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403&local_id=10023343
세계 경상수지분포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세계 경상수지분포에 관한 연구 | 2009 년 | 김선빈(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19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3월 0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2차 대전 이후 세계경제에서 종종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경상수지 불균형은 경제학자들 사이에 상당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곤 했다. 특히 이것이 대규모 적자일 경우에는 국제정치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정도로 골칫거리로 생각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2002년 이후 발생한 미국의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는 그 원인에 대한 분석 뿐만 아니라 긍국적인 적자해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에서 학자들 사이에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킨 바 있다. 반면에 전세계적인 차원에서 대규모 경상수지 불균형이 무역 뿐만 아니라 금융부문에서 경제통합의 진전에 의해 발생된 것이라면 비롯된 것이라고 보면 이는 보다 폭 넓은 국제적인 위험공유(international risk sharing)의 결과이고 또 이를 더욱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여건이 성숙하였음을 의미하므로 환영할 만한 사건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현재의 경상수지 불균형 정도는 세계금융시장의 완전한 통합의 결과로 보기에는 오히려 미미한 수준이라 볼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전세계적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분석에 기초하여 지난 40년 동안의 세계 경상수지 분포의 변화에 대한, 특히 분산(dispersion)의 증가의 원인과 그 해석에 대해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논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제경제체제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몇가지 마찰적 요인(frictions)들을 일반균형모형에 도입하고 이러한 마찰적 요소들이 세계 경상수지 분포의 분산에 미치는 영향을 수량적으로(quantitatively)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개방경제 거시경제학에서 흔히 가정하는 이국가모형(two-country model)을 넘어서는 다국가모형(multi-country model)이 필요하다. 모형경제에는 전세계적인 차원의 자산시장은 불완전하며(incomplete capital markets), 개별 국가가 필요시 해외로 부터 자금차입에 일정한 제약(borrowin
    g constraint)이 있으며, 개별 국가는 서로 다른 소득충격(idiosyncratic income shock)에 직면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형태의 모형은 Bewley(1980)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고, Aiyagari(1994)와 Huggett(1990)에 의해 폐쇄경제에서 소비자/노동자의 동태적 최적화의 결과로써 발생하는 자산분포를 분석하는데 흔히 사용되어 왔고, Clarida(1990)는 개방경제에서 개별 국가가 마치 Aiyagari-Huggett 모
    형에서 개별 노동자가 처한 상황과 같으며 같은 방식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이질적 국가와 불완전 자본시장 모형(heterogeneous country, incomplete capital markets model)에서 경상수지 분포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보인 바 있다. 본 연구는 Clarida의 모형을 확장하여 세계시장에 존재하는 마찰적 요소를 모형화하였으며 이들의 세계 경상수지 및 순해외자산보유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보험시장이 불완전한 상황에서 개별 국가는 자산축적을 통하여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며 따라서 균제균형상태에서 전세계의 순해외자산 및 경상수지의 분포가 내생적으로 결정된다.

    순해외자산의 분포를 맞추도록 모형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한 벤치마크 모형의 경우, 세계 경상수지 분포의 2/3 정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국가간 무역거래와 자본거래의 마찰적 요인들을 각각 완화시킨 모형의 모의실험 결과에 따르면 무역거래의 장애요인 보다는 자본거래의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경상수지 불균형의 폭을 훨씬 크게 확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의 분석이 시사하는 바는 경상수지 불균형이 확대가 1980년대 이후 세계적인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온 자본자유화로 인해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모형은 경상수지의 지속성(persistence of current accounts)과 국제적 위험공유 등과 같은 몇가지 정형화된 사실들을 설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설정되어진 모형과 모의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에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먼저 기존 개방거시경제학에서 자주 언급되어온 여러 종류의 자본시장 마찰요소들을 추가적으로 모형에 포함하여 각각의 경우에서 모형에서 생성되는 경상수지 불균형의 크기는 물론 그 분포의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경상수지 및 순해외자산의 분포 자체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를 발전시킬 뿐아니라 경상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에 대한 정책적인 제안들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 영문
  • Large current account imbalances often become a source of concern, especially when they are large deficits. The large current account deficit of the U.S. since 2002 has generated much debate on its causes and the need for eventual adjustment. Indeed in many other countries, large current account deficits have often preceded an external crisis, thus stoking fears of an impending gloom when they appear on the balance of payments accounts of emerging markets. In contrast to this common and often-verified view that regards large imbalances as a cause for concern, others see a sign of progress in large current account imbalances. Some interpreted the U.S. current account deficit as an outgrowth of an integrated financial market resided by high-saving countries. In this vein, large current account imbalances are a welcome development to the extent they are outcomes of a rising global economic integration (in financial and trade accounts).

