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9657&local_id=10024831
한대 길상명문 와당과 길상문양과의 상관성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대 길상명문 와당과 길상문양과의 상관성 연구 | 2008 년 | 허선영(안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488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4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대와당을 중심으로 길상명문과 길상문양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한대와당은 동아시아 고대와당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동아시아 와당문화의 근원이 된다. 특히 문자와당의 출현은 문자학계 뿐 아니라 한대 문화사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대와당은 문자와 문양와당을 포함하여 세면에서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3000여 점이 넘는데, 이 와당 가운데 문자와당은 1000여점 정도에 불과하다. 문자와당에는 당시 상황을 이해 할 수 있는 명문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길상 내용이 7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 길상명문에는 길상문양이 배치되어 있다. 한대는 황노사상이 유행하던 시기로 많은 기물에서 황노사상과 유교사상에 입각한 문화적 현상을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대길상명문에 출현하는 길상문양을 분류하여 문양별 특징을 재분류하였다. 그 결과 운문이 가장 많이 출현하고 있으며, 연주문, 수목, 서조등 길상을 의미하는 문양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한대 황노사상의 적극적인 반영인 것이다.
    1000여개에 이르는 문자와당을 분석하면 70%이상 길상명문임을 발견하게 된다. 한대와당은 대채로 문양와당이 주를 이루고 있었지만, 한대초기에 문자와당이 등장하면서 한무제 시기에는 문자와당이 전성기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출현하는 한대와당의 내용을 분류하여 보면 장수와 부귀를 염원하는 길상문구와 길상의 의미를 상징하는 운문, 거북, 서조, 연주문등이 출현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와당면을 구성하는 문양들은 當心과 주연부[邊輪]등에 출현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雲文문양이 배치된 길상명문와당
    Ⅰ식: 운문+길상명문
    Ⅱ식: 운문+망문+길상명문
    Ⅲ식: 운문+연주문+길상명문
    Ⅳ식: 운문+거치문+길상명문
    2.聯珠文이 배치된 길상명문와당
    Ⅰ식: 당심(當心)의 연주문
    Ⅱ식: 당면의 연주문
    Ⅲ식: 연주문과 다른 문양의 배치(거치문,망문)
    3. 瑞鳥가 배치된 길상명문와당
    4. 樹木이 배치된 길상명문와당
    3.4의 경우는 그 수령이 많지는 않다. 그러나 문양의 대용들이 길상적 의미를 담고 있는 부분에서는 1.2에 버금가는 상징성을 제공하고 있다.
    한대와당에 길상의 상징성이 강한 문자와 문양이 등장하는 것에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한왕조는 중국 역사상 가장 역동적인 왕조를 건국하였는데, 秦文公은 일찍이 雛衍의 ‘五德始終設’을 받아드리면서 水德제도를 펼친다. 이러한 사상은 당시 기물의 색(黑色)으로 출현하였으며, 한고조와 한무제는 수덕에 근거하여 土德을 받아드리면서 당시 기물의 색으로 표현하게 된다. 『禮記』에 의하면 : "明堂之制,周旋以水,水行左旋以象天,内有太室象紫宫,南出明堂象太微,西出总章象玉潢,北出玄堂象营室,东出青阳象天市."
    한대초기에는 민생안정과 정정무위를 숭상하는 황노정책을 펴게 되었으며, 이같은 정신적 바탕으로 건축방향의 동남사이를 두고 서북의 위치와 時令의 춘하추동과 배합하여 천자는 ‘목 화 토 금 수’의 오행의 운행으로 天人相應의 움직으로 움직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음행오행성은 동중서의 『春秋繁露』의 기본 원리를 따르고 있으며 한 대인들의 심리와 생활속에 깊이 있게 뿌리내려 진다.
    또한 한대에는 神仙方術이 유행을 하는데 인류문명의 진보는 생명과 불과분의 관계에 놓아 있다는 관념이 이 시기에도 강하게 작용한다. 죽음이라는 것은 古人에게는 아주 강한 신비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죽음은 누구든지 면할 수 없기에 사후세계에 대한 환상을 가지게 된다. 한 대의 厚葬제도도 사후세계와 현세가 같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으며 장생불노에 대한 염원 또한 갈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종 여러 도안이나 문구가 등장하게 된다.
