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earch by Achievements Type > Reports View
Reports Detailed Information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588&local_id=10023047
기업의 생산성과 해외직접투자의 타이밍
Researcher who has been awarded a research grant by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Support Program of NRF has to submit an end product within 6 months(* depend on the form of business)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Project Number |
B00123 |
Year(selected) |
2008 Year
|
the present condition of Project |
종료 |
State of proposition |
재단승인 |
Completion Date |
2010년 04월 15일 |
Year type |
결과보고 |
Year(final report) |
2010년 |

Research Summary
-
Korean
-
본 연구는 불확실성 하 해외직접투자의 시간적인 의사결정과 관련 해외투자에서 발생
할 수 있는 기다림의 가치를 생산성 측면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
투자에 걸리는 시간이 생산성이 중간 정도인 기업에서 가장 짧으며, 이 기업보다 생산성
수 ...
본 연구는 불확실성 하 해외직접투자의 시간적인 의사결정과 관련 해외투자에서 발생
할 수 있는 기다림의 가치를 생산성 측면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
투자에 걸리는 시간이 생산성이 중간 정도인 기업에서 가장 짧으며, 이 기업보다 생산성
수준이 높아지거나 낮아질수록 더 길어지는 비선형적인 이차함수 형태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한다. 그리고 한국 제조업 기업들이 대중국 해외직접투자 허용 후 실제 투자
까지 사용한 시간을 연구하는 Cox 비례위험 모형을 추정함으로써 이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는 연구가설이 한국제조업의 대중국투자에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사실임을 알 수 있었다. 산업별 추정의 경우 네 개 추정산업 중 두 개 산업에서
제조업 전체에 대한 실증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English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ue of waiting that exists in the firm's
decision-making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the context of firm's
productivity by applying a Cox(1972) proportional hazards model to Korean
manufacturing firms' FDI da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ue of waiting that exists in the firm's
decision-making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the context of firm's
productivity by applying a Cox(1972) proportional hazards model to Korean
manufacturing firms' FDI data in China. The paper hypothesizes that firms
with intermediate productivity level tend to realize their first investments
earlier than the manufacturing firms with relatively high and low productivity
level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timing of FDI is a positive quadratic
function of firm's productivity, suggesting that average productive firms lead
FDI, followed by both more productive firms that delay their FDI to lower the
probability of FDI failure and by less productive firms that don't have enough
resources required to implement the investment. These results hold in two
industries out of four industries in industry-wise regression.

Research result report
-
Abstract
-
본 연구는 불확실성 하 해외직접투자의 시간적인 의사결정과 관련 해외투자에서 발생
할 수 있는 기다림의 가치를 생산성 측면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
투자에 걸리는 시간이 생산성이 중간 정도인 기업에서 가장 짧으며, 이 기업보다 생산성
수 ...
본 연구는 불확실성 하 해외직접투자의 시간적인 의사결정과 관련 해외투자에서 발생
할 수 있는 기다림의 가치를 생산성 측면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
투자에 걸리는 시간이 생산성이 중간 정도인 기업에서 가장 짧으며, 이 기업보다 생산성
수준이 높아지거나 낮아질수록 더 길어지는 비선형적인 이차함수 형태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한다. 그리고 한국 제조업 기업들이 대중국 해외직접투자 허용 후 실제 투자
까지 사용한 시간을 연구하는 Cox 비례위험 모형을 추정함으로써 이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는 연구가설이 한국제조업의 대중국투자에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사실임을 알 수 있었다. 산업별 추정의 경우 네 개 추정산업 중 두 개 산업에서
제조업 전체에 대한 실증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Research result and Utilization method
-
기존 생산성과 FDI의 관련성을 분석한 기존연구들은 대부분 두 변수간의 직
접적인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생산성이 FDI 타이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연구는 찾기 힘들었다. 특히 이 두 변수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로는 단지 Raff and Ryan(2006 ...
기존 생산성과 FDI의 관련성을 분석한 기존연구들은 대부분 두 변수간의 직
접적인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생산성이 FDI 타이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연구는 찾기 힘들었다. 특히 이 두 변수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로는 단지 Raff and Ryan(2006)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이점에서 본 연구는
이 분야 연구의 공백을 메움으로써 기업의 국제화 행위를 분석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은 한국 기업들의 해외직접 투자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매우 전략
적인 지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요한 대중국 해외직접 투자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힐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투자를 선도하
는 기업들의 특성과 해외투자의 파급경로를 파악함으로써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정책의 수립에 소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Index terms
-
해외직접투자, 생산성, FDI, Cox 위험 모형
-
List of digital content of this reports
-
This document,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original author and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use copyrighted material for-profit
-
In addition , it does not allow the change or secondary writings of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