounts to experience of interpretation, as Peirce rightly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The three categorical types of new media have been illustrated to show how narrative reasoning is possible by virtue of applying Peirce’s three trichotomical systems. In new media, the narrative producer and consumer will produce a creative narrative construction as communication interpretant in Peirce’s terms, in that the narrative minds that are connected through the work of semiotic mediation and modeling in narrative share and exchange ideas, employing narrative as communication media.
    This new media text of narrativity for construction of a Storyworld will lead to a contribution to global communication by narrative medium and, at the same time, to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historical terms as form of narrative. As a result, narrative as modeling system connects information with cognition, resulting in communicative act where information is transformed as a basis of narrative construction in the digital age. From this aspect, I understand that the act of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time and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in space require the narrative media which is the semiotic mediation of mental representation, connecting cognition and communication for evolutionary semiosis.
    This is the way in which I see that this conceptual work is valuable for new media narrative communication in which the interpreter constructs narrativity in his/her own way, but at the same time they function as a semiotic agent within narrative representation of a modeling system. From this aspect, for the interpreter, individual new media texts are to be conceptualized so as to see what is presented at the perceptual level and what is represented at the cognitive psychological level. Further, the interpreter needs to discern what the assertion is in the audiovisual narration, in that the assertion takes the form of information. This is my contention that narrative as a cognitive tool for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ra offers an opportunity for making information a useful resource for the evolution of anthroposemiosi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내러티브 형식이 해석 활동을 통한 정신적 작용에서 고등의 논리적 사고를 형성하는 인지적 도구임을 밝히고 디지털 시대에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잠재성을 논의한다. 특히 퍼스의 삼원적 기호 이론을 적용하여 내러티브 범주를 형식, 미디엄, 장르로 설정하고, 퍼스의 정신(mind)에 관한 이론과 내러티브 이론과의 유비구조를 통해 내러티브 인지를 설명한다. 이러한 내러티브 인지는 실재 세계를 재현하는 기호적 중재를 통해 스토리세계(Storyworld)의 형식으로 구체화된다.
    스토리세계는 퍼스의 기호과정 즉 세미오시스(semiosis)를 통해 구축되며 이 과정 속에서 정신의 연속성이 관찰된다. 뉴미디어 텍스트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수용자는 이러한 내러티브의 심리적 기제를 통해 스토리세계(Storyworld)를 구축하여 의미를 생산한다. 정신의 연속성 속에서의 내러티브 해석 활동은 내러티브 형식, 내러티브 미디엄, 내러티브 장르의 서로 다른 내러티브 범주에 속한 뉴미디어 텍스트들의 다양성을 인식하게 함과 동시에 그들 사이의 대화과정을 통해 발전된 해석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해석과정은 해석자의 논리적 사고를 발전시킨다. 뉴미디어 텍스트의 해석은 감정과 이성, 상상력과 이성 사이의 대화과정을 필요로 하며, 이같은 대화과정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내러티브 인지가 개별적이면서도 일반적인 특성을 갖는 중재기능을 하는 능력임을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s narrative form as a cognitive tool for logical thinking in the performance of advanced mental actions through interpreting activity. In particular, the observation of the feature of the triadic relation in Peirce’s semiotic system in narrative categorical elements is a key factor in seeing how consciousness operates, being formed into narrative mind. This means that the mind is unstable and changeable in the course of time; yet the significant aspect of the triadic relation of Peirce’s categorical system shows the narrative form of unity in such a way that the general concept of narrative interpretation in the Third category is actualized as embodied narrative cognition in the Second which embeds the possibility of the First, the narrative form as a Storyworld. Under this aspect, it is possible to see that two different entities which belong to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emotion and cognition, or feeling and logic, come together for a purposeful interpreting activity as semiosis. This triadic relation in Peirce’s semiotic can be applied to new media text in three categorical elements of narrative: form, medium, and genre. This will form my argumentation in the present paper.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The results of research on narrative media have revealed the possibility of using narrative media as a cognitive tool in a communicative act in the digital era. This entails the construction of meaning from Storyworld by virtue of a narrative modeling system.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ra requires using information wisely and productively. At this point, narrative cognition which is involved with emotion, effort, and logic allows the interpreter to be active and critical. Accordingly, the narrative text which represents reality connects the producer with the audience, emphasizing narrative experience and performance.
    New media communication involves the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emphasizing the feature of cognition in the interpreter. From this aspect, the audience is required to have literary skills, that is, visu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Further, narrative literacy has the essential feature of mediating, constructing a meaningful world which I call Storyworld on the basis of narrative competence.
    Particularly, the narrative competence is tied to interpreting activity where the interpreter experiences three levels of narrative category of mind: first, the biological aspect of mind, perceiving the phenomenological world; second, the psychological aspect of mind, from which an individual responds to the environmental world; third, the sociocultural aspect of mind, which connects the biological and the psychological, leading to the construction of Storyworld so as to make meaning in their own world. This narrative interpreting activity is practiced through new media texts which are complex and thus display multimodal presentation of various mediums. This is the way I see that narrative form as a tool of cognition for higher mental function is valuable for the interpreter to practice his/her own autonomous way of dealing with multifaceted phenomena from the new media text in the digital age.
    A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theoretical aspect of narrative form as cognitive tool, I suggest that it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course of school education as a curriculum item such as "Narrative Inquiry" for a customary course. Considering new media environment, narrative competence will enhance the ability of interpretation. From this aspect, new media literacy is associated with narrative literacy in the digital era, which motivates thinking that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is developed into interpreting activity for meaning-making for communication purposes.

  • 색인어
  • 퍼스의 기호학, 삼원적 관계, 내러티브 형식, 내러티브 커뮤니케이션, 모델링, 미디어, 스토리세계 Peirce’s semiotics, triadic relation, narrative form, narrative communication, modeling, media, Storyworld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