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3000&local_id=10048677
朝鮮時代 宴會圖의 禮制修飾 이미지 硏究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朝鮮時代 宴會圖의 禮制修飾 이미지 硏究 | 2011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유옥경(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13
선정년도 2011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2년 12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2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朝鮮時代 宴會圖의 禮制修飾 이미지 硏究

    본 연구는 조선시대 연회도 가운데, 국가원로와 부모의 장수를 축하하는 元老孝親壽宴 관계 기록화 속의 다양한 예제수식 이미지에 주목하였다. 즉, 연회에 소용된 酒樂과 器具類(차일, 자리, 병풍, 등촉, 꽃 장식) 등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조선시대 禮制美術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작가와 작품 중심의 전통적인 미술사의 영역을 넘어 시각문화, 물질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시각문화론적 측면에서의 微視的 파악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수연 관계의 기록화에는 화면 구성이나 생생한 색감, 원숙한 필치 등이 돋보이는, 특히 행사의 모습을 근접시켜 화면에 담아내고자 한 회화적 특성을 찾을 수 있다. 여기에는 연회자리의 예가 행해질 때는 대개 차일을 치고 병풍을 두르고 자리를 깔았으며, 이때에는 술(酒)로 축수하고 樂舞가 공연되어지는 예제수식의 이미지가 구체적으로 담겨져 있다.
    연회에서 술과 함께 여러 가지 음악을 연주하는 合樂이 공연될 때에는 반드시 養老의 예가 시행된다. 원로효친의 연회에 공연된 춤의 이미지는 크게 二人對舞와 五方處容舞, 抛毬樂舞, 綵舞 등으로 대별된다. 이인대무와 처용무, 포구악무의 이미지는 왕의 공덕이나 업적을 찬양하는데 바탕을 두고 있다. 또한, 포구악무는 遊戱의 춤으로도 표현되었다. 綵舞의 이미지는 색동옷을 입고 춤을 추어 효의 지극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회에서의 ‘禮’라는 것은 규범이므로 器具類가 갖추어져야 했다. 원로효친의 연회에는 차일과 자리, 병풍, 등촉, 그리고 꽃 장식이 마련되었다. ① 푸른 선을 두른 차일(靑緣遮日)과 푸른 선을 두른 자리(靑緣筵席)의 이미지는 태종 16(1416)년의 “차일과 많은 사람의 자리의 선은 파랗게 물들인 정오승포를 사용하라” 했음에 근거하였다. ② 병풍의 이미지는 畵屛(山水屛, 四君子花卉屛), 綠玉屛, 그리고 素屛으로 대별하였다. 이 가운데 녹옥병의 이미지는 賜几杖宴會 때 내려진 鳩杖(玉杖)과의 상관성에 주목하였다. ③ 燈燭의 이미지는 날이 저문 뒤에도 연회를 지속하여 즐기기 위한 禮具로서 보았다. 특히, 여러 가지 형태의 누각등, 팔각등, 공등, 잉어등, 알등의 이미지는 耆老들의 장수와 국가의 안녕에 대한 염원의 상징으로 해석하였다. ④ 꽃(花)장식의 이미지는 참석자들의 머리에 꽂은 首拱花와 술 단지처럼 생긴 화병에 꽂아 놓은 樽花, 그리고 음식상 위에 장식한 床花로 대별하였다.
    이러한, 수연관계 기록화 속의 禮制美術로서의 다양한 수식 이미지는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의례 체제의 큰 틀로 유지되어 그림에 담겨졌음이 확인된다. 기록을 위한 매체이면서도 당시의 생활 의식을 찾을 수 있는 일종의 풍속 이미지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 이는 그림에 대한 단선적인 분석을 넘어서 역사적ㆍ문화적 의미를 탐구할 수 있는 큰 시각적 史料로서 음악, 무용, 의례 등의 인접 학문 연구 분야에 정확한 實像의 자료를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풍부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儒家가 지향하는 교화적ㆍ윤리적 차원으로서의 예술의 표출로 해석된다.
  • 영문
  • A Study on the Symbolic Decorative Motifs in the Joseon Banquet Paintings

    This study focuses on a variety of symbolic decorative motifs depicted in the documentary paintings produced to record a banquet held to celebrate the long, healthy lives of state elders and old parents. Discussions are aimed to defin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Joseon's ceremonial art by analyzing the images of various items used at the banquets such as drinks, music, and furniture (such as sunshade, mat, folding screen, lamp and candle, flower decorations). The study is intended to go beyond the traditional art history which has been largely focused on artists and their works and seeks after microscopic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and material culture via analyzi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visual culture.

    The documentary paintings of banquets held for the elders display distinctive painterly features such as artistic composition, vivid colors, mature brush strokes, and close-up depiction of details. These paintings contain symbolic decorative motifs such as the use of sunshades, folding screens and mats as well as the ceremony of praying for longevity with wine offering and the performance of music and dance.

