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526&local_id=10024726
한국노년층일본어의 문말형식을 통해 본 제2언어의 보존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노년층일본어의 문말형식을 통해 본 제2언어의 보존 | 2009 년 | 황영희(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22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4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일본어습득연구는 일본어습득이라는 긍정적인 면 뿐만 아니라 일본어접촉 중단 이후의 보존 (마멸) 이라는 부정적인 면에까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보다 포괄적인 시점에서 학습자 일본어의 변화 과정을 조망하게 되었다.이러한 흐름 속에 지금까지 일본어습득단계에 있는 학습자의 문말형식에 나타나는 중간언어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습득하여 60년 이상 잠복하고 있는 일본어와 같이 언어습득 중단 이후의 일본어에 보이는 문말형식(동사술어문, 명사술어문, 형용사술어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노년층일본어의 문말형식에 대해 기술함으로써 언어보존단계에 나타나는 일본어 문말형식 (특히 과거정중형) 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거기에 작용하는 학습자의 전략과 그 사용과 관련한 언어 내적・외적 요인을 규명한 것이다. 잠복기일본어의 동사문을 중심으로 그 문말형식의 보존 양상을 기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 일본어접촉도가 낮아질수록 비규범적인 부정형을 우위적으로 사용하는 활용형의 단순화, 합리화(분석화)가 제2언어잠복기에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자연습득적 요소가 약하고 교실습득적 요소가 강한) 일본어접촉도가 낮은 층일수록 고정적이고 관용적인 규범형이 많이 보존되고 있다.
    (2) (1)과 같은 동사문말형식의 보존 유형은 형용사술어문, 명사술어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비규범적인 デス形이 문말형식으로 多用되는 점은 (학습자의 합리화라는 측면에서) 모든 문말형식에서 연속적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3) 문말형식의 단순화에는 스타일 면에서 한국어의 영향을 생각할 수도 있으며, 문장내 기능에 따른 (비)규범형의 사용구분에 있어서 그 차이가 화자별 일본어접촉도와 상관적으로 나타난다.
    (4) 대단히 잠정적인 결론이 되겠지만, 현재의 한국인일본어학습자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로 할 때 다음과 같은 동사술어문의 부정-정중체의 습득, 보존, 마멸(또는 회귀)의 프로세스를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a) 비과거 : ㈎マセン→ ㈏ナイ(ン)デス→ ㈐ナイ(ン)デス・マセン→ ㈑ナイデス
    (b) 과거 : ㈎マセンデシタ→ ㈏ナカッタ(ン)デス→ ㈐ナカッタ(ン)デス・マセンデシタ→ ㈑ナカッタデス
    결론적으로 잠복기일본어의 문말형식은 그 형식과 기능면에서 일본어학습자로서의 단순화와 합리화(분석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회귀형) 중간언어의 모습으로 보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영문
  • Recent L2 studies of Japanese is conducted the negative aspect of attriton as well as positive aspects of the acquisitio after the contact. In this academic trend the study of Japanese somewhat about interlanguage has been made for.
    However, the presertive Japanese inputed more than 60 years old, looking after the Japanese final sentence forms (verb, noun, adjective) was almost impossible for the study.
    This study describes elders of Korean Japanese learners' retention for appearing on final sentence forms (especially the past-polite forms) to determin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tudents are acting on it regarding the use of the language of the strategy and it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ill have determined to.
    Focusing on the incubation period for Japanese verb statements describing aspects of the retention final sentence forms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acts.
    (1) The lower contact the Japanese is decreasing use of irregular negation conjugations of simplification, rationalization (analysis) appears in the incubation period. In addition, the lower level of Japanese a lot of fixed and type norms are preserved.
    (2) It is sequant thing that DESU-form is preserved in same the type of adjective, noun predicate.
    (3) The final sentence form' simplification is impacted of the Korean style and fun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classification between Japanese contactive gap.
    (4) It will be very preliminary conclusions, but that the current and previous studies on learning Japanese, contact the following verb predicate negation the final sentence form - the acquisition, retention process would be thought.
