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235&local_id=10021733
게르만어에서의 관사의 발달 및 그와 관련된 언어변화 현상들의 역사비교언어학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게르만어에서의 관사의 발달 및 그와 관련된 언어변화 현상들의 역사비교언어학적 연구 | 2009 년 | 윤혜준(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15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원래 독일어와 영어를 포함하는 게르만어에는 관사(article)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대명사로부터 정관사가, 수사로부터 부정관사가 생성되었다. 실제로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 중에는 부정관사, 정관사 모두 존재하지 않는 언어들, 둘 중 하나만 존재하는 언어들 등 다양한 유형이 나타난다. 그러나 현재 독일어나 영어에서 모든 명사 표현은 극히 한정된 예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관사가 동반되어야 하며, 이들 두 언어가 속한 게르만어그룹은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관사가 특히 발달한 그룹 중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독일어와 영어를 중심으로 공통된 게르만조어에서 갈라져 나온 각 언어에서 정관사 및 부정관사가 각각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 그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 그와 동시에 그러한 관사의 발달 과정과 관련된 여러 언어변화 현상들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즉,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게르만공통조어(Proto-Germanic)에서 갈라져 나온 각 개별 언어에서 정관사 및 부정관사가 각각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 그 발달 과정들을 각각 형태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 각 개별 언어에서 관찰되는 관사의 발달 과정과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언어변화 현상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속에서 발견되는 보편적인 언어변화의 원리및 기제를 알아본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 아래 다음과 같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1) 관사의 기원과 역사적인 발달 과정 고찰
    공통된 조상언어인 게르만조어(Proto-Germanic)에서 갈라져 나온 각 개별 언어들에서 사가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 그 기원 및 역사적인 발달 과정들을 형태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정관사와 부정관사 양 체계의 발달은 서게르만어에 대한 라틴어의 영향이며, 결국 이러한 유형론적 개신이 고대북구어에도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영어와 고대불어의 관사 사용에는 많은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단순한 어휘의 차용(lexical borrowing)이 아니라 문법 범주의 체계가 두 언어의 접촉을 통해 발달하기 시작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Ebert 1977, 81) 좀 더 심도 있는 고찰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Heine(1997, 155-165)는 부정관사의 발달을 총 다섯 단계의 문법화 단계로 세분화하였다. Hawkins(2004)는 정관사의 발달에 대하여 점진적인 의미론적/화용론적(pragmatic) 발전 단계에 따라 총 네 단계로 세분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각 단계로의 발달은 급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중의적인 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각 발달 단계에 각각의 중간 단계들이 공존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간 단계들은 각 개별 언어의 역사에서 각기 다른 유형들로 나타났다.

    2) 관사의 발달과정 및 변화유형의 비교와 분석
    각 개별 언어별 통시적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들 사이에 나타나는 관사의 발달과정과 변화 유형들을 비교,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언어보편적인 원인 분석 및 역사비교언어학적 설명을 시도하였다. 관사의 발달 과정은 관사 자체만의 문제가 아니라 명사의 곡용 및 다양한 형태론적, 통사론적 변화들과도 관련된다. 즉, 게르만어에서 곡용 변화의 쇠퇴로 인해 모호해진 성, 수, 격의 명사적 범주들은, 특히 약변화 명사들은 지시대명사에 의하여 표현되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곧 정관사의 생성 및 발달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정관사 및 부정관사의 발달은 게르만어에서 형용사의 강변화(strong inflection) 및 약변화(weak inflection)의 용법과도 관련된다.

    3) 관사와 관련된 제변화 현상들에 대한 다양한 접근 시도
    유럽내 특이한 분포를 보이는 관사의 유무 및 발달 유형들에 대하여 언어유형론적인 접근을 병행함으로써 역사비교언어학과 언어유형론적 연구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또한 게르만어와 주변 언어들과의 언어 접촉 - 특히 로망스어파 -, 그로 인한 차용의 가능성과 그 외의 관사의 발달과 관련된 다양한 언어외적인 요인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많은 언어유형론자들은 유럽 지역에서의 관사의 등장과 발달이 로망스어파내의 언어적 개신(linguistic innovation)에 의한 것이며 이후 지역적 확산(areal diffusion), 즉 로망스어와 타 언어들간의 접촉에 의해 주변 언어들에서도 관사가 나타나게 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고대고지독일어 및 고대영어와 고대불어의 관사 사용에는 많은 차이점들이 존재하며 이는 언어 접촉에 의한 단순한 차용의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 영문
  • In fact, there were no article in Germanic languages including English and German. As time goes by, however, the definite article and indefinite article derived each from the pronoun and numeral. Actually, among Indo-European languages, there are various types of languages which have no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 and have either definite or indefinite article. But in modern German and English, all nominal expressions should accompany the article except the specific case, and the Germanic group which these two languages belong to became the group with the most developed articl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observ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 in individual languages which derived from the common ancestor language, Proto-Germanic language, focused on German and English. And this study dealt with the various language change phenomena related to the developement process of articl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The development process of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 in individual languages which derived from Proto-Germanic language is observed from the morphological perspective and functional perspective as well.

