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602&local_id=10016897
문화 융합 환경을 고려한 글로벌디자이너 전공교과목 중심 영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문화 융합 환경을 고려한 글로벌디자이너 전공교과목 중심 영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 | 2008 년 | 박부남(덕성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692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1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이해에 기반을 둔 전문적인 지식을 소통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주는 디자인 내용중심 영어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이다. 학부생들의 글로벌 전문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글로벌 디자인학부 교육 프로그램을 2008년 가을학기에 개발해서 Pilot Study를 2009년 봄 학기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생들의 디자인 전공에 기반한 영어 수업에 대한 요구를 알기 위해서 정량적/정성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디자인과 예술에 대한 국제적 감각을 겸비해 창의적이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갖출 수 있는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은 전공과 국제어인 영어를 통합해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커리큘럼에 대한 요구를 바탕으로 미래의 글로벌 디자이너양성을 위한 단계적 프로그램은 내용중심의 학습을 통해 학문간 연계 교수(Adjunct Instruction)모형이 적용가능하다고 제시되었다.
    1) 의사소통 중심의 전공교과목 영어 학습 2) 전공교과목과 관련한 영어기능에 대한 요구(말하기와 발표학습 프로그램) 3) 영어전문가와, 디자인 한국인 교수, 그리고 외국인 교수 전문가의 협력 모델. 미래의 글로벌 디자이너양성을 위한 단계적 프로그램은 내용중심의 학습을 통해 학문간 연계 교수(Adjunct Instruction)모형이 적용해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내용중심의 언어수업을 통해 글로벌 디자인 문화를 이해하고 융합시켜 국제사회에 적응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과정이 되었다. 이 연구는 디자인 학부의 교육환경 조성을 통해서 국제문화, 산업문화, 언어문화와의 유기적 관계구축을 할 수 있는 디자인 전공교과목 영어교육이 초석이 될 수 있었다. (1) 외국인 전공 디자인 교수를 초청해 개발된 수업은 학생들에게 국제 디자인 문화를 소개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2) 국제 학생들과의 문화 디자인 교류는 학생들의 영어신장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와 언어에 대해서도 정보를 계속 교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3) 디자인 전문가로서의 자질 및 국제적인 감각을 습득하는데도 효과가 있어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모형에 근거해 다음의 학습 목표를 제시하였다. 학문 연계교수 모형 내 에서는 학생들의 언어수준을 고려하여 단순화된 목표어로 전공교과목에 대한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언어 교수들은 교과목 전공 교수와 계속 상호 협조해야 한다.
    (1) 목적과 목표
    미래 글로벌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해 전문적인 영어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해 다양한 세계의 문화를 이해하고 산업체문화를 융합시켜 국제적 감각을 익히도록 한다. 교과목 내용과 영어가 통합된 학습을 통해 글로벌 디자이너의 담화 구조, 집단의 레지스터를 학습한다.
    (2) 교수방법 및 학습 방법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위해 전공지식에 대한 내용을 학습 자료로 활용하면서 실기 작품을 발표하기 위한 말하기/쓰기 기능 학습을 체계적으로 개발하도록 한다. 언어 형식 학습과 작품 비판, 발표를 위한 의미적 학습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언어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디자인 전공의 특성상 프로젝트 중심의 팀별 협력 학습이 많으므로 팀들 간의 의사소통, 클라이언트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 시킨다.
    (3) 평가 및 이행
    영어로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평가와 특정 분야의 전공교과목에 대한 평가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디자인은 디자인 작품 실기를 위주로 하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평가와 영어 실력의 평가가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글로벌 디자이너를 만들기 위해, 미래의 직업과 연관된 실무능력을 키워주며 평가하는 도구들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공 교과목 교수 측면에서 전공 교과목의 수업 내용과 영어 학습을 잘 병행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협력이 요구된다. 특히 전공에 대한 내용의 생소함은 영어 교육 전문가에게 부담이 되기 때문에 전공 내용중심의 개념에 관한 용어 학습과 미래의 실제 현장에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언어전문 교수와 교과전공 교수의 협력을 통해 교재가 제작되어야 한다. 교재 제작은 예비조사연구를 통해서 모아진 언어자료를 통해 단계별로 제작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언어수준에 맞추어 어려운 교재를 단순화 시키거나 보충 교재가 만들어질 수 있는 전문적인 연구팀도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전공 교과목의 지식을 이용해 그것을 영어수업의 활동내용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언어교사와 전공교사의 계속적인 교류를 통한 정기적인 워크샵 등이 이루어진다.