    The paintings also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music took place with the offering of wine and the ceremony of honoring the elders participating in the banquet. The dances performed in the event are largely consisted of the Duet Dance, Obang Cheoyongmu (Dance of Cheoyong in Five Cardinal Colors), Pogurangmu (Ball Dance), and Chaemu. These dances were aimed to honor the king's virtues and achievements. The Ball Dance contained a lot of entertaining movements while the Dance of Colors uses colorful stripes representing the devoted filial piety.

    The events for involved the use of interior items related with the virtue of propriety such as sunshade, mat, folding screen, lamp and candle, and flower decorations. (1) The sunshades and mats were lined with blue strips according to the King Taejong's order, "the sunshades and mats provided for the participants shall be lined with Jeongoseungpo (fabric) dyed blue." (2) The folding screens were consisted of the screens either painted (i.e. with landscapes, the four noble sages, and green beads) or non-painted. Among them, the screen of green beads is related with the armrest and cane bestowed by the king to the aged retiring statesmen at the banquet held to honor them. (3) The lamps and candles, which show that the banquets continued even after dark, feature various shapes, lofty pavilion, octagonal pavilion, ball, carp, and fish roe, symbolizing the king's wish for the longevity of retiring officials and safety of the state. (4) The symbolic floral decorations consisted of the flowers ornamenting the participants' heads, in the vases, and on the tables.

    The various ceremonial items depicted in the documentary paintings related with the banquets held to honor retiring officials show that these were established as crucial articles for the system of rites and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The paintings were made not just to record important royal or state occasions but depict various scenes of life in the royal court. That is why these paintings are regarded as important sources for the knowledg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Joseon, providing a wealth of research materials for the study of music, dance, ceremony and other subjects. In conclusion, the paintings can be interpreted as artistic expressions for the educational and ethical goals the Confucian followers of the Joseon Dynasty eagerly sought aft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연회도 가운데, 국가원로와 부모의 장수를 축하하는 元老孝親壽宴 관계 기록화 속의 다양한 예제수식 이미지에 주목하였다. 즉, 연회에 소용된 酒樂과 器具類(차일, 자리, 병풍, 등촉, 꽃 장식) 등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조선시대 禮制美術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작가와 작품 중심의 전통적인 미술사의 영역을 넘어 시각문화, 물질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시각문화론적 측면에서의 微視的 파악에 중점을 두고 분석 하였다.
    조선시대는 강화된 유교적 질서로 사회가 예제화되면서 유교행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유교적 정치 이념을 표방했던 조선에서는 연회행사의 예법이 중요시 되었으며, 이러한 성격은 元老孝親壽宴 관계의 기록화 속에 가장 정확하게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수연 관계의 기록화에는 화면 구성이나 생생한 색감, 원숙한 필치 등이 돋보이는, 특히 행사의 모습을 근접시켜 화면에 표현하고자 한 회화적 특성을 찾을 수 있다. 연회자리의 예가 행해질 때는 대개 차일을 치고 병풍을 두르고 자리를 깔았으며, 이때에는 술(酒)로 축수하고 樂舞가 공연되어지는 예제수식의 이미지가 구체적으로 담겨져 있다.
    연회에서 술과 함께 여러 가지 음악을 연주하는 合樂이 공연될 때에는 반드시 養老의 예가 시행된다. 원로효친의 연회에 공연된 춤의 이미지는 크게 二人對舞와 五方處容舞, 抛毬樂舞, 綵舞 등으로 대별된다. 이인대무와 처용무, 포구악무의 이미지는 왕의 공덕이나 업적을 찬양하는데 바탕을 두고 있다. 또한, 포구악무는 遊戱의 춤으로도 표현되었다. 綵舞의 이미지는 색동옷을 입고 춤을 추어 효의 지극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회에서의 ‘禮’라는 것은 규범이므로 器具類가 갖추어져야 했다. 원로효친의 연회에는 차일과 자리, 병풍, 등촉, 그리고 꽃 장식이 마련되었다. ① 푸른 선을 두른 차일(靑緣遮日)과 푸른 선을 두른 자리(靑緣筵席)의 이미지는 태종 16(1416)년의 “차일과 많은 사람의 자리의 선은 파랗게 물들인 정오승포를 사용하라” 했음에 근거하였다. ② 병풍의 이미지는 畵屛(山水屛, 四君子花卉屛), 綠玉屛, 그리고 素屛으로 대별하였다. 이 가운데 녹옥병의 이미지는 賜几杖宴會 때 내려진 鳩杖(玉杖)과의 상관성에 주목하였다. ③ 燈燭의 이미지는 날이 저문 뒤에도 연회를 지속하여 즐기기 위한 禮具로서 보았다. 특히, 여러 가지 형태의 누각등, 팔각등, 공등, 잉어등, 알등의 이미지는 耆老들의 장수와 국가의 안녕에 대한 염원의 상징으로 해석하였다. ④ 꽃(花)장식의 이미지는 참석자들의 머리에 꽂은 首拱花와 술 단지처럼 생긴 화병에 꽂아 놓은 樽花, 그리고 음식상 위에 장식한 床花로 대별하였다.
    수연관계 기록화 속의 禮制美術로서의 다양한 수식 이미지는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의례 체제의 큰 틀로 유지되어 그림에 담겨졌음이 확인된다. 왕의 공덕이나 업적을 찬양하는데 바탕을 두고 있으며, 경사스러운 잔치 자리에서의 질서와 조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禮具의 표현을 담고 있다. 기록을 위한 매체이면서도 당시의 생활 의식을 찾을 수 있는 일종의 풍속 이미지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 이는 그림에 대한 단선적인 분석을 넘어서 역사적ㆍ문화적 의미를 탐구할 수 있는 큰 시각적 史料로서 무엇보다도 풍부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儒家가 지향하는 교화적ㆍ윤리적 차원으로서의 예술의 표출로 해석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元老孝親壽宴 관계 기록화 속의 酒樂과 器具類(차일, 자리, 병풍, 등촉, 꽃 장식) 등의 ‘예제수식’ 이미지는 왕의 공덕이나 업적을 찬양하는데 바탕을 두고 있으며, 경사스러운 잔치 자리에서의 질서와 조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禮具의 표현을 담고 있다.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의례 체제의 큰 틀로 유지되어 그림에 담겨졌음이 확인된다. 太平世 敬老壽域의 교화를 아름답게 표출하고 있어, ‘禮制美術’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의 역할을 보여준다.
    ‘예제수식’ 이미지는 시각문화론적 측면에서의 微視的 파악에 중점을 두고 분석되지 않았더라면 규명되기 어려운 부분들이었다. 특히, 18세기《회혼례첩》의 <전안례> 광경 속의 地面에 깔려진 푸른 선의 끝단을 두른 좁고 긴 돗자리인 行步席 이미지를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 그 한 예이다. ‘예제수식’ 이미지는 기록화적이고 풍속화적인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연회에 관한 입체적인 이해를 돕고 정확한 實像의 자료를 제시해 주었다. 儒家가 지향하는 교화적 차원의 예술, 윤리적 차원으로서의 예술의 표출로 해석된다.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〇 학제간의 통합적인 상호 연구의 활용
    본 연구는 이전의 작가와 작품 중심의 전통적인 미술사의 영역을 넘어 시각문화, 물질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미술사의 학문적 범주를 확장시켰다. 이에 보다 시각문화론적 측면에서의 微視的 파악에 중점을 둔 새로운 단계로의 성과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사 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 분야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역사적ㆍ문화적 의미를 탐구할 수 있는 큰 시각적 史料로서 음악, 무용, 의례 등의 인접 학문 연구 분야에 정확한 實像의 자료를 제시해 주어 풍부하게 활용되어질 수 있다.

