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413&local_id=10027609
'-MAE NI 節'과 '-(기) 前(에)節'에 대한 대조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 #39;-MAE NI 節& #39;과 & #39;-& #40;기& #41; 前& #40;에& #41;節& #39;에 대한 대조연구 | 2009 년 | 안평호(성신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576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4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일본어의 「~ない前に」節과 현대한국어의 「~기 전(前)에」節에 대해 대조하여, 양 언어의 차이점 및 공통점에 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前に」와 「~전(前)에」와 관련해서는 먼저 각 표현을 구성요소들이 동일하다는 공통점을 들 수 있겠다. 또한 각 언어에 있어서의 역사적인 성립과정도 유사하다.

    (1) 그 드르리로 法 듣디 아니 前에 미 제 여러 아라
    (令其聽者로 未聞法前에 心自開悟야) <楞嚴經諺解(능엄경언해) 9:94ㄱ>15世紀資料
       →「聞かない前に」
     (2) 東萊 려오신 젼의 위션 封進物을 바드려 야<改修捷解新語 10中>;18世紀資料
     (3) 비가 오기 전에 일을 모두 마쳤다.

    한국어의 경우, (1)과 (2)와 같은 표현은 역사적으로 소멸되는 방향으로 문법화가 진행되었으며, (2), (3)와 같은 예문은 역사적으로 볼 때 대략 17세기경부터 문헌에 나타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한편, 일본어의 경우는 아래 예문과 같이 「肯定形+前に」와 「否定形+前に」가 현대일본어에서도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 확인할 수 있다.

    (4) モッコ搬びの連中が、仕事にかかる前に、とにかく部落を、通り抜けてしまわなければならない。
    (5) しかしそれ等は真夏の季節の来ない前に散ってしまうような種類の花ばかりなので、~(後略)

    한국어와 일본어의 「~前に」와 「~전(前)에」와 관련해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단히 유사한 문법형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이 일본어를 학습할 때 틀리기 쉬운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다.

     (6) *お湯が冷める前に早くお風呂に入りなさい。
    (6-1) お湯が冷めないうちに早くお風呂に入りなさい。(基本)
    (7) 목욕물이 식기 전에 빨리 목욕해라.

    본 연구들에서는 현대일본어의 (6)과 같은 표현이 왜 비문법적인 표현이 되는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워 그 타당성에 관해 명확히 밝혔다.

    <가설>
    한국어의 경우는, <点的인 기준>이 작용하는 언어이다.
    일본어의 경우는, <点的인 기준>과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기준>이 작용하는 언어이다. <끝>
  • 영문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and common points of contemporary Japanese and Korean language by comparing the paragraph with [~ない前に] of Japanese and the paragraph with [~기 전(前)에] of Korean. Regarding to [~ない前に] and [~기 전(前)에], we found that the components of each expression is same and the historical establishment process of each language is similar.

    (1) 그 드르리로 法 듣디 아니 前에 미 제 여러 아라
    (令其聽者로 未聞法前에 心自開悟야) <楞嚴經諺解(능엄경언해) 9:94ㄱ>15世紀資料
       →「聞かない前に」
     (2) 東萊 려오신 젼의 위션 封進物을 바드려 야<改修捷解新語 10中>;18世紀資料
     (3) 비가 오기 전에 일을 모두 마쳤다.

    In case of Korean language, the general opinion is that the expressions (1) and (2) were grammarized to the direction of extinction historically and the examples (2) and (3) appeared in the literature since 17 century.

    Meanwhile, in case of Japanese language, as shown in the examples below, it is confirmed that [肯定形+前に] (positive) and [不定形+前に] (negative) are being used in the contemporary Japanese.

    (4) モッコ搬びの連中が、仕事にかかる前に、とにかく部落を、通り抜けてしまわなければならない。
    (5) しかしそれ等は真夏の季節の来ない前に散ってしまうような種類の花ばかりなので、~(後略)

    In relation to [~前に] of Japanese and [~전(前)에] of Korean, both are very similar grammar type as examined on the above. However, there are some expressions that the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Korean may take a mistake when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as follows:

     (6) *お湯が冷める前に早くお風呂に入りなさい。
    (6-1) お湯が冷めないうちに早くお風呂に入りなさい。(基本)
    (7) 목욕물이 식기 전에 빨리 목욕해라.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hypothesis about why the expression (6) of contemporary Japanese language is non-grammatical expression and clarified its validation.

    <Hypothesis>
    In case of Korean language, it is the language that <the basis of point> is acting.
    In case of Japanese language, it is the language that <the basis of point> and <the basis indicating the period that lasts for a certain time> are acting. <En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일본어의 「~ない前に」節과 현대한국어의 「~기 전(前)에」節에 대해 대조하여, 양 언어의 차이점 및 공통점에 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前に」와 「~전(前)에」와 관련해서는 먼저 각 표현을 구성요소들이 동일하다는 공통점을 들 수 있겠다. 또한 각 언어에 있어서의 역사적인 성립과정도 유사하다.

    (1) 그 드르리로 法 듣디 아니 前에 미 제 여러 아라
    (令其聽者로 未聞法前에 心自開悟야) <楞嚴經諺解(능엄경언해) 9:94ㄱ>15世紀資料
       →「聞かない前に」
     (2) 東萊 려오신 젼의 위션 封進物을 바드려 야<改修捷解新語 10中>;18世紀資料
     (3) 비가 오기 전에 일을 모두 마쳤다.

    한국어의 경우, (1)과 (2)와 같은 표현은 역사적으로 소멸되는 방향으로 문법화가 진행되었으며, (2), (3)와 같은 예문은 역사적으로 볼 때 대략 17세기경부터 문헌에 나타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한편, 일본어의 경우는 아래 예문과 같이 「肯定形+前に」와 「否定形+前に」가 현대일본어에서도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 확인할 수 있다.

    (4) モッコ搬びの連中が、仕事にかかる前に、とにかく部落を、通り抜けてしまわなければならない。
    (5) しかしそれ等は真夏の季節の来ない前に散ってしまうような種類の花ばかりなので、~(後略)

    한국어와 일본어의 「~前に」와 「~전(前)에」와 관련해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단히 유사한 문법형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이 일본어를 학습할 때 틀리기 쉬운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다.

     (6) *お湯が冷める前に早くお風呂に入りなさい。
    (6-1) お湯が冷めないうちに早くお風呂に入りなさい。(基本)
    (7) 목욕물이 식기 전에 빨리 목욕해라.

    본 연구들에서는 현대일본어의 (6)과 같은 표현이 왜 비문법적인 표현이 되는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워 그 타당성에 관해 명확히 밝혔다.

    <가설>
    한국어의 경우는, <点的인 기준>이 작용하는 언어이다.
    일본어의 경우는, <点的인 기준>과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기준>이 작용하는 언어이다. <끝>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를 한국어 모어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본어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임. 일본어교육 관점에서 작성한 논문이 연구재단 등재지인 일본어교육(한국일본어교육학회)에 이미 게재됨. 결과보고서에 원문파일을 탑재함.
  • 색인어
  • 한일대조. 시간관계절. '기 전에'절(節). '(NAI)MAE-NI'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