    We undertake a quantitativ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dispersion of current accounts, incorporating several important frictions. As theory of distribution requires us to go beyond a typical two-country framework to a multi-country model, we turn to the incomplete insurance model with multiple (infinitely many) agents that originated with Bewley (1980). This model was further developed by Clarida (1990) in international context and by Aiyagari (1994) and Huggett (1995) in domestic context, among others. Faced with incomplete insurance and a limit to borrowing, each country (agent) accumulates domestic capital or foreign assets as a way of self-insurance, in the face of idiosyncratic shocks to its productivity. In equilibrium, a stationary distribution emerges for endogenous variables including current accounts.

    This model captures important precautionary and self-insurance motives behind lending, borrowing, and consumption decisions which arise in the presence of liquidity constraint, although the liquidity constraint itself is not derived from first principles (the same interpretation as in just cited papers). Because countries are limited in the amount they can borrow in certain states of nature, they accumulate assets as a precaution against such events. This precautionary motive does not require and is independent of the convexity of marginal utility that is postulated as the basis of precautionary savings in
    small open-economy models (Obstfeld and Rogoff (1995) and references therein).

    One innovation of our model,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ncomplete insurance model, is the introduction of the spread between the lending and borrowing interest rates which we interpret to reflect the cost of financial intermediation. This spread in interest rates, discourages countries from borrowing too frequently and reinforces their incentive to accumulate assets for self-insurance in the face of borrowing constraints. As a result, the sprea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tching the shape of the stationary distribution of net foreign assets and current accounts.

    Besides constructing the most compact model of dispersion, the modeling choice is motivated by the debate on incomplete risk sharing in the international economics literature. Financial market frictions have been viewed as a primary cause of several well-known phenomena of incomplete risk sharing across countries, including low international correlation of consumption and home bias in international equity allocation. More recently, phenomenal accumulation of international reserves in emerging markets has been attributed to self-insurance motive, in the absence of fully developed market for insura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We undertake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global dispersion of current accounts, incorporating important market frictions in trade and financial flows. Calibrated with conventional parameter values, the stochastic stationary equilibrium of the model accounts for nearly all of the global dispersion of current accounts. The model also implies that the easing of financial frictions can account for the historical increase in the current account dispersio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We develop and explore a simple multi-country model of the global distribution of current account balances. In the face of incomplete markets, countries accumulate foreign assets to provide for rainy days, in an effort of self-insurance. Combined with the diversity in shocks to each country's income,
    this insurance motive leads countries to display a well-defined distribution of current account surpluses and deficits.

    The bulk of current account dispersion can be explained by our model calibrated with standard parameter values. We find that tighter frictions in financial or trade transactions tend to narrow the dispersion of current accounts, offering an explanation of the smaller dispersion in the past. In particular, financial frictions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the dispersion, greater than trade frictions.

    활용방안: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심각하게 진행중인 세계자본 사장의 통합의 결과로 발생하고 있는 세계경제불균형(Global Imbalance) 현상을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국에 이용된 모형을 확대하여 국제적인 경상수지 불균형이 각 국가 내부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여러가지 사회문제, 예를 들어 소득 및 자산의 불평등구조 등을 연구할 수 있으며 자본시장의 통합으로 인한 이러한 국내 문제가 어떤 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느지에 대한 연구도 흥미로울 것으로 기대한다. 보다 근본적으로 과연 국제간의 경상수지 불균형의 이해득실에 관해서 수량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모형에서 한 국가의 경상수지의 변화에 따른 사회후생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세계자본시장 통합이 후생에 미치는 효과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Dispersion of Current Accounts, Incomplete Markets, Frictions, Borrowing Constraints, Interest Rate Spread, Multi-country Dynamic General Equilibrium Model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