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229&local_id=10025784
위기의 아시아: 동아시아 정체성을 모색하며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위기의 아시아: 동아시아 정체성을 모색하며 | 2009 년 | 조삼상(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50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4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동아시아 정체성의 기초를 제공할 새로운 공동의 이데올로기를 모색하며, 19세기 후반•20세기 중반의 시기을 중심으로 일본 정체성 위기, 동아시아라는 사유 공간, 동아시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역사적 노력과 시도들을 다룬다. 익히 알다시피19세기 그리고 20세기에 서구문명의 물결이 동아시아 지역에 밀려왔을 때, 그리고 동아시아 내부의 모순이 격화되었을 때 동아시아인들은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했었다.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려는 노력에 노출된 일본은 그들의 정체성을 동아시아 정체성과 연결시켜 더욱 건설적이고, 조화롭게, 인간적이며, 코스모폴리탄적인 전형으로 자신들을 규정하는데 실패하여 왔다.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 동아시아인은 누구인가를 재정의할 필요가 있었지만, 그러한 정체성의 전환을 이루기 위한 재정의와 해결책을 발견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동아시아인들은 빈번하게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였고, 정체성 위기는 동아시아인들에게 항상적 사실이 되어버렸다. 그러나 정체성의 위기라는 사실이 나의 연구의 주제가 아니라, 정체성의 위기를 설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표이다. 다시말해 연구의 주제는 과정에 대한 질문인 어떻게 동아시아가 끊임없이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하여 왔는가가 아니라, 더욱 근본적이고 이론적으로 더욱 중요한 질문인 왜 동아시아는 끊임없이 정체의 위기에 노출되어 왔는가 이다. 또한 위기의 원인에 대한 근원적 답을 도출함과 더불어, 더욱 중요하게는 에릭 에릭슨 (Erik Erikson)의 역사-심리분석법을 적용하여 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과 시도가 있었는지, 그러한 시도 속에는 동아시아라는 사유의 공간이 존재했었는지를 밝혀내고, 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그리고 동아시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새로운 철학적 기반 혹은 이데올로기를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이다.
  • 영문
  • Throughout much of modern history, Japanese have spent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in search of their identity. Despite their great efforts to define and redefine themselves, Japan has suffered from bouts of anxiety regarding its identity that regularly culminated in identity crisis. The central discussion of the crisis of Japanese identity is about whether modern Japan has been part of the West or rather of Asia. This ambiguity of Japanese identity bega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Japan embarked on a frenzied path of Westernization and escape from Asia. Falling back on Erik Erikson’s psycho-historical approach, this article examines why Japanese identity crisis had occurred and what modern Japan wa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identity crisis, or what Japanese intellectuals stepped forward. This article is structured in four sections. The article begins with a description of identity crisis and ideology. It then examines how seriously Japanese were to suffer from inner crisis and breakdowns during the Meiji years. This is followed by a discussion of Pan-Asianism as Japan’s ideology to resolve identity crisis and to redefine its identity in the conditions of the Asian tradition and value. The penultimate section provides a critical look at Pan-Asianism because it had a propensity for Japan to claim ascendancy and superiority in Asia and it was turned into slogans to justify Japanese aggression in Asia. The final section offers some reflections on some of the conspicuous remarks of Pan-Asianism for the future of Japanese identity, while concluding that there will be continuous challenges for Japan to form new identity in the 21st centu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roughout much of modern history, Japanese have spent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in search of their identity. Despite their great efforts to define and redefine themselves, Japan has suffered from bouts of anxiety regarding its identity that regularly culminated in identity crisis. The central discussion of the crisis of Japanese identity is about whether modern Japan has been part of the West or rather of Asia. This ambiguity of Japanese identity bega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Japan embarked on a frenzied path of Westernization and escape from