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240&local_id=10024661
역주 「당촌한화」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역주 「당촌한화」 | 2009 년 | 황의열(경상국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96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4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번 연구는 먼저 현전하는 󰡔당촌한화󰡕의 이본 대조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하였다. 필사본과 활자본을 대조한 결과, 상호간에 상당히 많은 출입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그 중에 어느 한 본이 다른 한 본의 저본이 되었다고 보기에는 곤란한 점이 많이 있었다. 따라서 이 두 본은 따로따로 전해졌으며, 활자본을 만들 때 참고한 또 다른 본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그러나 총체적으로 두 본이 밀접한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언급한 필사본을 포함한 둘 이상의 필사본을 참고했을 가능성도 있으리라고 본다.
    필사본과 활자본을 대조하여 정본을 만드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그것은 문맥상 충분히 시비를 가릴 수 있는 경우이거나, 아니면 고유명사라서 다른 기록을 참고하여 오류 여부를 가릴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당촌한화󰡕를 번역하고 주석을 내는 작업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왜냐하면 거기에는 수많은 인물이 등장하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였고, 그 등장인물들이 겪었던 여러 일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당촌한화󰡕의 저자가 어떤 시각으로 당시 사회를 보았으며 평가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역주 작업에 있어서 처음에는 매우 많은 주석을 달았으나, 일반 독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주석을 생략했고, 괄호 속의 한자도 최대한 없애는 방향으로 교정을 보았다.
    역주는 독자층을 연구자 외에 일반 시민들로 상정하여 진행했다. 따라서 전문가가 볼 때는 다소 평이하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내용으로 보아 전문가들만 향유할 수 있게 하기보다는 일반인들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독자층을 그렇게 상정한 것이다.
    찾아보기는 거의 모든 인명과 지명을 망라하였으며, 자료가 없는 인명에 대해서는 주석에서는 생략하더라도 찾아보기에는 수록해 두어 다른 연구자들이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출판될 󰡔역주 당촌한화󰡕에는 맨 뒤에 필사본 󰡔당촌한화󰡕를 영인하여 덧붙임으로 해서, 혹시 있을지도 모를 오탈자에 대해서 보완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 영문
  •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directions.
    First, the script is finalized work. In contrast to the oldest extant and manuscript, which was different parts to each other. Thus, the final one was authentic.
    The second is the translation work. It was translated according to determined script, and it was pursuing a plain translation.
    Third, work is a comment. About personnel and the nomination, in principle, all the comments that were. And to improve readability level was controlled by the amount of comments.
    In addition, the task of creating the index, and at the end of the book, photoprint the manuscript in order to typographical or omissions that the reader was able to see for yourself.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조선 전기에 筆記類 작품이 많이 씌어졌으며 대부분 일반에게도 잘 알려졌는데, 塘村 黃暐(1605~1654)의 󰡔塘村閑話󰡕는 학자들에게도 그다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황위는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사간원 정언, 함경도 도사, 평양 서윤 등을 지냈다. 󰡔당촌한화󰡕에는 175개의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비중이 있는 필기류 작품이다. 내용은 대부분 여러 인물들에 관한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이고, 詩話의 성격을 띤 것도 적지 않다. 또 사물의 이치나 世態에 대한 이야기, 또는 笑話나 奇談도 섞여 있다. 󰡔당촌한화󰡕는 필사본과 활자본이 있는데, 필사본은 1900년대 초에 필사된 것으로 보이고, 활자본은 1967년에 간행되었다. 이 두 본의 내용은 큰 차이는 없지만 편차는 완전히 다르게 되어 있다. 또 글자가 서로 다른 곳도 적지 않다. 이 두 본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활자본이 필자가 소장한 필사본을 저본으로 삼았을 가능성이 높지만, 또 다른 필사본이 존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활용계획

    [당촌한화]는 조선시대 필기류 가운데 작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당촌한화]를 통해서 조선 중기의 당파에 따른 알력, 문인들의 시문 창작과 풍류, 백성들의 생활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한국한문학사에도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역사, 풍속사, 여성생활사 등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에 번역을 하면서 상세한 주석을 덧붙였기 때문에 한문 원전 독해 능력이 없는 사람들도 이용에 불편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이 책을 통해 한문과 한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역주 당촌한화󰡕는 도서출판 보고사에서 출판하여 전문 연구자들에게 기증할 예정이며, 주요 도서관에도 기증할 예정이다. 그렇게 되면 많은 연구자들이 쉽게 󰡔당촌한화󰡕의 진면목을 접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塘村, 黃暐, 閑話, 筆記類, 逸話, 詩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