    내용을 기반으로 한 전공 교과목 중심 언어 교수ㆍ학습은 영어 자체의 기능 중심교육 목표를 넘어서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직무와 관련된 실질적 유용성에 근거하여 영어 의사 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영문
  • This research is to design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content-based language instruction model for design students in the EFL context. It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and professors to design a curriculum focusing o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research conducted surveys on 83 design students and 5 foreign design professors to find out their needs and interests in language and content(subject-matter) learning. The researcher also interviewed a focus group of the design college students to recognize their perception of how they would benefit from a content-based language learning. A pilot-study course was observ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a content-based course for design students.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interview, and the pilot study strongly suggested the need to adopt a content-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corporating communicative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in the field of design. The pilot study led this research to reflect on the cooperation of content specialists and language specialists in developing a language instruction model, Adjunct Instru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급변하는 정보화 시대에 국가 경쟁력의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디자인 분야가 떠오르면서 디자인학부의 새로운 교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 연구이다. 21세기 세계의 급변하는 교육환경 속에서 글로벌 디자인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환경을 고려하고 그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영어교수ㆍ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디자인 학부의 문화 융합을 통한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영어 교수 ㆍ학습 모형을 만들기 위해 당초 다음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1) 글로벌 디자인학부에 참여할 학생들의 특징과 영어 학습과 전공 학습에 관한 학생들과 교수들의 요구와 관심은 무엇인가? 2) 전공 교과내용 학습의 목표와 영어 학습의 목표는 무엇인가? 전공교과목과 연관해 영어의 어떤 기능과 과제를 성취하고자 하는가? 3) 전공교과목의 특징상 어떤 언어교수 학습 모형을 채택해야하는가? 4) 언어교육 교수와 전공교과목 교수의 협력 방식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며, 전공과 영어 교수를 위한 교사 훈련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전공 교과목을 기반으로 한 내용을 중심으로 삼는 영어 교수ㆍ학습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위에 언급된 세 가지 이론적 쟁점을 상보적으로 고려하였다: (1) 내용에 기반을 둔 전공교과목 중심의 교수ㆍ학습 이론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2) 과제 중심 교수ㆍ학습이론 (Task-Based Learning: TBL)
    (3)상호 문화교류를 통한 의사소통 교수ㆍ학습이론 (Cross-cultural communicative learning). 학부생들의 글로벌 전문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글로벌 디자인학부 교육 프로그램을 2008년 가을학기에 개발해서 Pilot Study를 실시 2009년 봄 학기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생들의 디자인 전공에 기반한 영어 수업에 대한 요구를 알기 위해서 정량적/정성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1) 디자인 학부 학생들 및 대학원생들(설문지, 포커스 그룹 면접)
    2) 디자인 학부 교수진, 시간강사, 및 해외 초빙교수(설문지, 면접)
    3) 산업체에서 일하는 전문 디자이너(직장인)-미비했음

    학생들의 개인적 요구이외에도 사회적인 필요와 요구는 영어학습의 조건이 ESL인가 EFL인가라는 문제, 즉 목표언어와 학습자 삶의 환경 간의 간극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특히 영어를 매개로 하는 다문화의 수용은 글로벌 디자이너의 전문 분야에서의 지식 습득과 미래 직업을 위한 훈련 등과 같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상황과도 다양하게 관계되어 있다. 이러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각각의 집단들이 요구하는 내용을 중심에 두는 교과목 기반 언어(영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했다. 또한 질적 연구 방법의 일환으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전공교수팀과 언어교수팀의 전문가 workshop을 통한 수업 개발이 필요해서 교과목 전문가가 언어교사와 함께 교과 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 면접을 실시하였다. 전공내용과 언어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두 분야의 교수를 위해서는 모형 개발에서부터 이행까지 계속적인 협력이 요구되었고 질적 접근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 하였다

    1) 프로그램에 전체에 운영방식과 커리큘럼의 검토(학생들 영어 수준에 따른 전공교과 개발)
    2) 디자인과 관련한 영어 학습 교재 개발
    3) 디자인 과제(Project) 중심의 영어 교수안 개발
    4) 프로그램과 커리큘럼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도, 만족도 등에 대한 면접
    5) 수업 관찰: 교수 및 학습자를 상대로 하는 구체적인 수업 양상 관찰