Asia. Falling back on Erik Erikson’s psycho-historical approach, this article examines why Japanese identity crisis had occurred and what modern Japan wa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identity crisis, or what Japanese intellectuals stepped forward. This article is structured in four sections. The article begins with a description of identity crisis and ideology. It then examines how seriously Japanese were to suffer from inner crisis and breakdowns during the Meiji years. This is followed by a discussion of Pan-Asianism as Japan’s ideology to resolve identity crisis and to redefine its identity in the conditions of the Asian tradition and value. The penultimate section provides a critical look at Pan-Asianism because it had a propensity for Japan to claim ascendancy and superiority in Asia and it was turned into slogans to justify Japanese aggression in Asia. The final section offers some reflections on some of the conspicuous remarks of Pan-Asianism for the future of Japanese identity, while concluding that there will be continuous challenges for Japan to form new identity in the 21st century.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 12개월 동안 수행되었다. 첫 번째, 에릭 에릭슨의 심리-역사적 접근법으로부터 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을 도출하였으며, 왜 에릭슨의 접근법이 본 연구에 유용한지를 다루었다. 두 번째, 19세기 후반에 일본정체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서구의 위협에 의해 왜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게 되며 이에 어떻게 대응하였는가, 동아시아라는 사유공간은 존재하였던가, 동아시아 정체성의 구성을 위해 어떠한 노력과 시도가 있었던가, 왜 대아시아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일본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로 전락할 수 밖에 없었는가를 다루었다. 세 번째, 전후 일본 정체성 위기의 원인은 무엇인가, 그것은19세기 후반과 어떻게 다른가, 일본 제국주의의 유산•미국의 동아시아 개입•냉전체제의 고착화가 동아시아라는 사유공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를 연구하였다. 네 번째, 냉전의 종결, 세계화, 동아시아 지역화라는 삼중적 구조요인이 일본의 동아시아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다루었다. 또한 일본의 사례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정체성 구성을 위한 철학적, 이데올로기적 사유의 공간을 제안하였다.

    <활용방안>
    첫째, 동아시아란 사유공간이 미비하기는 하였지만, 일본, 중국, 한국의 엘리트들은 동아시아 공동체와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착실히 진행하여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일본은 후꾸자와 유끼찌(福澤爾吉)의 "탈아입구론"과 오까꾸라 텐신(岡倉天心)의 "아시아일체론" 이후 타께우찌 요시미(竹內好), 이노구치 타까시(猪口孝), 다나까 아끼히코(田中明彦) 등 일본의 학자들은 아시아가 보편적 문명의 가치관을 제공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동아시아 정체성 문제를 직간접적으로 다루어 왔다. 동아시아란 자족적인 지역개념이 아니라 서구를 자신의 대립 상대로 간주하는 즉 서구중심주의를 비판하는 맥락에서 등장했다는 중국의 쑨꺼 의 논의는 동아시아 정체성 문제를 토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동아시아를 하나로 묶기 위해 대륙 중심의 중국 관점, 해양 중심의 일본 관점, 한반도 거점 관점 외에 이 모든 관점을 비판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제4의 선택 으로 타이완, 홍콩, 마카오, 오키나와 등 ‘주변적’ 관점을 가져야 한다는 백영서의 주장 은 패권적 관점 벗어나 동아시아 정체성 문제를 고민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기적으로는 기존 한, 중, 일 학자들이 깊이 진행해온 동아시아 공동체 그리고 정체성 연구의 논의와 담론을 활성화시키는데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장기적으로 동아시아인들이 특히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지도자들이 서로 간의 정체성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도움으로써 동아시아 정체성의 형성과 지역기구 설립을 위한 실질적인 구상의 조그마한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둘째, 본 연구의 목적은 에릭슨의 역사-심리분석법을 사용하여 정체성 위기의 원인과 이데올로기의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정체성과 이데올로기의 정치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동아시아 정체성에 대한 역사적이며 경험적 탐구를 추구하여 동아시아에서의 새로운 정체성 형성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사실 전통적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연구자들은 정체성의 형성과 정체성의 위기의 문제를 무시하려는 경향이 있다. 동아시아 국가간의 관계는 국가간의 힘의 균형(balance of power)이나 국가간의 협력을 위한 구조적 요소(structure)와 같은 비관념적 요인들에 의해 작동된다고 주장한다. 그들에게 정체성 문제는 안보와 경제적 논의보다 부차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정체성을 동아시아 지역의 정치를 규정하는 결정적인 독립변수로 간주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정체성이 형성될수 있는 규범적•관념적 맥락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동아시아 국제관계학의 논의를 더욱 풍요롭게 하고자 한다.
  • 색인어
  • Erikson’s Psycho-historical Approach, Identity, Identity Crisis, Ideology, Meiji Japan, Pan-Asianism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