    ○ The development process of articles observed in individual languages and the related language change phenomena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with that, the universal principle or mechanism for language change are studied.

    And the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1) Study on the origin and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articles.
    The system with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s in West-Germanic languages was influenced by Latin, and such typological innovation also influenced on Old Norse. But in fact, the usage of articles of English and Old French are so different. Thus, the existing argument for the influence by language contact should be reconsidered. Heine(1997, 155-156) divided the development of indefinite article into 5 stages, and Hawkins(2004) devided the development of definite article into 4 stages according to the gradual semantic and pragmatic development stage. But the development to each stage proceeded gradually through the ambiguous stages between each stage, and these ambiguous stages in individual languages are observed in different types.

    2) Comparison and Analysis of development processes and changing types of arcitles.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changing types in individual languages 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material in individual languages, and the analysis of language universal causes and historical compararive explanation are perform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rticles is related to the nominal declension and various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nge, in additon to the change of articles itself. In Germanic languages, the development of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s is related to the usages of adjective strong and weak inflection.

    3) Various Approach to the changing phenomena related to the articles.
    The typological approach to the existence and development type of articles in Europe is performed. The language contact between Germanic language and neighboring languages, especially Romance language group, and various external linguistic causes are researched. Many typologists assume that the appearance of articles in European region was caused by linguistic innovation within Romance language group, and with areal diffusion, in ther words with the contact between Romance and other language group, the articles were made in neighboring langauges. But, in fact, the usages of articles in Old High German, Old English and Old Fren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t shows that it is not a problem simply related to language conta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원래 독일어와 영어를 포함하는 게르만어에는 관사(article)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대명사로부터 정관사가, 수사로부터 부정관사가 생성되었다. 실제로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 중에는 부정관사, 정관사 모두 존재하지 않는 언어들, 둘 중 하나만 존재하는 언어들 등 다양한 유형이 나타난다. 그러나 현재 독일어나 영어에서 모든 명사 표현은 극히 한정된 예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관사가 동반되어야 하며, 이들 두 언어가 속한 게르만어그룹은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관사가 특히 발달한 그룹 중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독일어와 영어를 비롯한 게르만어에 나타나는 관사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중심으로 공통된 게르만조어에서 갈라져 나온 각 언어에서 정관사 및 부정관사가 각각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 그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 그와 동시에 그러한 관사의 발달 과정과 관련된 여러 언어변화 현상들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해보았다. 즉,

    ○ 게르만공통조어(Proto-Germanic)에서 갈라져 나온 각 개별 언어에서 정관사 및 부정관사가 각각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 그 발달 과정들을 각각 형태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각 개별 언어에서 관찰되는 관사의 발달 과정과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언어변화 현상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속에서 발견되는 보편적인 언어변화의 원리 및 기제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크게 세 부분, 즉 1) 관사의 기원과 역사적인 발달 과정 고찰, 2) 관사의 발달과정 및 변화 유형의 비교와 분석, 3) 관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언어변화 현상들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설명 기제로 나뉘어진다.

    ○ 관사의 기원과 역사적인 발달 과정 고찰 : 각 게르만어 개별 언어들에서 관사가 각각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 그 기원 및 역사적인 발달 과정들을 형태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관사의 발달과 관련된 여러 언어변화 현상들을 함께 다루었다.
    관사가 존재하지 않았던 게르만조어로부터 각 개별 언어에 새로운 범주가 등장하게 되기까지 그 기원 및 생성 원인 그리고 발달 과정에 대하여 고대게르만어인 고트어로부터 고대고지독일어, 중세고지독일어, 현대고지독일어, 그리고 고대영어, 중세영어, 현대영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그 외 다른 게르만어들인 네델란드어, 스웨덴어 등의 자료도 참고하여 제변화 현상들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 관사의 발달과정 및 변화유형의 비교와 분석 : 관사의 발달 과정은 관사 자체만의 문제가 아니라 명사의 곡용 및 다양한 형태론적, 통사론적 변화들과도 관련되며 관사의 출현과 발달은 한 언어가 통합적인(synthetic) 언어에서 분석적인(analytic) 언어로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 앞에서 살펴 본 개별 언어별 통시적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들 사이에 나타나는 관사의 발달과정과 변화 유형들을 비교,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언어보편적인 원인 분석 및 역사비교언어학적 설명을 시도하였다.