    글로벌 디자인학부 전공교과목 영어강좌 교수․학습 모형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 결과 다음 3 가지로 요약 된다: 1) 의사소통 중심의 전공교과목 영어 학습 2) 전공교과목과 관련한 영어기능에 대한 요구(말하기와 발표학습 프로그램) 3) 영어전문가와, 디자인 한국인 교수, 그리고 외국인 교수 전문가의 협력 모델. 미래의 글로벌 디자이너양성을 위한 단계적 프로그램은 내용중심의 학습을 통해 학문간 연계 교수(Adjunct Instruction)모형이 적용 가능하다고 제시되었다. 내용을 기반으로 한 전공 교과목 중심 언어 교수ㆍ학습은 영어 자체의 기능 중심교육 목표를 넘어서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직무와 관련된 실질적 유용성에 근거하여 영어 의사 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글로벌 디자인 학부를 위해 다음의 모형을 제시 하였다.
    1) 의사소통 중심의 전공교과목 영어 학습 2) 전공교과목과 관련한 영어기능에 대한 요구(말하기와 발표학습 프로그램) 3) 영어전문가와, 디자인 한국인 교수, 그리고 외국인 교수 전문가의 협력 모델. 미래의 글로벌 디자이너양성을 위한 단계적 프로그램은 내용중심의 학습을 통해 학문간 연계 교수(Adjunct Instruction)모형이 적용 되었다. 글로벌 디자이너양성을 위한 전공교과목 영어 프로그램 개발 결과 전문디자인 교수와 언어교수가 협력하는 Adjunct 모형이 한국 대학 상황에 효과적이었다. 학생들은 체계적인 내용중심의 언어수업을 통해 글로벌 디자인 문화를 이해하고 융합시켜 국제사회에 적응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과정이 되었다. 이 연구는 디자인 학부의 교육환경 조성을 통해서 국제문화, 산업문화, 언어문화와의 유기적 관계구축을 할 수 있는 디자인 전공교과목 영어교육이 되었다.
    (1) 외국인 전공 디자인 교수를 초청해 개발된 수업은 학생들에게 국제 디자인 문화를 소개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2) 국제 학생들과의 문화 디자인 교류는 학생들의 영어신장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와 언어에 대해서도 정보를 계속 교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3) 디자인 전문가로서의 자질 및 국제적인 감각을 습득하는데도 효과가 있어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이 가능하였다.

    내용을 기반으로 한 전공 교과목 중심 언어 교수ㆍ학습은 영어 자체의 기능 중심교육 목표를 넘어서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직무와 관련된 실질적 유용성에 근거하여 영어 의사 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결과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21세기의 급변하는 교육환경 속에서 글로벌 디자인 교육 모형은 새로운 교육환경을 고려하고 그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영어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의 운영과정에서 한국 대학 교육의 국제화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지속적으로 심화되어온 국제화 경향은 한국대학 교육과 영어교육에 발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제 대학은 국가 경쟁력을 지탱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서 국제적인 무대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전문지식과 비판적 사고력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해야만 한다. 이러한 전제하에 교과목을 기반으로 하는 영어 교수ㆍ학습 모형은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대학 영어교육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연구결과는 내용중심의 교수ㆍ학습, 내용을 기반으로 문화의 융합 정보 교환이라는 측면에서 한국 학생들의 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 연구 결과 디자인 전문가로서의 자질 및 국제적인 감각을 습득하는데도 효과가 있어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모델로서 제시되었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새로운 역할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3) 본 연구가 영어 교수ㆍ학습 모형이 언어능력의 신장을 통해 미래의 전문가로서의 자질 및 능력을 갖추어 미래의 직업과 연관이 되므로 대학, 사회, 국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산학 협력적 대학교육 모델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 된다. 디자인 산업의 세계화가 가속화되어 해외 취업의 기회가 확대되고 나아가 세계 디자인 산업 환경에 대한 능동적 대처 능력, 언어소통 능력, 국제적 감각을 갖춘 디자인 리더의 양성에 대한 방향에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 언어교수와 디자인 전공교수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내용중심의 영어 교육의 수업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다 학문간 학제적 연구가 계속 가능 할 것이다. 다른 학문 분야의 교수의 상호 협력 방식을 동원함으로써, 인문학간의 상호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된다.
  • 색인어
  • 글로벌 디자이너, 교과목 내용 중심, 영어 교수 학습 모형, 문화융합 환경, 디자인 실무 영어, 과제중심 학습, 상호문화교류, 의사소통, 전문 디자이너, 국제적인 문화, 예술, 시각, 패션, 섬유 디자인, 단계별 영어 학습 ,교환 학생 언어 프로그램, 전문가 개발팀, 디자인 교수, 언어교수, 영어 기능, 말하기, 쓰기, 수업관찰,프로젝트중심 교육 Content-based language Instruction, Golbal design, multi-cultural convergence,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a Global design college, Theme-based, sheltered instruction model. Need analysis, Task-based learning,cultural communication skill,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