    (A) th non-past : MASEN → NAI (N)DESu → NAI(N)DESU MASEN → NAIDESU
    (B) the past: MASENDESITA → NAKATTA(N)DESU → NAKATTA (N)DESU MASENDESITA → NAKATTADESU
    In conclusion, incubation of Japanese the final sentence forms and function as a simpl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analysis) is on at the same time preserved in the form of interlangu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연구에서는 한국노년층이 근대적인 식민지하의 일본어 학습환경 아래에서 일본어를 습득한 후 60여년이상 보존하고 있는 일본어(=잠복기일본어)의 문말형식을 언어규범이라는 측면에서 그 보존 양상과 관련한 언어적 요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잠복기일본어의 문말형식(동사술어문)을 보면 특히, 학습습득적 요소가 강하고 일본어접촉도가 낮은 층에서 고정적인 규범형과 불안정한 비규범형을 많이 보존하고 있는데 그것은 현재의 일본어학습자의 중간언어 습득과정에서도 나타나는 보편적인 단순화, 합리화(분석화)의 책략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형용사문 및 명사문에서 デス形이 マス形보다 우위적으로 나타나는 사실에서도 그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잠복기일본어에 있어서 비규범형 문말형식의 사용이 한국어의 영향에 의한 것일 가능성, 교실학습적 요소가 강한 여성화자가 규범형을 우위적으로 사용하며 일본어접촉도가 낮을수록 고정적이고 관용적인 규범형을 사용한다는 언어외적 요인과의 상관성도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언어외적 요인과 더불어 일본어접촉도가 높은 화자들에게는 문장 내에서의 담화기능에 따른 사용구분 등과 같은 언어내적인 요소도 (비)규범형 사용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잠복기일본어의 동사문말형식은 일정한 일본어능력을 습득한 화자에게 다양한 변이형로 나타나는 가운데 현재의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습득과정에 관한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화자의 속성에 따른 (비)규범형의 출현 양상에서 볼 때 「マセン・マセンデシタ(규범형)」보다 「ナイデス・ナカッタデス(비규범형)」이 장기간 보존되는 보존(또는 회귀)의 프로세스를 도출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한국노년층일본어의 문말형식의 사용실태를 철저히 기술한 다음 다른 지역의 노년층일본어와 대조하면서 제2언어습득과 대칭적으로 나타나는 중간언어적 특징으로부터 학습자의 일본어 보존와 관련한 언어 내적・외적 요인을 검증한 것이다.
    지금까지 기술되지 않았던 일본어 보존 단계에 있는 한국노년층의 문법능력, 사회언어능력을 기술함으로써 새로운 제2언어습득이론의 구축은 물론 잊어버리고 있는 제2언어의 재학습 등 제2언어교육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분석적인 형태의 タデス・ナカッタデス는 일정한 습득기간을 지난 학습자가 보다 잘 보존하고 생산적으로 도입하는 결과에서 볼 때 일본어학습의 중간단계에서부터는 통합적인 マセン・マセンデシタ을 스타일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큐 (cue) 를 주어 자동화할 수 있도록 교실현장에서 교수법을 궁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습득단계・보존단계의 연구성과를 대조적・통합적으로 살펴 그것을 일본어교육에 어떻게 적용해 갈 것인가라는 물음에 좀 더 가까운 해답을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제공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의 능력에 맞춘 효과적인 문법사항의 제시 순서・제시방법 등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한국노년층의 역사적 체험으로서의 일본어교육사 등 관련 분야의 사실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소재가 되고 있으며 학습자에게 일본어와의 다양한 접촉 형태를 보여줌으로서 이문화접촉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등 학제적 연구에도 기여하면서 궁극적으로는 한국형 일본어학습의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 색인어
  • (동사)문말형식, (비)규범형, 단순화, 합리화(분석화), 제2언어보존, 한국노년층일본어, 중간언어, 언어마멸, 변이형, 언어접촉, 미러이미지설, タ形, 스타일, 일본어교육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