    〇 한국문화 사전류의 ‘宴會風俗’ 자료 제공의 활용
    학술적인 사전 편찬이나 대중들이 주로 접하는 백과사전 등에서 조선시대 연회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서술할 때 중요한 시각적, 이론적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 현재 출간되어 있는 사전류 즉, 󰡔동양 미술사전󰡕, 󰡔한국문화 상징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의 ‘屛風’, ‘方席’, ‘遮日’, ‘花’, ‘燈燭’, ‘酒’, ‘樂舞’ 등의 설명부분에 있어 문화사적․ 도상적 측면의 보완이 가능하다. 보다 체계적인 조선시대 연회풍속과 관련된 시각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헌자료의 내용을 상세히 보완 시킬 수 있다.

    〇 法古創新(옛 것을 본받아 새 것을 창조한다)의 활용
    TV 사극이나 영화에서 전통시대의 연회행사의 예법을 보여줄 때 왜곡된 사실을 전달하지 않고, 역사적 사실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실상을 제시해 줄 수 있다. 푸른 선의 끝단을 두른 흰 차일과 돗자리ㆍ방석, 그리고 병풍, 등촉, 꽃 장식 등의 행사수식 이미지는 한국문화 속에서 문화콘텐츠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원형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宴禮再現時 行事場治裝의 문화콘텐츠화
    창덕궁 연경당이나 창경궁, 그리고 박물관, 한국민속촌 등에서 실시되는 宴禮復原再現 時 구체적이고도 객관적인 行事治裝物로서의 사용

    - 사극드라마, 사극영화에서의 전통소품의 활용
    조선시대 宴會를 주제로 삼은 드라마나 영화에서의 올바른 전통소품의 사용

    - 禮制修飾 이미지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상품 개발
    〮 푸른 선의 끝단을 두른 흰 차일
    푸른 선의 끝단을 돗자리와 방석
    다양한 병풍의 제작 (素屛. 綠玉屛, 山水屛 등)

    - 禮制修飾 이미지를 가공, 유산문화를 시각적으로 체험
    영상으로 개발해서 연계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재 활용가이드 북을 제작
  • 색인어
  • 연회도, 예제수식, 기록화, 사궤장연회도, 기영회도, 경수연도, 회혼례도, 주악, 기구, 차일, 자리, 병풍, 등촉, 꽃 장식, 시각문화, 이인무, 오방처용무, 포구악무, 채무, 산수병풍, 옥색병풍, 소병, 수공화, 준화, 상화, 의례, 역사문화, 유가예술정신, 교화적 윤리적 차원의 예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