    ○ 관사와 관련된 제변화 현상들에 대한 다양한 접근 : 그동안 많은 언어유형론자들이 유럽내 언어들에서의 관사의 등장과 발달에 지역적 확산(areal diffusion), 즉 로망스어파를 중심으로 차용(borrowing)에 의한 확산이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럽내 특이한 분포를 보이는 관사의 유무 및 발달 유형들에 대하여 언어유형론적인 접근을 병행함으로써 역사비교언어학과 언어유형론적 연구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또한 게르만어와 주변 언어들과의 언어 접촉, 특히 로망스어파와의 접촉을 통한 차용의 가능성과 그 외의 관사의 발달과 관련된 다양한 언어외적인 요인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서 1) 자료수집, 2) 선행 연구 검토 3) 개별 언어별 자료 분석 및 고찰, 4) 기존 이론에 대한 비판 및 새로운 설명 시도가 계획되었다. 고트어와 고대고지독일어로부터 현대독일어, 고대영어로부터 현대영어 자료를 수집하고, 그 외에 고대게르만어로서 고대아이슬랜드어와 고대북구어, 그리고 현대의 각 개별 게르만어 자료들을 참고하여 기존의 선행연구에 대한 철저한 검토 및 분석, 그리고 개별 언어별로 관찰된 내용을 바탕으로 관사의 발달에 있어서의 각 언어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였으며,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조사된 기존의 제변화이론들을 개별 언어들의 자료 분석 및 고찰을 바탕으로 비판,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내용 및 결과

    1) 관사의 기원과 역사적인 발달 과정 고찰
    공통된 조상언어인 게르만조어(Proto-Germanic)에서 갈라져 나온 각 개별 언어 들에서 사가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 그 기원 및 역사적인 발달 과정들을 형태 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 관사의 발달과정 및 변화유형의 비교와 분석
    각 개별 언어별 통시적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들 사이에 나타나는 관사의 발달과정과 변화 유형들을 비교,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언어보편적인 원인 분석 및 역사비교언어학적 설명을 시도하였다.

    3) 관사와 관련된 제변화 현상들에 대한 다양한 접근 시도
    유럽내 특이한 분포를 보이는 관사의 유무 및 발달 유형들에 대하여 언어유형론적인 접근을 병행함으로써 역사비교언어학과 언어유형론적 연구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또한 게르만어와 주변 언어들과의 언어 접촉 - 특히 로망스어파 -, 그로 인한 차용의 가능성과 그 외의 관사의 발달과 관련된 다양한 언어외적인 요인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2. 연구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대학 강의에서의 활용 - 관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 : 관사는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문법 범주로서 독일어나 영어, 불어를 비롯하여 관사 체계가 존재하는 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에게 매우 까다로운 주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관사의 기원 및 발달 과정에 대한 통시적인 접근법은 현대 언어에서 사용되는 관사의 형태와 기능 및 용법을 폭넓게 이해하는 깊은 통찰력을 제공하고 이는 교육현장에서도 교수자 및 학습자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 이론 중심 언어학 교육의 보완 : 이 연구는 연구 특성상 많은 자료 수집과 그에 대한 철저한 분석 및 비교를 필요로 한다. 유럽 대학의 개별 언어학과 및 일반언어학과 그리고 인구어학과에는 역사비교언어학에 대한 강의가 학과 커리큘럼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언어학에서 실자료(raw material)의 중요성과 그러한 자료들을 적합하게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습을 시킨다. 이러한 연습은, 언어학이나 각 개별어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언어 자료를 바라보는 정확한 눈과 언어에 대한 한층 더 깊은 이해를 갖게 해 줄 수 있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에게서 구체적인 자료 분석 및 실습 시간의 부족에 대한 아쉬움과 필요성의 요구를 많이 접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는 그러한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통시적 연구의 활성화 및 저변 확대 : 이 연구의 주제인 관사에 대한 국내 연구 거의 대부분은 현대 언어들에 대한 공시적인 연구이다. 게르만제어를 중심으로 관사의 역사적인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 현상을 다룬 이 연구는 언어 현상을 바라보는 안목을 좀 더 넓혀주고 아울러 국내에 미진한 통시적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 균형있는 학문의 발전 : 현재 국내의 연구들은 주로 실용적인 방향이 지향되고, 기초적인 연구 분야들은 다소 소홀히 취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인문학의 고유 영역을 지키고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연구의 방법론에 있어서도 철저한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한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이론 중심의 언어학이 아닌 실증주의적 언어학을 추구함으로써 국내 학계의 균형있는 학문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 언어 현상에 대한 통찰력 배양 : 이 연구의 통시적 언어 분석은 언어 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통찰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언어의 역사 속에서 관찰되는 변화 현상들의 유형 및 변화 방향들을 살펴봄으로써 정적인 대상이 아니라 살아있는 동적인 대상으로서의 언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언어내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타언어 민족과의 접촉 및 수용 등 다양한 언어외적인 요인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언어 현상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 색인어
  • 정관사, 부정관사, 한정성, 비한정성, 지시대명사, 형용사의 강변화, 약변화, 언어유형론, 지역적 확산, 차용, 고트어, 고대고지독일어, 고대영어, 재구, 라틴어, 로망스어, 통합적 언어, 분석적 언어, 게르만조어, 인구어, 스웨덴어, 네델란드어, 수사, 명사곡용, 의미적 탈색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