    한대의 신선관념은 한대 신선방술의 방대한 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한 대는 重鬼好祀로 신비 낭만의 시대였다.
    이같은 사회적 배경은 당시 하늘과 닿는 부분인 와당문양과 명문내용에 충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던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is regarding contents and patterns of Gilsang(auspicious), focused on Wadang in the Han times. Wadang in the Han times was a root of Wadang culture in East Asia, having been a significant position in Ancient Wadang history. In particular, the advent of character Wadang provided character academy as well as the study of Han's culture and history with pivotal reference.
    Wadang in Han Dynasty contained over three thousands of characters and patterns. Amonst those Wadang, character Wadang was merely one thousand of them. Character Wadang showed the records which were fairly well explained about circumstance at that time. Of those Wadang, Gilsang patterns occupied over seventy percent of it. And also, in the contents of Gilsang, it placed patterns of Gilsang patterns. In the Han times, it was famous of Hwangno(Emperor and Lao-tzu)thought. Thus, cultural phenomena that had reflected Hwangno and Confusion thought were founded. This study resorts the contents of Gilsang that appeared on the contents of Gilsang in the Han times. As a result, many poetry appeared, and lotus, woody plant, auspicious omen that implied the meaning of Gilsang were placed all together, which is to say that it reflected Hwangno and Confusion thought enthusiastically.
    In analyzing over one thousand of Wadang characters, over seventy percent of Gilsang contents were founded. Although Wadang in Han times comprised generally of patterns of Wadang, as character Wadang appeared in the early Han times, character Wadang had its heyday in the Hanmoojae times.
    This advent of Han's Wadang symbolized contents and meaning of Gilsang, wishing for longevity and wealth in the form of poetry, turtle, contents and locus. And also the patterns, having comprised of Wadang on the surface, appeared in Dangsim and Jooyeonboo.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대와당을 중심으로 길상명문과 길상문양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한대와당은 동아시아 고대와당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와당문화의 근원지가 된다. 특히 문자와당의 출현은 문자학계 뿐 아니라 한대 문화사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대와당은 문자와문야와당을 포함하여 공포된 것만으로도 300여 점이 넘는데 이 와당 가운데 문자와당은 1000여점 정도에 불과하다. 문자와당에는 당시 상황을 이해 할 수 있는 명무느이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길사의 내용이 7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 길상명문에는 길상문양이 배치되어 있다. 한대는 황노사상이 유행하던 시기로 많은 기물에서 황노사상과 유교사상에 입각한 문화적 현상을 찾아 볼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기물이 하늘과 맞닿는 부분인 와당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대길상명문에 출현하는 길상문양을 분류하여 문양별 특징을 재분류하였다. 그 결과 운문이 가장 많이 출현하고 있으며, 연주문, 수목, 서조등 길상을 의미하는 문양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한대 황노사상의 적극적인 반영인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대와당은 고구려와당연구뿐 아니라 우리나라 기와문화를 연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동안 우리나라 와당연구는 일본학자들에 의한 번역본이나 국내연구자들이 우리나라와당을 연구하면서 부분적으로 연구가 되어왔다. 그 이유는 국내 중국와당전문가의 부족으로 자료의 수집과 문헌의 해석 등 여러 방면에서 한계점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를 통해 한대문양과 문자의 길상적 상징성이 어떠한 문화적 상황속에 배치가 되어졌는지 알 수 있었으며, 이와같은 연구는 국내 건축학, 고고학, 문자학, 예술학 등의 학문영역과 최근들어 유행을 하는 브랜드 이미지의 일환이 문양 컨텐츠 사업, 또 후학양성에 중요한 학술적 효과를 기대해 본다.
  • 색인어
  • 와당, 한대와당, 길상, 길조, 장수, 기와문화, 황노사상, 한대문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